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손
뒷자손
후속
후예
d라이브러리
"
후손
"(으)로 총 322건 검색되었습니다.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0
기원전 3000년경에는 최초의 문자가 등장했다. 문자 덕분에 지식을 널리 퍼뜨리거나
후손
들에게 전하는 일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문자가 발명된 뒤에도 지식은 소수의 사람들이 독점하고 있었다. 지식이 널리 보급된 건 인쇄술이 발명된 뒤였다. 인쇄술로 책을 많이 만들어 내자 누구나 지식을 접할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05
점을 밝혀냈다. 또한 1930년대 한 일본인이 대구에서 구입해 최근까지 일본에서 그의
후손
이 소장해왔던 이 유물은 한국과학사학계의 원로인 전상운 교수와 미야지마 교수가 함께 소장자를 설득해 한국으로 되돌아올 수 있었다(관련기사 동아일보 2007년 12월 7일자 문화면).미야지마 교수는 교토대 ... ...
첨단과학 포장이사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4
투명해서 붙인 흔적이 잘 보이지 않는 장점이 있죠. 특히 아세톤에 쉽게 녹기 때문에
후손
들이 좀 더 과학적인 방법으로 다시 복원하려고 기존 접착제를 제거할 때 아주 손쉽고 깨끗하게 없앨 수 있답니다. 물감이 후두둑~ 떨어졌다고요?그림은 찢어지거나 온도, 습도의 변화로 훼손되지 않도록 특히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03
시나리오다. 세포내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가 이때 포획된 박테리아의
후손
이다.마굴리스 교수는 공생 가설의 주인공으로 서모플라스마라는 고세균을 끌어들였다. 즉 고세균에 포획된 박테리아가 세포내 소기관이 됐다는 말이다. 이 가설은 1990년대 큰 인기를 끌었고 고세균은 분류학자를 ... ...
고래 조상은 너구리만 한 포유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2
4800만 년 전 물가에 살았던 너구리만 한 포유동물인 ‘인도휴스’가 고래의 조상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미국 오하이오대학교의 한스 테비센 교 ... 물 속 생활에 맞는 구조로 진화했을 거래요. 그러니 고래의 조상이 오늘날 고래를 본다면
후손
을 못 알아볼지도 모르겠습니다 ... ...
태와사신기 - 사신의 부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1
보호받기를 빌었다. 뿐만 아니라 사신의 모습을 닮은 터에 무덤을 만들거나집을 지으면
후손
에게 좋은 일이 생긴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런 터를 찾기가 쉽지 않았고, 왕실이나 귀족은 일찍 가족의 무덤 터를 잡아 놓는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런 터를 찾는 대신 무덤 안에 사신의 모습을 ... ...
과학자들의 수다 최초과학자 3인은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9
설치해 놓고 혼천 의와 같은 천문기구로 하늘을 관찰하는 일을 즐겼네. 말하다 보니 우리
후손
들을 만나 직접 얘기하고픈 마음이 커지는구만. 어서 초대장에 내 이름을 쓰시게, 고 기자초대할 세 명의 과학자는 누구?“쿵! 아얏!”아이고, 엉덩이야! 바닥으로 떨어지면서 엉덩방아를 찧고 말았어. ... ...
PART2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
200712
지켜준 카레, 인도의 전통음식이 될 자격이 있다.We Are What We Eat!조상이 먹던 음식을
후손
이 대대로 먹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지역의 기후조건이 어떤 작물의 재배에 알맞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그 음식이 민족에게 유익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리고 민족은 그 음식에 적응하며 자신의 게놈을 ... ...
여왕이 성(性)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712
않은 알에서는 수벌이 태어난다. 암벌은 장차 일벌로 자라나기 때문에 꿀벌 집단에서
후손
의 성비를 조절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지금까지 곤충학자 사이에서는 꿀벌의 성별을 일벌이 결정한다는 주장이 정설이었다. 일벌은 여왕벌이 알을 낳을 방의 크기를 조절해 짓는데, 방의 크기가 크면 ... ...
만물의 영장 빚어낸 손가락
과학동아
l
200712
수 있다”고 말했다. 자연선택설은 열악한 환경에서 살아남은 개체의 우수한 형질이
후손
에게 전달돼 일어나는 진화의 방법이다. 파보 박사도 “구석기인류와 신석기인류의 전쟁에서 신석기인류가 살아남아 현생인류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손가락이 발달하면 어떤 점이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