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손
뒷자손
후속
후예
d라이브러리
"
후손
"(으)로 총 322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천재선수, 유전자부터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09
서아프리카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미국 흑인의 다수도 서아프리카 흑인노예의
후손
이다. 엔틴은 “육체적 능력이 결과를 가장 크게 좌우하는 종목인 1백m의 상위기록 5백개를 보면 6개를 제외하고는 모두 서아프리카계 흑인들이 세운 것”이라고 말한다.다양한 연구결과 서아프리카계 흑인 ... ...
아빠없이 태어난 쥐
과학동아
l
200405
방법도 있다.어쨌거나 이 모든 경우 염색체가 여성에게서만 온 것이기 때문에 태어날
후손
도 딸이 된다. 전설상의 아마조네스 여성 전사들이 우리 곁에 다가와 있는지도 모르는 일이다 ... ...
02. 지능, 유전의 영향 나이들수록 막강
과학동아
l
200405
1/8(12.5%)이 전달된다. 따라서 갈톤의 발견은 저명인사와 유전자를 공유하는 비율과
후손
이 저명인사가 될 확률이 대체로 비례한다고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20세기 초 유럽과 미국에서 자행된 우생학 남용은 지능의 유전성을 진지하게 연구하는데 한동안 큰 장애가 됐다.6번 염색체에 관련 유전자 ... ...
아프리카 '루시' 부터 평양 '만달인' 까지
과학동아
l
200405
모자이크된 호모 사피엔스 인골사진이 걸려있다. ‘우리는 호모 사피엔스, 한 어머니의
후손
’ 이라는 글귀가 눈에 들어온다. 인류의 고된 여정을 되돌아보면서 오늘날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종교와 이권을 둘러싼 피비린내나는 동족(호모 사피엔스)상잔의 비극이 어서 끝나기를 기원해 ... ...
과학으로 본 얼짱과 몸짱 열풍
과학동아
l
200403
유전자만 살아남는 진화가 이뤄지고 있다고 주장했다.오늘날 많은 과학자들은 자신의
후손
을 번성시키기 위해 아름다운 외모를 갈망하는 게 인간의 유전자에 각인돼 있다는데 동의하고 있다. 결국 아름답고 건강하게 보이려고 성형수술이나 운동에 매달리는 것은 유전자에 의해 명령된 아주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02
백16년만의 세계일주’ 참고). 여기에서 피카드는 최초로 성층권 진입에 성공한 피카드의
후손
이다. 피카드가(家)는 모험가 집안으로 전세계적으로 유명하다.세계일주 기록은 국제항공협회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기구비행기록 4가지 중 3개를 차지한다. 국제항공협회는 기구비행에 대해 최고고도, ... ...
모자 미라에 바쳐진 흰 국화꽃
과학동아
l
200312
노인 한분이 오셔서 꽃을 두고는 한동안 자리를 뜨지 못하시더군요. 아마 파평윤씨
후손
인가 봅니다. 원래 이런걸 두면 안되지만 그분의 뜻을 기려 그냥 두기로 했습니다.”구경을 마치고 기자는 안내자와 인사를 나눴다. 뜻밖에 종합연구논문집에 ‘파평윤씨 모자 미라 염습과정 고찰’이라는 ... ...
4 인간 감성 충족시키는 생각하는 기계
과학동아
l
200310
연산을 통해 두 염색체의 일부를 상호 교체한다. 이는 실제 생물의 유전자가 교차를 통해
후손
의 염색체가 부모 양쪽의 특성을 모두 물려받는 과정을 모방한 것이다. 또한 돌연변이 연산을 통해 염색체의 일부분을 아주 낮은 확률로 0은 1로, 1은 0으로 바꾼다. 이는 생물체에서 낮은 확률로 부모의 ... ...
2 정자, 난자, 배아 얼려 임신 조절한다
과학동아
l
200308
얼음결정의 공격에 비교적 강한 특성을 보이는 것이다. 정자가 이런 구조를 갖게된 데는
후손
을 더 많이 남기려는 진화의 결과이겠지만, 냉동학자의 입장에서는 여간 기특한 구조가 아닐 수 없다. 조금 과장해서 말하면 정자는 ‘대충’ 얼린 다음 해동해도 다시 살아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는 ... ...
울릉도 1백년 전설 돈스코이호
과학동아
l
200307
해군역사박물관에는 이 군함의 대형 모형이 전시돼 있다. 그리고 지금도 당시 병사의
후손
들이 박물관에서 근무하고 있다.초음파 원리로 해저 지형도 제작러·일전쟁의 기록에 따르면 돈스코이호는 1905년 5월 29일 울릉도 저동 앞바다에 침몰했다. 이를 근거로 한국해양연구원에서는 1999년 10월부터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