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수"(으)로 총 1,3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찰칵! 전시회] 맛있는 건 나누고, 달콤함은 곱한다! 과자 선물세트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세 상자, 네 상자분홍색 마카롱 다섯 상자와 노란색 마카롱 네 상자를 가져왔더니 드디어 개수가 같아졌네요! 분홍색 마카롱 20개, 노란색 마카롱 20개! 말랑말랑 곰돌이 젤리! 이번에는 귀여운 곰돌이 젤리가 한가득 있네요! 각양각색의 젤리 70개가 10개씩 일곱 줄로 나란히 줄지어 있어요. 이중 ... ...
- 정부 발표부터 9월 모의평가 결과 분석까지, 킬러문항 논란 일지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초고난도 문항이 없어진 대신 킬러문항보다 한 단계 아래 난도인 ‘준킬러문항’의 개수가 늘어났다”고 설명했어요. 반면 수학 영역 만점자는 지난해 수능 934명, 지난 6월 모평 648명이었는데, 이번 9월 모평 2520명으로 크게 늘었어요. 최상위권 변별력이 떨어지는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자 ... ...
- [Mathematician] 질병 분석부터 지하철 혼잡도 개선까지 삶의 문제 해결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있는 수학적 근거가 오일러 지표예요. 위상수학에서는 도형의 크기나 모양보다는 고리의 개수, 즉 오일러 지표를 중요하게 봐요. 어떤 도형의 모양을 자르거나 구멍 내지 않고 바꿨을 때 오일러 지표가 같으면 위상수학적으로 같거든요. Q. 일상 문제를 풀어보니 어떤가요? 순수수학으로 세상의 ... ...
- [똥손 수학체험실] 미니 행복 일기장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2의 3배는 2를 세 번 더하는 것, 즉 2+2+2(=23)를 의미해요. 종이를 네 번 접었을 때 칸의 개수는 2의 4배(24)인 8칸이 되었지요. 사실, A4용지도 더 커다란 종이를 반으로 접고, 또 반으로 접어서 만든 거예요. 전 세계에서 함께 쓰기로 약속한 종이의 규격★을 ‘A용지’라고 하는데, 종이의 크기가 2배씩 ... ...
- [수학 상위 1% 비밀 무기] 중1 때 을 독학한 비법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수를 찾는 문제를 출제했어요. 네 자릿수 abcd가 있을 때 조건을 만족하는 a, b, c, d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로, 2d + ( a + b + c )가 19의 배수라는 규칙을 찾지 못하면 풀 수 없는 문제였지요. 지원자들이 어떻게 풀었는지 묻는 면접을 본 다음 1학년 10명을 뽑았어요. Q. 수학을 잘하고 싶은 학생들에게 ... ...
- 드디어 나왔다! 수학동아 프리미엄 프로그램 챗GPT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모니터로 보면서 어떤 질문을 할지 친구들과 함께 고민합니다. 총 3문제를 푼 뒤, 맞힌 개수와 멘토 카드 사용 빈도로 점수를 매겨 승자를 가렸어요. “제발!”, “조금만 더 해 봐!”라면서 응원하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들렸어요. 이토록 치열했던 게임은 G팀 120점, P팀 160점, T팀 80점으로 G팀이 ... ...
- [냠냠! 어수잼] 달콤하게 곱하고, 쫀득하게 나눠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더 간단하게 셀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사탕을 한꺼번에 아주 많이 만든다면 개수를 세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릴 테니까요. ‘좋은 방법이 없을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Part1. [냠냠! 어수잼] 달콤하게 곱하고, 쫀득하게 나눠요!Part2. [냠냠! 어수잼] 주문대에 나타난 손님Part3. ...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배달의 문어 출발~ 사탕을 집 앞까지 무사히!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상자들에 세 종류의 사탕을 나누어 담아야 해요. 모든 상자에는 사탕이 종류별로 똑같은 개수만큼 들어가야 하지요. 몇 개씩 담아야 좋을지 생각해 보세요! 짤랑 짤랑 잔돈 준비! 배달하러 가려면 손님에게 줄 거스름돈도 충분히 챙겨야 하지요. 아래의 ‘배달 지갑’에 동전을 종류별로 몇 개씩 ... ...
- 슬기로운 수학생활 멘토링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문제를 푼 전준혁 회원은 칠판 앞에 나와 풀이의 내용을 설명했는데요. 살펴보니, 순열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에서 순서와 상관없이 선택하는 경우와 순서를 고려해 선택하는 경우를 헷갈렸지만 문제를 잘 풀었습니다. 전 회원의 발표를 들은 서창환 회원은 “초등학생이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 ...
- Part4. 가장 먼 곳의 붉은 은하를 찾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밝은 별들이 적게 섞여 있다. 이렇게 한 은하 안에 질량이 가벼운 별부터 무거운 별들의 개수가 어떻게 분포하는지를 은하의 ‘초기질량 함수(IMF・Initial Mass Function)’라고 부른다. IMF를 알면 은하의 밝기만 보고도 은하의 질량을 유추할 수 있기에, 천문학자들이 사용하는 중요한 개념 중 하나다.IMF는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