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채"(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멸종위기 바다거북을 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지난 8월 22일, 제주 바다에서 구출된 매부리바다거북이에요. 팔과 목에 그물이 칭칭 감긴 채로 발견된 단비는 두 달 동안 치료를 받으면서 건강하게 지내고 있었지요. 그런데 며칠 전 건강에 이상이 생겼대요. 어서 단비를 만나러 가야겠어요!오빠~, 나도 단비 만나러 갈래! 같이 가~!그물에 걸려 목숨 ... ...
- 무한도전 & 무한변신 미래 디스플레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언제든지 함께 놀 수 있는 친구친구는 친구 집에서, 나는 내 집 거실에서 각자 배드민턴 채를 들고 경기를 즐긴다. 홀로그램으로 등장한 친구가 홀로그램 셔틀콕을 치면 내가 그걸 받아서 치며 경기를 진행한다. 많은 관중 속에서 친구와 내가 배드민턴을 치는 것 같은 환경도 만들 수 있다. 집안에서 ... ...
- 전기로 대화하는 물고기를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마자루니 강은 약 3000만 년 전에 생겼어요. 주변의 산과 강 때문에 다른 지역과 격리된 채 계속 보존된 탓에 독자적인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 걸로 유명하답니다. 그래서 다른 곳에서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동식물들이 많아요. 저도 마찬가지예요. 연구팀은 제 DNA를 분석해 다른 전기 물고기와는 ... ...
- 굴 vs 전복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속을 떠다니다가 바위에 한 번 붙고 나면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바위에 찰싹 붙은 채로 살지요. 굴은 바닷물 속의 작은 생물인 플랑크톤을 아가미로 걸러서 먹고 산답니다. 굴은 날것으로도 먹고, 삶거나 전을 부치거나 젓갈을 담그는 등 다양하게 요리해 먹어요. 전복전복은 위쪽에만 껍데기가 ... ...
- 조상님도 뵙고 까마득한 후손도 만나고 한가위 타임머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지형이 평탄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인류 조상이 멀리 이동하기 위해 몸을 똑바로 세운 채 걷거나 기어올라야 했고, 결국 직립보행을 하게 됐다고 밝혔다. 또 사냥을 하거나 주거지를 찾아 헤매면서 골격과 발이 더 오래, 더 빨리 달릴 수 있도록 진화했다고 주장했다.두뇌와 함께 진화한 요리 ... ...
- 빙하기 한반도는 너구리 천국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추운 세상이었어요. 왜 이렇게 극단적이야!갑자기 내려간 기온에 온몸을 웅크린 채 헤매다가 갈색의 털뭉치들을 발견했어요! 가까이 다가가서 보니 순하게 생긴 작은 동물들이 오글오글 모여 있는 거 아니겠어요? 저 녀석들을 잘 꼬드겨서 담요 역할 좀 해달라고 해야겠어요.얘들아~. 잠깐 날 둘러싸 ... ...
- 제12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수상자 발표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주로 책이나 영화를 보고 토론을 했는데, 이 활동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해요.채은 학생의 글에는 예시가 정말 풍부했어요. 모두 어떻게 알게 된 건가요?저는 신문이나 잡지 기사에서 이런 예시들을 얻었어요. 또 인터넷 기사로도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를 많이 알 수 있지요. 글에 쓴 ... ...
- 마지막회 폴의 선택은?수학동아 l2013년 12호
- “폴! 폴, 너니?”폴리스가 그를 부르자 폴이 돌아봤다. 그는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은 채 이야기 했다.“일곱 번째 방의 열쇠는 바로 나였어. 다 내 맘대로 하래. 당연히 세상의 붕괴는 나쁜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테스티의 말을 들어보니 꼭 그렇지만도 않은 것 같아. 테스티는 바로 나였어. 수학을 ... ...
- PART1 김치를 만들고 나누는 문화 김장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아닌 ‘김장’에 주목한 이유를 알 수 있다. 지금 먹는 빨간 배추김치의 역사는 400년이 채 안됐다. 그러나 김장은 그 이전부터 있었고, 농사를 기반으로 하는 한국인의 겨울은 물론 1년을 책임지는 거대한 축제였다. 재료와 방법은 시대마다, 지역마다 다르지만 ‘만들고 나눈다’라는 김장의 기본 ...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앞두고 있지만 김장을 담그는 가정도 점점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김치는 단순히 과거에 채소를 오랫동안 저장하는 수단만이 아니다. 경험에 의한 과학적 산물이었고, 단순히 경험으로 알고 있던 비밀이 속속 밝혀지는 중이다. 날로 먹는 김치 소비는 줄어들지언정 김치를 응용한 음식은 여전히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