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5,83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정수·이연희 교수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과학동아
l
201112
주로 했다.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논문만 140편이 넘는다. 이 중 7편은 물리학
분야
에서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도 실렸다.진흥 부문 수상자인 이 교수는 국가 생명자원 인프라를 구축하고 우리나라의 연구소재은행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국제협력에 ... ...
새로운 도전! 1%클래스가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과학동아
l
201112
MIE로 도전! 1%클래스에서 꿈을 키워 봅시다. 1) 학교에 ‘과학동아 동아리’ 만들자.관심
분야
동아리에서 꾸준히 활동하는 것이 중요한 것 알고 계시죠? 과학 잡지나 신문을 만드는 ‘과학동아 동아리’를 만드세요. 그리고 동아리를 과학동아에 등록하시면 과학동아에서 하는 각종 행사에 ... ...
과학영웅과 ‘미래 예고장’
과학동아
l
201112
실린 아이디어는 이미 과학자들이 연구하고 있는 ‘과학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있는’
분야
도 있지만, 농담인지 진담인지 구분하기 어려운 아이디어도 많다. 동물을 해부하지 않고도 생리학적 메커니즘을 연구할 수 있도록 개발한 투명 물고기나 얼음 속에 남아 있던 매머드의 털 화석에서 DNA를 ... ...
애벌레 몸속엔 부동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12
애벌레는 육상 생태계의 먹이사슬 전체를 움직이는 동물이면서 연구자가 거의 없는
분야
이므로 전적으로 과학자에게만 맡길 수는 없다. 복잡한 생활과정을 알아내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고, 아직도 거의 모든 종의 생활사가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다. 그래서 많은 학생들과 아마추어 ... ...
구제적인 목표가 열정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12
분야
에 대한 책을 스스로 읽어야 한다. 책을 많이 읽어서 간접경험을 많이 하면 관심
분야
에 대해 더 상세히 알게 되고 목표도 구체적으로 정할 수 있다. 책을 읽은 후에는 반드시 자신의 생각을 글로 정리하자. 표현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목표의식을 갖는 것이 중요해. 목표의식 없이는 달리기 ... ...
사회적 이슈에서 연구주제 찾기
과학동아
l
201112
지구과학
분야
의 포트폴리오 주제는 주변에서 찾기 쉽다. 그 중 인류의 현재와 미래에 피해를 주는 지구과학적 현상은 연구하기 좋은 주제다. 주변에서 흔히 접하는 주제로 완성도 높은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과정을 알아보자. ※ 이 코너에서는 실제 영재고, 과학고 합격생들의 포트폴리오 분석을 ... ...
Part 1. 명상의 뇌과학
과학동아
l
201112
요지는 명상 수련을 하면 뇌에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이었다. 도대체 신경과학 같은 첨단
분야
에서 불교지도자를 초빙해 명상에 대한 강연을 들었다니 언뜻 이해가 가지 않는다.명상에 관한 과학적 연구가 활발해진 것은 1993년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의 대체의학연구소(OAM)에서 명상 연구에 ... ...
에너지자원공학
과학동아
l
201112
급증하는
분야
이기 때문에 국가기관과 함께 연구하거나 산학협력을 하는 경우가 많다.
분야
별로 한국연구재단, 정부 기관이나 정부 투자기관, 산업체 또는 연구소에서 지원하는 연구를 통해 여러 과제를 수행한다 ... ...
체험! 학습의 현장
과학동아
l
201112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 오후에 운영한다. 특히 매달 마지막 일요일 오후 3시에는 자연과학
분야
의 유명 전문가가 강연하는 ‘자연과학이야기’가 열린다. 12월 25일 강연의 주제는 ‘인류의 미래와 바이오매스 개발사회’다. 교육프로그램 예약 및 문의는 info@krnamu.or.kr이나 042)824-4055~6으로 하면 된다. ... ...
상상력의 마술사, 피카소와 몬드리안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2
있는 화가인 피카소와 몬드리안은 상상력의 마술사였어요. 과학과 예술 등 다양한
분야
에 대한 지식을 고루 갖춘 사람만이 뛰어난 상상력으로 틀을 뛰어넘는 지식을 창조하지요. 피카소와 몬드리안의 상상력을 작품을 통해 살펴보기로 해요. 알고 있는 것을 그린다르네상스 이후에는 대상을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