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역사의 흐름을 예측한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알 수 없지만 수학을 이용하면 어느정도 예측을 할 수 있고, 그 결과를 참고해 더 옳은 방향으로 가도록 선택할 수 있을 거예요. 수학의 도움을 받으면 미래를 스스로 만들어나갈 수 있겠죠?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 미래를 보다Part 1. 전자화폐 시대가 온다Part 2. 인공지능, 인간 ... ...
- 시계장인은 수학천재? 태엽 시계의 반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프랑스어인 뚜르비옹은 밸런스와 이스케이프 휠에 붙어 1분에 1번 정도 회전하며 한쪽 방향으로만 받던 중력을 골고루 퍼뜨린다. 뚜르비옹이 오차를 완전히 없애주지는 못하지만, 만드는 데 정교한 기술이 필요하고 생김새가 아름다워 인기 있는 추가 기능이다. 사람이 직접 태엽을 감지 않아도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빛의 속도로 빨라지고, 이 전자가 거대한 영구자석이 만든 자기장을 통과하면서 급하게 방향을 꺾으며 아주 강한 전자기파를 낸다. 이를 방사광이라고 한다. 이때 발생하는 방사광은 파장이 수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으로 매우 짧다. E-XFEL의 경우 0.05nm 수준이다. 이 빛이 세포와 같은 ... ...
- 알고는 있나? 슬링키의 수학스러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거예요. 하지만 전화선처럼 말랑말랑한 재질로 만든 줄은 weux082690의 주장대로 반대 방향으로 줄을 돌리기만 해도 전체 엉킴을 풀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혹시 모르니, 잠자고 있던 슬링키를 꺼내 돌려 봐야겠어요. 제멋대로 엉킨 슬링키가 풀리는 기적이 일어나길 바라면서요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국내 인공장기 분야 기술경쟁력은 해외 선진국에 비해 아직 부족한 수준이어서 국가 연구방향을 설정해 역량을 집결할 필요가 있다”며 “대학, 국책연구기관, 기업이 서로 협력해 성과를 바로 산업화하는 ‘이노밸리(혁신지역)’ 형태의 지원도 적극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편집자주 - 과학자에게 논문은 지식을 얻거나, 연구 방향을 잡거나, 아이디어를 얻는 보물창고와도 같습니다. 연구 주제를 정하고 관련 분야의 논문을 본격적으로 파기 시작하는 박사과정 연구원과 최신 연구 동향에 밝을 수밖에 없는 박사후연구원이 직접 해당 분야의 기념비적인 논문을 선정하고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코딩 로봇으로 미션을 수행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코딩펫이 인식할 수 있는 화살표 방향 카드를 지도 위에 이리저리 놓았어요. 방향카드를 출발칸부터 도착 칸까지 무사히 연결하면 첫 번째 미션 완료! 두 번째 미션은 코딩펫의 ‘프리코딩 모드’를 활용하는 것이었어요. 이 미션의 지도는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꼬불꼬불한 선으로 이어져 있어요. ... ...
- Part 4. 무너진 건물에서 사람을 구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마치 덩굴처럼 길이가 길어진답니다. 비닐이 부푸는 방향을 조절하면 자라나는 방향도 마음대로 바꿀 수 있지요. 반면 뱀 로봇은 몸통이 여러 개의 관절로 되어 있고, 머리에 카메라가 달려 있어요. 관절 각각을 자유롭게 구부리거나 회전 시킬 수 있지요. 그래서 기어가는 것은 물론, 좁은 틈을 ... ...
- Part 2. 미리 알고 대비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있어요. 지진이 발생해서 땅이 흔들릴 경우, 사람들의 위치가 일제히 같은 속도와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이를 지진으로 판단할 수 있답니다. 실제로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의 지진정보와 스마트폰 GPS 정보를 비교해 본 결과, 두 정보가 잘 맞는 것으로 밝혀졌지요. ●GPS : 범지구위치결정시스템. ... ...
- [과학뉴스] 태양계 밖에서 온 소행성 첫 관측!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딱딱한 암석처럼 보이는데, 어두운 붉은색을 띠고 있답니다. 거문고자리의 직녀성 방향에서 날아온 것으로 추정되며, 평균 속도는 시속 26.3km 정도지요. 연구에 참여한 올리비에 하인우트 박사는 “태양계 같은 항성계가 형성될 때 많은 소행성이 생겨난다고 알려져 있다”며, “이번 성간 소행성의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