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정"(으)로 총 3,152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11
- 이미 카메라와 마이크는 휴대폰 속에 들어가 있지요. 특정 단어를 들을 때, 특정 이미지를 볼 때, 국민들의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곧 알 수 있게 됩니다. SNS에 자주 오르내리는 단어 추출 따위 죽은 기술이 아닙니다. 살아서 펄펄 뛰는 의지의 총합입니다. 루소가 『사회계약론』을 펴낸 지 250여 ... ...
- [가상인터뷰] “부르르~!” 암컷을 유혹하는 진동!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미세한 비늘들이 층층이 쌓여 있는 모양을 하고 있어요. 깃털에 있는 작은 비늘들은 특정한 색의 빛만을 반사하는 역할을 해요. 또한 비늘이 어떻게 놓여 있냐에 따라 반사하는 색이 다양하게 변하기도 하지요. 사람의 눈은 반사된 빛을 이용해 색을 구별하기 때문에, 공작새의 깃털이 우리 눈에 여러 ...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내 맘대로! 컴퓨터 언어의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곳은 적지만,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널리 확대되고 있답니다.프로그래밍 언어 중에는 특정한 상황에서만 쓸 수 있는 종류도 있어요. 인터넷 웹브라우저를 사용하다 보면 익숙해지는 이름인 ‘자바 스크립트’가 대표적이지요. 자바 스크립트는 C나 파이썬과 달리 자기 혼자서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10
- 넣어서 다른 연구자들은 참여할 수 없게 만들었다”며 “과제 제안 요청서(RFP)를 보면 특정 인물의 이름이 떠오르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첫 번째 도전에서 고배를 마시고 ‘재수’를 했다. 이번에는 어렵사리 서류평가를 통과해 발표평가를 받을 수 있게 됐다. 그런데 뭔가 이상하다.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10
- 되고 있냐”며 안부를 물었다. 도마고즈 바레틱 연구원이 최근 동결전자현미경으로 특정 단백질을 인산화시키는 효소의 구조를 풀었다는 이야기를 하자, 이 연구원은 “나도 그 단백질에 관심이 있다”며 “다시 만나서 좀 더 이야기해 보자”고 말했다. 새로운 연구가 시작될지 모르는 순간이었다 ... ...
- [소프트웨어] 눈에 보이는 게 다가 아니지~ 착시 퍼즐수학동아 l201610
- 보이지만 다른 방향에서 보면 세 변이 직각으로 꺾인 입체도형이에요. 펜로즈 계단 역시 특정 방향에서 보면 떨어져 있는 대상이 서로 닿아 계단처럼 보여요.스테이지를 통과하면서 어떤 에스허르의 작품이 녹아 들어갔는지, 또 어떤 착시 도형이 쓰였는지 알아보는 것도 모뉴먼트 밸리를 재미있게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 2수학동아 l201610
- 다른 참가자의 말이 내 자리로 오면 하트 2개를 잃는다.❹골드로 아이템을 살 수 있고, 특정 아이템 칸에 도달하면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침묵 게임게임규칙문제를 만들기 전까지는 침묵하고, 문제를 만든 다음에는 교실 뒤편 칠판에 나가서 자유롭게 질문하고 답을 맞히는 게임이다. 두 팀이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10
- NIH와 하워드휴즈의학연구소(HHMI)로부터 연구비를 받았다”며 “특히 HHMI의 연구비는 특정 주제가 아니라 연구자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5년 동안 무얼 연구하든 상관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5년 뒤에는 그 동안 이룬 학문적 성과에 대해 엄격하고 까다로운 심사를 거쳐 계속 지원할지 여부가 ...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과학동아 l201610
- 인공위성을 통해 WHOI의 해양생태학 연구실 컴퓨터로 전송된다. 실제로 홈페이지에서 특정 해역에 어떤 고래가 지나갔는지 확인할 수 있다. WHOI는 앞으로 이 정보를 선박과 실시간으로 공유해 배의 속도를 늦추거나 정지하게 해 고래가 배를 피하게 할 계획이다. 하늘에서도 기계와 동물의 충돌을 ...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10
- 유전자를 찾아내야 한다. 이때 사용하는 기술이중합효소연쇄반응(PCR)이다. 유전자의 특정 서열을 수십억개씩 복제해서 그 유전자가 바이러스나 암 유전자가 맞는지 확인한다. 이 기술을 고안한 캐리 멀리스 박사는 1993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하지만 이 기술을 활용하는 데 큰 문제가 있었다.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