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자"(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과학동아 l2010년 08호
- 분자의 운동에너지가 커지며 온도가 올라가는 게 아니라 수소결합이 깨진다. 때문에 물 분자가 쉽게 흥분하질 못한다. 하지만 36℃ 이상이 되면 물도 일반 액체와 비슷해진다. 이렇게 물의 비열용량이 큰 덕분에 지구는 온화한 기후를 유지할 수 있다. 뜨거운 태양빛을 받아도 쉽게 데워지거나 차가운 ... ...
- 앵무새의 정리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뤼슈 씨가 책에서 읽은 내용이 그런 수식 중 하나입니다. 분자가 1이고 분모가 1씩 늘어나는 수의 제곱으로 된 분수를 무한히 더하면 π의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π를 나타내는 재미있는 수식을 더 알아봅시다. 2라는 단 하나의 수만 사용해서 π를 나타낸 수식도 ...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과학동아 l2010년 08호
- 나머지 한마리는 체중이 준다. 과식한 쥐의 몸에서 “이제 그만 먹어!”라고 하는 신호분자, 즉 호르몬이 분비돼 혈관을 순환해 결국 옆에 있는 쥐까지 식욕이 떨어지기 때문이다.또 ob 쥐와 정상 쥐를 병체결합하면 ob 쥐의 식탐이 줄고 체중도 준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정상 쥐의 식욕억제 호르몬이 ... ...
- 여름 밤하늘로 떠나는 은하수 여행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원시별을 관측한 결과, 원시별 주변 원반에 생명체와 관련 있는 다양한 유기분자와 물 분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직까지 별이 탄생하는 과정에서 지구와 같은 행성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생명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적어도 별 탄생과 생명체의 존재는 어떤 ...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실제로 극성과 무극성 분자를 만들어봄으로써 수업시간에 배우지 않은 무극성 분자의 특성을 유추해낼 수 있다. 또 기타 소리를 듣고 현의 특성에 따라 소리의 높낮이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면 새로운 악기를 만들어 보는 것도 창의적인 주제를 뽑아내는 데 도움이 된다. 단 주제를 정할 때 ... ...
- 나무의 숨겨진 힘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잡아당기는 힘이며, 부착력은 물 분자와 다른 분자 간에 작용하는 힘이다. 이 힘은 물 분자가 중력을 이겨낼 수 있도록 돕는다. 모세관 현상은 얇은 관에서 물이 상승하는 현상으로서, 관이 얇을수록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줄기의 물관은 지름이 약 75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로 매우 가늘기 ... ...
- 세포 구조의 알파와 오메가, 지형류의 발생과학동아 l2010년 07호
- 무극성 분자들로서 인지질 이중층의 소수성 부분을 지나기 쉽다. 그러므로 지용성 분자들이 세포막을 더 잘 통과한다. 3) 사람의 몸에서 핵이 없는 세포는 적혈구다. 골수에서 혈구가 생성될 때 미성숙 적혈구는 핵을 갖고 있지만 성숙과정에서 탈핵(핵을 세포 밖으로 밀어냄) 과정을 거치면서 핵이 ... ...
- 나노기술이 여는 식도락 세계과학동아 l2010년 07호
- 되는 원자현미경(AFM)을 이용해 식품을 연구하고 있다. 원자현미경으로 식품을 이루는 분자의 구조를 파악해 음식물의 맛과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다. 모리스 박사의 연구 주제에는 부드러우면서 포만감을 느끼게 해주는 아이스크림을 개발하는 것이 포함돼 있다.아이스크림을 비롯해서 ... ...
- 합성세포, 인공생명체 시대 열었나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있더라도 세포는 여전히 M. 카프리콜룸의 특징을 보인다. 그렇다면 세포의 구성분자까지 물갈이 되는 건 어느 시점에서부터일까.마이코플라스마는 박테리아 중에서도 작은 종류로 크기가 약 0.5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이고 세포 하나의 질량은10-13g에 불과하다. 박테리아 10조 마리가 있어야 겨우 ... ...
- 소음 진동이 에너지가 되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섬유들이 구부러지면서 물분자를 수소분자와 산소분자로 쪼개 줬대요. 이렇게 생긴 수소분자를 모으면 수소 연료를 만들 수 있는 거죠. 연구팀은 이 원리를 이용하면 소음이나 산들바람 등 자연 상태의 진동으로도 연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 예상했어요. 에너지 부족을 해결하는 새로운 방법이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