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수"(으)로 총 1,3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체험 유랑단] 단청을 품은 플레사곤 장난감 만들기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새로 더 나타나요. 즉 3개의 면으로 구성돼 있어요. 플렉사곤은 뒤집었을 때 나오는 면의 개수에 따라 삼단, 사단, 오단이라고 이름을 붙여요. 이연희 교사는 “평면 도형이 입체 도형으로 변하는 특징 때문에 계속 뒤집다보면 마치 시작과 끝이 없는 뫼비우스 띠처럼 느껴진다”며, “3개의 면에 ... ...
- [최신 이슈] 양자컴퓨터 만들 새로운 플랫폼 등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작은 양이다. 연구에 참여한 홍 부이 양자나노과학 연구단 박사과정 학생 연구원은 “개수를 늘리기 위한 여러 방법을 연구 중”이라며 “핵스핀을 제어하는 방법, 완전히 새로운 분자를 사용하는 방법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현재는 각 큐비트의 수명이라 불리는 완화시간과 ... ...
- [최신 이슈] 최적의 직사각형 비율로 뫼비우스 띠 만들어볼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초창기 수학자들은 ‘오일러 종수’라는 공식을 통해 꼭짓점, 모서리, 면의 개수를 계산한 값으로 곡면을 분류했습니다. 하지만 오일러 종수만으로는 모든 곡면을 완벽하게 분류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다 뫼비우스 띠라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등장했습니다. 뫼비우스 띠의 특징인 방향성으로 곡면을 ...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배달의 문어 출발~ 사탕을 집 앞까지 무사히!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상자들에 세 종류의 사탕을 나누어 담아야 해요. 모든 상자에는 사탕이 종류별로 똑같은 개수만큼 들어가야 하지요. 몇 개씩 담아야 좋을지 생각해 보세요! 짤랑 짤랑 잔돈 준비! 배달하러 가려면 손님에게 줄 거스름돈도 충분히 챙겨야 하지요. 아래의 ‘배달 지갑’에 동전을 종류별로 몇 개씩 ... ...
- [수학 상위 1% 비밀 무기] 중1 때 을 독학한 비법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수를 찾는 문제를 출제했어요. 네 자릿수 abcd가 있을 때 조건을 만족하는 a, b, c, d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로, 2d + ( a + b + c )가 19의 배수라는 규칙을 찾지 못하면 풀 수 없는 문제였지요. 지원자들이 어떻게 풀었는지 묻는 면접을 본 다음 1학년 10명을 뽑았어요. Q. 수학을 잘하고 싶은 학생들에게 ... ...
- 드디어 나왔다! 수학동아 프리미엄 프로그램 챗GPT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모니터로 보면서 어떤 질문을 할지 친구들과 함께 고민합니다. 총 3문제를 푼 뒤, 맞힌 개수와 멘토 카드 사용 빈도로 점수를 매겨 승자를 가렸어요. “제발!”, “조금만 더 해 봐!”라면서 응원하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들렸어요. 이토록 치열했던 게임은 G팀 120점, P팀 160점, T팀 80점으로 G팀이 ... ...
- 슬기로운 수학생활 멘토링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문제를 푼 전준혁 회원은 칠판 앞에 나와 풀이의 내용을 설명했는데요. 살펴보니, 순열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에서 순서와 상관없이 선택하는 경우와 순서를 고려해 선택하는 경우를 헷갈렸지만 문제를 잘 풀었습니다. 전 회원의 발표를 들은 서창환 회원은 “초등학생이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 ...
- [똥손 수학체험실] 미니 행복 일기장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2의 3배는 2를 세 번 더하는 것, 즉 2+2+2(=23)를 의미해요. 종이를 네 번 접었을 때 칸의 개수는 2의 4배(24)인 8칸이 되었지요. 사실, A4용지도 더 커다란 종이를 반으로 접고, 또 반으로 접어서 만든 거예요. 전 세계에서 함께 쓰기로 약속한 종이의 규격★을 ‘A용지’라고 하는데, 종이의 크기가 2배씩 ... ...
- [냠냠! 어수잼] 달콤하게 곱하고, 쫀득하게 나눠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더 간단하게 셀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사탕을 한꺼번에 아주 많이 만든다면 개수를 세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릴 테니까요. ‘좋은 방법이 없을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Part1. [냠냠! 어수잼] 달콤하게 곱하고, 쫀득하게 나눠요!Part2. [냠냠! 어수잼] 주문대에 나타난 손님Part3. ... ...
- Part4. 가장 먼 곳의 붉은 은하를 찾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밝은 별들이 적게 섞여 있다. 이렇게 한 은하 안에 질량이 가벼운 별부터 무거운 별들의 개수가 어떻게 분포하는지를 은하의 ‘초기질량 함수(IMF・Initial Mass Function)’라고 부른다. IMF를 알면 은하의 밝기만 보고도 은하의 질량을 유추할 수 있기에, 천문학자들이 사용하는 중요한 개념 중 하나다.IMF는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