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복잡계물리연구소장을 지낸 피터 풀데 박사는 “막스플랑크연구소는 연구자의 연구 방향이 잘못됐다고 판단하더라도 연구자가 이를 바꿀 수 있는 기회와 시간을 준다”며 “평가를 (연구자를 통제하는) 권력으로 이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도입된 평가 방식이 ‘피어리뷰(동료평가 ... ...
- 20년의 노력, 문화재를 살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단순히 제대로 보수하자는 취지였지만, 일반적인 석조 문화재 수리 방법론과 기술적 방향을 제시해 보자는 취지로 발전했다”고 밝혔다. 미륵사지 석탑의 기준은 ‘남조척’건축물을 지을 때는 기준이 되는 수치가 필요하다. 과거에는 이를 ‘척’이라고 했다. 한 척을 30cm라 하고 건물 한편의 ... ...
- [SW 기업 탐방] 수학 원리로 듣는 스피커, 리슨~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커졌지만 불필요한 소리도 같이 커졌다. 그래서 소라구조를 따라하되, 중간에 한 번 방향을 틀어버리는 구조로 만들었다. 마침내 원하는 소리가 나왔다. 빈 공간을 따라 흘러가던 소리가 닫힌 공간에 소리가 부딪히면서 잡음이 없어진 것이었다.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마다 3D프린터로 만들고 ... ...
- [Culture] 캐나다 국방연구개발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진행하는 만큼 종종 실험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갑자기 고압 환경에 처했을 때 방향 감각과 면역 염증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갑자기 고온의 챔버에 들어갔을 때 체온이 어떻게 변하는지 등 조금은 무서운 실험들이지만 DRDC 연구센터를 경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힘든 ... ...
- [쇼킹 사이언스] 과학자들도 풀지 못한 파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일반적인 파도가 해변을 향해 오는 것과 달리, 첨단파(또는 대륙붕파)는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파도예요. 폭풍과 같이 아주 큰 기상 변화가 생길 때 만들어지죠. 일정하게 높고 낮음이 반복되는 보통의 파도가 이 첨단파와 부딪히면, 파도의 높낮이 차이가 더욱 커져 해빈 커습이 생긴다는 거예요 ... ...
- 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예측 프로그램을 사용해, 강릉에서 발생한 산불이 사람들이 많이 사는 시내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상황실에서는 산불이 주민들에게까지 번지지 않도록 인력과 장비를 거주지 주위에 집중적으로 배치했답니다.그런데 산 위의 기상 조건은 평지와 상당히 달라요. 평균적으로 ... ...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자석으로 자기장을 가하면 로렌츠힘(Lorentz force)을 받아 달리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방향을 꺾을 수 있다. 단, 이때 입자들은 전하를 띠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플래시가 입고 있는 슈트 겉면을 금속으로 제작하거나 플래시를 금속으로 만든 구에 태워 고전압을 걸고 전하를 띠게 하는 게 먼저다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교수는 1980년대 초 2차원 이미지를 분류하는 알고리듬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또 여러 방향의 2차원 이미지를 모아 3차원 구조를 모델링 하는 방법도 1980년대 중반에 완성했다. 저온 동결법 등장 자크 뒤보셰 교수는 1970년대 후반부터 독일 하이델베르크에 있는 유럽분자생물학연구소(EMBL)에서 ...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유전자가 아니라 개체에 맞춰져 있었다. “개체는 자신의 포괄 적합도를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행동한다”가 핵심이었다. 그렇게 말해도 되지만, “행동을 일으키는 유전자는 자신의 복제 성공도를 최대화한다”고 말하는 게 더 명료하고 오류를 저지를 가능성도 적다고 도킨스는 강조했다 ... ...
- Part 1.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이용해 로봇을 만들면 이보다 훨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요. 구조를 유지하면서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원리를 응용하는 것이지요. 종이접기를 활용해 곤충 크기의 소형 로봇을 만들고 있는 고제성 아주 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는 “종이접기를 활용하면 기존 방법보다 작게 만들 수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