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뉴스
"
채
"(으)로 총 3,820건 검색되었습니다.
원래는 정자 배출구였다?…다시 쓰는 항문의 기원
과학동아
l
2025.07.12
보키(Xenoturbella bocki)라는 해양 저서동물을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몸집이
채
2cm도 되지 않는 오렌지 젤리처럼 생긴 동물이에요. 제노투르벨라 보키에게는 구멍이 없습니다. 원구와 원장이 그대로 입(동시에 항문)과 장이 됐어요. 그러면서도 비좌우대칭동물보다는 좌우대칭동물과 유전적으로 더 ... ...
[재생의료 최전선]⑦ 세포 다루는 기술로 노화 정복까지 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1
아니다. 고효능 세포를 선별해 배양하고 세포 내에 축적된 치료 능력을 유지한
채
로 완제품까지 연결하는 전주기 기술이다. 이 플랫폼을 통해 한정된 자원에서 더 높은 치료 효과를 끌어낼 수 있다고 본다.” Q. 메디포스트가 제대혈 기반 줄기세포를 고집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제대혈은 ... ...
인공지능이 만능?…신약 승인에선 맥 못추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5.07.09
맞고 나머지는 틀린 정보를 제공한 사례도 다수 알려졌다. 심사자가 원문을 읽지 않은
채
요약 결과만을 기반으로 판단하게 될 경우 승인 절차의 신뢰성이 근본적으로 흔들릴 수 있는 것이다. FDA 내부 관계자들 사이에서도 "요약된 정보를 믿으려면 오히려 원문을 더 꼼꼼히 검토하게 된다"는 ... ...
"쉬는 거 아닙니다"…물속에서 호버링하는 물고기, 에너지 2배 사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산토 미국 샌디에이고캘리포니아대(UCSD) 스크립스 해양연구소 교수팀은 물속에서 정지한
채
유영하는 물고기들이 쉬고 있을 때보다 에너지를 약 2배 쓴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공개했다. 호버링(Hovering)은 위치를 유지하며 ... ...
[특별기고] 기초과학 없는 AI 대전환 정책은 허상이다
2025.07.08
시스템, 그리고 불연속적인 정책 흐름 속에서 기초과학의 뿌리를 제대로 내리지 못한
채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다. 특히 심각한 인구절벽과 청년 인재 유출이라는 구조적 위기를 겪고 있는 지금 이재명 정부의 기초과학 투자 정책은 명확히 보이지 않는다. 현장의 과학자들은 지난 3년간 연구비 ... ...
“얼음 속에서 광물이 자란다”…결빙 중 화학 반응 첫 실험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나노 크기의 결정들이 응집된 구형 구조다. 얼음 속 준액체층이 고농도 용질을 유지한
채
특이한 반응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번 연구에선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와 포항 방사광가속기의 협력을 통해 광물 형성 과정을 원위치에서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데도 성공했다. 기존에 ... ...
[헬스토크] "IQ 70도 행복할 수 있다"…'경계선지능' 아이에 필요한 건 '기다림'
동아사이언스
l
2025.07.06
경험할 필요가 있다. 학습 진도가 뒤처지더라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공부에 압도된
채
시간만 보내는 것보다 정서적으로도 더 바람직하다. 적응 기능을 향상하는 훈련도 중요하다. 적응 기능에는 의사소통, 사회성, 자기관리, 생활·운동기술이 있다. 아이의 지능이 낮더라도 교육과 훈련을 통해 ... ...
기후위기 '뉴노멀' 난기류 피하는 조종사들의 '1초 승부'
과학동아
l
2025.07.05
바람)'이 더 늘어나고 있어요. 비행기가 난기류를 만나 회항하거나 착륙하지 못한
채
로 하늘에서 '뺑뺑이'를 도는 사례도 증가 추세죠. 2019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에서만 급변풍으로 102건이나 회항했어요. 결국엔 영구적으로 하늘길을 바꾸는 악수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동시에 기후 보호는 선택이 ... ...
과학의 시대에 부활한 '백신 부정론'
2025.07.05
등장했던 백신 부정론은 나름의 타당한 이유가 있었다. 그 원리도 제대로 밝히지 않은
채
소의 고름을 인체에 주입하다니! 반면 과학이 발전한 현대에도 백신 부정론의 영향력은 사그라들 줄을 모른다. 웨이크필드의 논문이 현대의 백신 부정론에 엄청난 영향을 끼쳤음은 말할 나위가 없지만 그의 ... ...
태양계 밖에서 온 두번째 '성간 혜성' 접근 중…지구 충돌 위협은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발표일 기준으로 4.5AU 떨어져 있는 상태다. 3I/ATLAS는 지구와 최소 1.6AU 이상 떨어진
채
지나갈 것으로 예상돼 충돌 위험은 사실상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3I/ATLAS는 9월까지 지상에서 망원경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이후 태양에 근접하면서 관측이 어려워진다. 이후 12월 초부터 다시 관측 가능해질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