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자석으로 자기장을 가하면 로렌츠힘(Lorentz force)을 받아 달리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방향을 꺾을 수 있다. 단, 이때 입자들은 전하를 띠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플래시가 입고 있는 슈트 겉면을 금속으로 제작하거나 플래시를 금속으로 만든 구에 태워 고전압을 걸고 전하를 띠게 하는 게 먼저다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교수는 1980년대 초 2차원 이미지를 분류하는 알고리듬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또 여러 방향의 2차원 이미지를 모아 3차원 구조를 모델링 하는 방법도 1980년대 중반에 완성했다. 저온 동결법 등장 자크 뒤보셰 교수는 1970년대 후반부터 독일 하이델베르크에 있는 유럽분자생물학연구소(EMBL)에서 ... ...
- Part 1. 기이한 술법 3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힘이라고 합니다. 이 힘은 중력과 크기가 같지요. 벡터★화살표로 힘이 작용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의 길이로 힘의 크기를 나타낸다. 어떤 물체에 벡터로 표현되는 여러가지 힘이 동시에 작용할 때, 이 힘들의 벡터합을 합력이라고 한다. 그래서 힘이 평형을 이뤄 날다람쥐가 바닥에 떨어지지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풀리지 않았습니다. 5500을 얼마까지 줄일 수 있을까?두 도시를 여행할 때 이동방향에 따라 비용이 다르게 든다면 어떨까요? 예를 들어 서울에서 뉴욕으로 가는 비행시간과 뉴욕에서 서울로 오는 비행 시간은 몇 시간씩 차이가 납니다. 자전거를 탈때도 오르막을 가면 느리지만, 반대로 내리막을 ... ...
- [과학뉴스] 종이접기로 만든 로봇 팔 트위스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팔각형 등 규칙적인 다각형이 합쳐져 팔의 기능을 한다. 구부리거나 펴지고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옆으로 기어갈 수도 있다. 연구팀은 실제로 종이를 접어 로봇 팔을 만들기도 했는데, 이번에 공개된 트위스터는 3D 프린터로 출력해서 간편하게 만들 수 있도록 발전시켰다. 이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지진과 지진파의 발생 과정을 설명한다. 지구 표면을 덮고 있는 판은 꾸준히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데, 두 판이 인접한 부분에서는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해 활처럼 휘어진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갑자기 깨지거나 미끄러지듯이 움직이면서 휘어졌던 암석이 다시 펴지는 과정에서 지진이 ... ...
- Part 4. 아쿠아 맨의 삼지창 초속 100m 초공동 어뢰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어렵다는 점이다. 각각의 창살에 초공동 현상이 생기더라도 이것들을 가로로 잇는 가로방향 봉 때문에 초공동이 길게 만들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창살 간의 거리를 최대한 좁히거나, 당초 계획했던 것보다 훨씬 더 넓은 캐비테이터를 선단에 부착해야 한다. 캐비테이터의 모양은 원판형이 유리할 ... ...
- [Culture] 캐나다 국방연구개발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진행하는 만큼 종종 실험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갑자기 고압 환경에 처했을 때 방향 감각과 면역 염증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갑자기 고온의 챔버에 들어갔을 때 체온이 어떻게 변하는지 등 조금은 무서운 실험들이지만 DRDC 연구센터를 경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힘든 ...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2학년)는 “1년 동안 열심히 활동했던 내용을 많은 사람들이 즐길 수 있도록 편집 방향을 잡았다”고 말했다. 발간에 필요한 자금은 크라우드펀딩 사이트인 ‘텀블벅’을 통해서 모금했다. 목표 금액은 인쇄에 필요한 최저비용인 55만 원으로 책정했다. 실제 모금액은 목표금액의 390%인 215만 원. ... ...
- Part 3. 둔갑과 은신을 위한 변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있는 종을 닮는 방향으로 변하고, 맛없고 독이 있는 종은 다시 원래 모습에서 달라지는 방향으로 진화가 일어납니다. 나쁜 녀석끼리는 닮는다그러나 한 종이 다른 종을 모방하는 베이츠 의태 모형으로는 나비 여러 종이 같은 특징을 지니는 것을 설명하지 못합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독일의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