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면
바깥
외부
외면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겉
"(으)로 총 1,068건 검색되었습니다.
[집콕 과학] 스포츠 음료, 집에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맛이 납니다(레몬즙을 넣기 전까진 절대 맛을 보지 마세요! 비릿한 콧물 맛이 납니다).
겉
보기도 똑같이 만들고 싶다면 식용색소를 첨가하면 됩니다. 파X에이드는 파란색, 게X레이는 연두색 색소를 준비하면 되겠네요.스포츠 음료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운동선수를 위해 개발됐습니다. 운동할 때 ... ...
[수학뉴스] 조작된 인스타그램 좋아요 수 기계학습으로 밝힌다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좋아요 수와 댓글 수가 많아질수록 ‘인플루언서’가 될 확률이 높기 때문인데요,
겉
으로 보기에는 좋아요가 조작된 게시물인지 알기 어렵습니다.연구팀은 먼저 400개의 팟즈를 추적한 뒤 여기에 속한 계정 11만 1455개와 이들이 올린 게시물 180만 개를 분석했습니다. 그 뒤 기계학습을 이용해 ... ...
[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한다.장승혁·대상거대 우주 오징어가을철 북쪽 밤하늘을 보면 2등성부터 4등성까지(
겉
보기등급으로 숫자가 낮을수록 밝은 천체다) 5개의 별이 오각형을 이루고 있는 케페우스(Cepheus)자리가 있다. 에티오피아 왕의 이름을 딴 케페우스자리 왼쪽으로는 그의 아내 이름을 딴 카시오페이아자리가 ... ...
[코로나19 팩트체크] 손 소독제는 바이러스를 어떻게 죽이는 걸까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주의를 당부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감염원 에어로졸 발생 위험은 소독제를 뿌릴 때 물체
겉
면에 묻어있던 바이러스가 작은 알갱이 형태로 떠올라 퍼져나갈 수 있다는 뜻입니다. 소독제를 분사하지 말고 수건 등에 묻혀 사람의 손이 닿을 만한 장소를 선별해 닦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으로 암 진단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교수는 “퀀텀닷의 표면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현재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퀀텀닷은
겉
에 껍질을 씌운 코어-쉘 구조로 만들고 있다”며 “껍질을 씌우면 빛은 나오지만 전류는 껍질에 막혀 밖으로 나오지 못하기 때문에 태양전지로는 사용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래서 태양전지용 퀀텀닷은 ... ...
[핵배송 비결2] 수학으로 물류센터 리모델링!
수학동아
l
2020년 04호
되죠! 핵배송 비결은 어지럽히기?! 이런, 같은 물건을 같은 곳에 보관하고 있군요!
겉
보기에는 깔끔하게 정리한 것처럼 보일수록 핵배송과 멀어지는 겁니다. 그 이유는 선반의 각 칸에 여유 공간이 있어도 다른 종류의 물건을 놓을 수 없어 낭비라는 것과, 무엇보다 주문한 물건의 종류가 10개면 ... ...
“로봇 덕후들끼리 아이디어 나눠요”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석좌교수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로봇에 필요한 모터와 유압장치 등을 자체 개발하고 있다”며 “로봇의 속부터
겉
까지 모두 우리 기술로 로봇을 완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 석좌교수는 30여 년 전 과학동아를 구독한 ‘찐’ 과학동아 팬이다. 그래서 ROBOT 보드 어드바이저도 흔쾌히 수락했다. 그는 4월 25일 과학동아 ... ...
위험한 달콤함, 초콜릿의 이중성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활성산소를 없애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얘기는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물론
겉
면에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적어놓은 초콜릿 제품은 거의 없습니다). 그런데 이번 실험으로 플라보노이드가 뇌 인지기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초콜릿은 피부에도 좋습니다. 정진호 ... ...
과학동아천문대장이 보여주는 '이달의 천체 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쌍둥이 행성이라 불리기도 했지만 사실 금성의 모습은 지구와 아주 다르답니다.금성은
겉
보기엔 매우 평온해 보이지만 실제론 그렇지 않아요. 대기의 압력은 지구 대기압의 약 90배 정도이며, 대기의 대부분이 이산화탄소 기체로 이루어져 있지요. 게다가 이산화탄소의 온실효과 때문에 기온은 500℃ ... ...
얼음에서 잘 미끄러지는 진짜 이유? 피겨스케이팅 속 물리학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마찰계수가 작은 이유는 얼음 표면에 존재하는 액체층 때문이다. 빙판은
겉
으로 보기에는 고체 덩어리이지만 안을 들여다보면 표면과 얼음 결정 사이사이에 액체층이 존재한다. 단단한 결정 사이로 유동성이 있는 액체가 움직이면서 스케이트 날과 얼음 사이의 마찰계수를 줄인다.특히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