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진기
camera
촬영기
사진기계
시네
라마
카메라앵글
d라이브러리
"
카메라
"(으)로 총 2,240건 검색되었습니다.
손대면 톡(talk) 터지는 휴대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이미지를 구축했다.특히 뷰티는 터치스크린에 일반 디지털
카메라
에 버금가는 고화소
카메라
모듈을 결합했다. 사진을 촬영하고 터치방식으로 수정한 뒤 고속 WCDMA 네트워크로 이를 전송하는 기능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다.최근 LG전자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PC의 인터넷화면을 똑같이 구현하는 ... ...
청소년 가려내는 담배 자동판매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사에서 개발한 제품이다.이 자동판매기를 이용해 담배를 사려는 사람은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
에 얼굴을 대고 사진을 찍어야 한다. 자동판매기는 촬영한 얼굴 사진에서 주름의 개수, 뼈 구조, 피부의 처짐 등을 읽어 낸 뒤, 10만 명 이상의 얼굴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해 나이를 판단한다. ... ...
생물 다양성의 감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또 일정하지도 않은 화합물의 한 무리가 있다 1879~ 1935 독일의 광학기계 기술자 슈미트
카메라
혹은 슈미트 망원경이라 불리는 시야가 넓은 광학계(光學系)를 발명했다 그는 통신기사·사진기사·설계기사 등으로 일하면서 천문학과 광학을 독학하고 경혐을 쌓았다1916~ 스웨덴의 생화학자 스톡홀름 ... ...
모자이크로 붙인 카시오페아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적당히 중첩되도록 격자틀을 그린다.그 다음 *적도의 위에
카메라
를 올려서 고정하고
카메라
뷰파인더를 통해 성도에 그려놓은 격자틀의 화각을 잡아 촬영 준비를 마친다.조리개는 2.0으로 최대한 개방하고 감도(ISO)는 1600 정도로 가장 민감하게 설정해야 어두운 천체가 많이 찍힌다. 노출 시간은 3분 ... ...
국가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P 로웰이 1894년에 건설한 천문대 107cm 반사망원경, 61cm · 46cm의 굴절망원경 및 61cm 슈미트
카메라
등의 광학관측기기들이 장치되어 있다 생물의 증식과정이나 경제의 발전과정을 근사적으로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곡선 벨기에의 수학자 P F 베르하르스트에 의해 1838년에 제안되었다 그는 인구증가 ... ...
지구 3차원 영상지도 전쟁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찍은 연속사진을 모자이크해서 거리지도로 제공하는 구글어스는 머지않아 두 대 이상의
카메라
를 이용해서 만든 정밀한 3차원 지도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버추얼어스는 더 많은 항공사진을 확보해 서비스 지역을 넓혀 나간다는 전략으로 응수하고 있다. 지구 영상지도 쥐는 자, 미래를 ... ...
친환경으로 변신한 LED의 유혹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들었다 놓을 때마다 상자 위쪽에 달린 조명이 상자 안의 색을 바꾼다. 조명 옆에 달린
카메라
가 구두를 찍으면 컴퓨터가 구두 색을 인식해 상황에 따라 적절한 색을 결정하기 때문이다.이번엔 계산대 위에 놓인 달력 모양의 플립북을 집어 들어 한 장을 넘기자 마치 마술처럼 한순간 매장 전체가 ... ...
봄날의 달빛을 좋아하세요?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가장 오른 쪽에 보이는 검은 부분이 ‘위난의 바다’에요. 아래쪽에 풍요의 바다가 보이죠? 그 위 그림자에 반쯤 가린 부분이 ‘맑음의 바다’에요.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 ... 뒤 자정 무렵 지평선 아래로 진다. 근처 천문대를 방문해 망원경으로 달과 화성의 조우를
카메라
로 찍어보자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디지털
카메라
에 제대로 나올 수 있을까 생각했지만,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노출시간과
카메라
의 각도에 따라 상태는 달라지지만, 고리를 걸친 토성을 선명하게 잡을 수 있었고 위성까지 잡히기도 했다. 인간 해시계와 뉴턴의 사과나무니시하리마 천문대가 준 선물은 이 밖에도 두 가지가 더 있었다. ... ...
시각장애인, 촉각기술로 글씨 쓴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알아볼 수 있을 정도의 글씨를 쓸 수 있었다.국립대만대 추 하오후아 교수팀은
카메라
와 센서를 이용한 이 닦기 게임을 선보였다. 게임 대상은 칫솔질이 서투른 유치원생 나이대의 어린이다.추 교수팀은 각 면에 센서가 3개씩 달린 직육면체를 칫솔 끝에 부착했다. 센서들은 칫솔의 움직임을 감지해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