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갯수
수효
수리
수선
손질
수량
분량
d라이브러리
"
개수
"(으)로 총 1,328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슈퍼M 수학 히어로] 머리카락은 몇 개일까?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02호
+본책 46쪽과 함께 보세요! 머리카락은 몇 개일까? 내 머리카락은 몇 개인지, 다른 사람의 머리카락과 어떻게 다른지 알고 있나요? 슈퍼M과 함께 확인해 봐요 ... 머리카락
개수
를 구해보자! 우리 가족의 머리카락은 각각 몇 개일까요? 아래 방법대로 머리카락
개수
를 구해서 적어 보세요 ... ...
[특집] GPT-4의 4가지 가능성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개수
가 적은 식은 직선밖에 표현하지 못해 단순한 현상만 나타낼 수 있다. 반면 연산의
개수
가 많아지면 우리가 표현할 수 있는 함수의 복잡성이 증가한다. 복잡성의 함수화가 가능해지면 AI의 일반화 능력이 크게 증가한다. 대개 하나를 가르치면 열을 아는 것을 똑똑하다고 말하는데 바로 이것이 ... ...
[수학 히어로, 출동! 슈퍼 M] 머리카락이 몇 개인지 어떻게 세나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02호
+놀이북 8쪽과 함께 보세요! 저는 이제 혼자서 샤워도 하고 머리도 감아요. 그런데 머리를 감고 말릴 때 머리카락이 너무 많이 빠져요. 이렇게 많이 빠져도 괜찮은 ... 머리카락 전체
개수
는 130×763=99190이므로 약 9만 9190개인 셈이지요. 어린이의 머리카락
개수
는 130×633=약 8만 2290개예요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넌 다리가 몇 개니? 귀뚜라미 로봇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2호
다리가 많으면 얼마나 편리한지 보여주겠다고 하셨죠. 그런데 이 귀뚜라미 로봇의 다리
개수
가 …, 8개?! 만들어 보자!지그와 와셔를 활용해 로봇 이번 메이커에서는 귀뚜라미를 닮은 보행로봇을 만들어볼 거예요. 먼저 다리를 잘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 기어의 순서에 주의하며 몸통을 ... ...
[수학체험 유랑단] 영암의 테셀레이션 의상실을 찾다!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준정규 테셀레이션’이라는 방법도 있습니다. 한 꼭짓점에 모이는 내각의 합이 도형의
개수
와 상관 없이 360°만 이루면 됩니다. 이를 활용해 나만의 티셔츠를 또 만들어 볼 수 있어요 ... ...
[수학 체험 유랑단] 색종이 6장으로 완성한 초간단 정육면체 모빌!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그런 뒤 빈 부분을 정삼각형과 정사각형으로 채우면 돼요. 이렇게 부풀려서 만든 면의
개수
는 정삼각형 8개와 정사각형 18개로 총 26개입니다. 부풀린 육팔면체는 앞서 정육면체 모빌을 만들던 종이접기로도 만들 수 있는데요. A색 면 6장과 B색 면 18장을 위의 전개도 모양으로 조립하면 된답니다 ... ...
[특집]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순없더라도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큐비트 소자끼리만 상호작용을 한다. 이렇게 되면 양자컴퓨터를 구성하는 큐비트 소자의
개수
가 증가함에 따라 양자컴퓨터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는 양자전송을 이용해 멀리 떨어져 있는 큐비트 소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매개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양자전송은 ... ...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것이었다. 그는 염색체의
개수
가 다른 개체의 특징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염색체의
개수
를 인위적으로 바꾸어 생식 능력(씨앗)을 제거한 수박을 만들었다. 기하라는 수박꽃의 수술에 콜히친(colchicine)이라는 약품을 발라 성염색체의 감수분열이 일어나지 않도록 했다. 그러면 꽃가루의 염색체 수는 ... ...
[어수티콘 사전] 자연수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우리에게 가장 자연스러운 수가 되었나요? 수달 : 아주 먼 옛날 사람들은 어떤 물건의
개수
를 세기 위해 수를 사용하기 시작했어요. 물건이 한 개 있으면 1, 다섯 개일 땐 5, 백 개일 땐 100으로 나타냈지요. 이렇게 수를 세다 보니 자연수가 일상에서 가장 자연스럽게 자주 사용하는 수로 자리 잡은 ... ...
[기획] 나노 세계에 0차원이 있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정확하게는 기하학)에서 차원은 공간 내에 있는점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축의
개수
입니다. 공학은 이를 차용해 물질의 모양의 기하학적 특성을 점과 선, 면, 입체로 구분해 차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나노 세계에서 처음 차원을 나눈 것은 1994년 리처드 시겔 미국 렌슬래르폴리테크닉대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