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정"(으)로 총 3,15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01
- 규모부터 균일하다고 주장한다.방법은 이렇다. 탐사 영역 안의 한 은하를 중심으로 특정 반지름의 구를 정한다. 그리고 구 안의 은하들을 센다. 이를 균일한 분포에서 예측되는 개수로 나눈다(상대개수비). 이때 균일한 분포란, 구가 커질수록 반지름의 세제곱에 비례해 은하 개수가 증가하는 ...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701
- 도착한 뒤 녹아 없어지는 로봇 등이다.유 교수는 “기존에는 줄기세포를 주사로 주입해 특정 부위에 퍼져나가게 하는 정도였지만, 마이크로 로봇을 이용하면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를 전달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융합 레시피전문성 × 활발한 소통두 사람은 각자 ... ...
- Part 3. 세상에 이런 시계가? 별별 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01
- 왔는지도 알려 준다.내 맘대로 만드는 아두이노 시계 아두이노를 이용해 5분 단위로 특정한 LED에 불이 들어오게 만든 한글 시계. 아두이노는 코딩에 따라 움직이는 전자기기를 만들 수 있는 개발도구와 각종 센서, 등을 말한다. 아두이노를 이용하면 다양한 형태와 기능이 있는 시계를 만들 수 ...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01
- 뇌파에 변화가 나타났다.하지만 애슬 박사는 “뇌 훈련이 뇌파를 변화시켰을 수 있지만 특정 인지 과제에 대한 뇌기능을 향상시키는지는 알 수 없다”며 “뇌 훈련이 효과가 있다는 증거가 미약하고, 뇌 기능이 어떻게 바뀌어 가는지 현재로서는 아는 바가 거의 없다”고 적었다. 연구결과는 ...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과학동아 l201701
- 반지름이 감소하는 구간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가장 쉬운 방법은 빛의 속도가 특정 기간 동안 점점 느려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양자역학과 특수상대성이론(광속 불변의 법칙)에 위배된다. 기존 이론과 일치하는 방안을 생각해야 한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허블 반지름이 ... ...
- Part 4. 기계와 생물의 결합, 바이오 마이크로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23
- 빌린 마이크로 로봇이에요. 생물들은 에너지를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물론 특정한 환경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이동할 수 있거든요. 그래서 생물들의 능력을 본뜬 생체모방 로봇도 많이 만들어졌지요. 하지만 바이오 마이크로 로봇은 능력만 본뜨는 게 아니라 아예 생물 자체를 ... ...
- Part 1. 지금도 발견되고 있는 신종어린이과학동아 l201622
- : 지구상에서 가장 처음 발견되고 분류된 종.**미기록종 : 이미 존재가 알려져 있지만 특정 지역에서는 처음 발견된 종.그렇다면 신종을 찾고 분류하는 일이 왜 중요할까요? 만약 우리가 이름도 존재도 모르는 어떤 생물이 멸종해 버렸다면, 우린 그 생물이 멸종했다는 사실도 모른 채 지나가 버리게 ... ...
- Part 3. 우주쓰레기를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22
- 태양과 달의 영향 등으로 궤도가 계속 바뀌거든요. 또한 하나의 망원경으로는 특정 위성을 하루에 4~5분씩, 2~3회 정도밖에 볼 수 없고요.이에 미국 ‘통합우주운영센터’는 전세계 30곳에 있는 망원경과 레이더의 정보를 모아 2만 개의 우주물체 궤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전세계에 제공하고 ... ...
- 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패션의 일부로 ‘서클렌즈’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거든요. 서클렌즈는 홍채 부분에 특정색이 나타나도록 색소를 입힌 렌즈예요. 따라서 렌즈를 끼고 홍채 인식을 할 경우 카메라가 조임근의 모양을 읽어낼 수 없지요.또 눈꺼풀이 홍채의 일부를 덮고 있을 경우에도 카메라가 홍채를 찾아내기 ... ...
- Part 1. 몸이 열쇠가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수 있다는 단점은 여전히 남아 있답니다.그래서 사람들은 다른 사람이 복제하기 힘들고, 특정 사람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했어요. 그 결과 생체 인식 기술이 등장했답니다. 생체 인식 기술은 지문과 홍채, 걸음걸이 등 사용자가 가진 신체나, 행동의 특징을 열쇠로 사용하는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