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수"(으)로 총 1,3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히어로, 출동! 슈퍼 M] 머리카락이 몇 개인지 어떻게 세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놀이북 8쪽과 함께 보세요! 저는 이제 혼자서 샤워도 하고 머리도 감아요. 그런데 머리를 감고 말릴 때 머리카락이 너무 많이 빠져요. 이렇게 많이 빠져도 괜찮은 ... 머리카락 전체 개수는 130×763=99190이므로 약 9만 9190개인 셈이지요. 어린이의 머리카락 개수는 130×633=약 8만 2290개예요 ... ...
- [출동! 슈퍼M 수학 히어로] 머리카락은 몇 개일까?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본책 46쪽과 함께 보세요! 머리카락은 몇 개일까? 내 머리카락은 몇 개인지, 다른 사람의 머리카락과 어떻게 다른지 알고 있나요? 슈퍼M과 함께 확인해 봐요 ... 머리카락 개수를 구해보자! 우리 가족의 머리카락은 각각 몇 개일까요? 아래 방법대로 머리카락 개수를 구해서 적어 보세요 ... ...
- [커리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안성천의 생물다양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자체의 특성과 생체 내 섭취 기준량 등 관련된 논문을 공부하며 수계 중 설치할 위치, 개수 등을 정확히 명시하는 것과 같이 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답안을 마련했습니다.저희는 단 둘이서 경연을 준비했는데 서로의 아이디어 구상 스타일이 정반대였습니다.한 명은 참신한 아이디어에 중점을 두고 ... ...
- [수학체험 유랑단] 영암의 테셀레이션 의상실을 찾다!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준정규 테셀레이션’이라는 방법도 있습니다. 한 꼭짓점에 모이는 내각의 합이 도형의 개수와 상관 없이 360°만 이루면 됩니다. 이를 활용해 나만의 티셔츠를 또 만들어 볼 수 있어요 ... ...
- [특집] GPT-4의 4가지 가능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개수가 적은 식은 직선밖에 표현하지 못해 단순한 현상만 나타낼 수 있다. 반면 연산의 개수가 많아지면 우리가 표현할 수 있는 함수의 복잡성이 증가한다. 복잡성의 함수화가 가능해지면 AI의 일반화 능력이 크게 증가한다. 대개 하나를 가르치면 열을 아는 것을 똑똑하다고 말하는데 바로 이것이 ... ...
- [출동, 수학 히어로! 슈퍼M] 버스 번호에 숨은 비밀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도심으로 갈 일이 있다면 광역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지요. 광역버스는 정류장의 개수가 적은 편이어서 서울시와 수도권 사이를 더 빠르게 이동할 수 있어요. 번호만 알면 어디로 가는지 안다? 버스 번호가 너무 다양해서 무엇을 타야 할지 헷갈린다고요? 버스 번호에 숨은 ‘규칙’을 알면 ... ...
- [어수티콘 사전] 자연수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우리에게 가장 자연스러운 수가 되었나요? 수달 : 아주 먼 옛날 사람들은 어떤 물건의 개수를 세기 위해 수를 사용하기 시작했어요. 물건이 한 개 있으면 1, 다섯 개일 땐 5, 백 개일 땐 100으로 나타냈지요. 이렇게 수를 세다 보니 자연수가 일상에서 가장 자연스럽게 자주 사용하는 수로 자리 잡은 ... ...
- [꿀꺽! 수학 한 입] 흩어지면 느리고 뭉치면 빠르다! 과자는 모두 몇 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센 다음 남은 과자의 개수를 더하면 된답니다. 사실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물건의 개수를 빠르고 간편하게 세기 위해 묶어 세기를 했어요. 지금으로부터 약 5000년 전,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살았던 수메르인은 특별한 도구를 사용했어요. 바로 고깔, 구슬, 공 모양의 진흙 조각이에요. 각 ... ...
- [특집]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순없더라도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큐비트 소자끼리만 상호작용을 한다. 이렇게 되면 양자컴퓨터를 구성하는 큐비트 소자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양자컴퓨터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는 양자전송을 이용해 멀리 떨어져 있는 큐비트 소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매개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양자전송은 ... ...
-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것이었다. 그는 염색체의 개수가 다른 개체의 특징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염색체의 개수를 인위적으로 바꾸어 생식 능력(씨앗)을 제거한 수박을 만들었다. 기하라는 수박꽃의 수술에 콜히친(colchicine)이라는 약품을 발라 성염색체의 감수분열이 일어나지 않도록 했다. 그러면 꽃가루의 염색체 수는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