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목성 대적점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보통 붉은색을 띠고 있는데, 시간에 따라 색의 진하기가 조금씩 변하지요. 또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답니다. 연구팀은 주노의 마이크로파 방사계를 통해 목성의 대적점을 관측했어요. 이 장치는 마치 양파를 까듯 목성의 대기를 속까지 꿰뚫어 볼 수 있게 해 줘요. 관측 결과, 목성 대적점의 ... ...
- [종목7] 스키점프, 金빛 바람 타고 더 높이 날아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스키 사이에 넣은 관절은 스키가 비틀리는 정도를 조절한다. 여기에 스키 날과 바람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추가로 조절할 수 있게 했다. 비행거리 5~6% 늘리는 자세연구팀은 이들 변수를 조절하면서 실험을 거듭해 최적의 ‘양항비(揚抗比)’를 나타내는 각도 조합을 찾았다. 양항비는 물체를 ... ...
- [Culture] 우리집 고양이는 왜 화장실을 못 가릴까요?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대체로 쭈그려 앉아 배뇨를 합니다. 즉 서서 벽에 오줌을 뿌려놓지 않습니다. 만약 수직 방향으로 배뇨를 한 흔적이 있다면, 최근 스트레스 받는 일은 없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고양이는 변화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이사를 하는 큰 변화부터 사료가 바뀌는 작은 변화까지 모두 스트레스의 요인이 ... ...
-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커지면서 이제는 인간과 자연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공존하는 삶을 살기 위해 새롭게 방향 전환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있다. 오늘날 인류는 현 세대와 미래 세대는 물론 자연까지 책임지는 새로운 가치관의 전환을 모색해야만 한다. ‘생태중심주의적 관점’은 그러한 노력의 일환이며, ... ...
- [가즈아! 평창] 2018 동계올림픽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차이에도 스톤의 움직임이 달라 질 수 있다고 하니 스위퍼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 이처럼 방향과 속도를 얼마나 조절해야 하는지 매 순간 생각해야 하므로 컬링을 빙판 위의 체스라고도 불러. 내가 소개할 종목은 여기까지야. 이제 직접 경기를 보며 즐기는 것만 남았어 ... ...
- 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오래된 교구 성당에서 무덤을 찾으세요. 구멍 뚫린 종이를 오른쪽으로 뒤집은 다음 시계방향으로 180° 회전한 뒤 두 종이를 겹치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쪽으로 뒤집으면 단박에 알 수도 있지요. 구멍 뚫린 종이는 총 8가지 방법으로 대칭이동 할 수 있습니다. 90°씩 회전하는 4가지 ... ...
- Part 3. 로봇이 스키를 타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최적의 경로를 만들어요. 그러면 관절에 달린 모터를 움직여서 무게중심을 이동해 방향을 돌리고, 압력, 기울기 센서를 통해 넘어지지 않도록 중심을 잡지요. 이 모든 과정이 0.005~0.008초마다 한 번씩 연속적으로 이뤄진답니다. # 아직 스키 로봇의 움직임은 완벽하지 않아요. 하지만 연구가 ... ...
- [종목5] 컬링, ‘ 빙판 위의 체스’ 돕는 얼음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방식이다. 스톤을 표적 중앙에 더 가까이 붙인 팀이 점수를 얻는다. 스톤을 원하는 방향으로 보내기 위해서 빗자루 모양의 브러시로 얼음바닥(컬링 시트)을 빠르게 닦아주는 게 중요하다. 컬링 선수들은 한국스포츠개발원 연구팀에 얼음을 다루는 법과 관련해 두 가지 어려움을 호소했다. 첫 번째는 ... ...
- [다중이용시설] 피난 약자 위한 대피공간 설계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경우 주 출입구를 제외한 비상구를 1개 이상 갖추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런 출입문은 양방향으로 나 있어야 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필로티(Pilot·i벽이 없는 1층 기둥들) 구조의 건물들은 출입구 역할을 하는 문이 하나만 있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병목현상이 생겨 탈출로를 확보하기가 어렵다. 한편 ... ...
- [아파트] 외벽타고 상승하는 불, 불연성 외장재가 해답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올라갔다. 연기, 수직 확산이 수평보다 5~10배 빨라화염과 연기가 수평보다는 수직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는 실험이다. 화재가 나면 아래층보다는 위층의 피해가 클 수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주택의 화재 전파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기계연구원과 공동으로 성남 재개발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