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겉"(으)로 총 1,0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기자단] 수중 동물 친구들을 만나러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건 수조 속을 아름답게 떠다니는 해파리였어요. 오찬헌 아쿠아리스트는 “해파리는 예쁜 겉모습과 달리 촉수에 독이 있어 위험한 반전 생물”이라고 설명했지요. 이어 전기뱀장어도 소개해주었답니다. 턱 아래에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기뱀장어는 앞이 잘 보이지 않아도 물체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 ...
- [실전!반려동물] 반려새의 건강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정도로 얇아서 뜨거운 음식물이 들어오면 쉽게 상처가 나지요. 소낭에 화상을 입으면 겉으로도 빨간 점이 보이며, 반려새는 기력을 잃고 심한 경우엔 혼수상태까지 올 수 있어요. 화상을 입은 소낭은 절제해야 해요. 곧바로 수술을 할 순 없고, 4~7일 정도 기다려야 하지요. 화상으로 인해 죽은 조직과 ... ...
- [10대의 약] 상처나면 소독약 꼭 발라야 한다 VS. 아니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생각하는 것보다 더 천천히 치유됩니다. 짧게는 수개월부터 길게는 1년 이상 걸리죠. 겉으로는 상처가 다 나은 것처럼 보여도 사실은 여전히 회복 중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흉터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올바른 상처 치료 방법은 무엇인지 문답 형식으로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그와 ISU 교육프로그램에서 함께 강의를 한 것이 계기였다. 그는 첫 만남부터 친근했다. 겉으로는 성격이 나와 반대인 것 같았지만(항상 쩌렁쩌렁한 목소리로 이야기하고 웃기 때문에 어디서든 찾기 쉽다는 말을 듣는 나와 달리, 무카이 박사는 나긋나긋한 목소리로 격조 높게 이야기하는 ...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굳은 상태여서 내부가 더 이상 팽창할 수 없고, 이로 인해 내부에 압력이 생긴다. 겉부분이 이 압력을 견디지 못하면 균열이 생기고 식품의 조직이 파괴된다.냉동공학 전문가인 정진웅 한국식품연구원 중소기업솔루션센터 전문연구원은 “보온, 보냉 등의 포장법을 통해 식품의 내외부 온도를 ... ...
- 긱블 메이킹 현장 급습, 다마스쿠스 호미 머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듯 “약품을 바르는 마지막 과정이 남았다”며 안심시켰습니다.고탄소강과 일반강은 겉보기에는 똑같습니다. 하지만 둘의 물성은 다르고, 그 물성은 합금이 돼도 남아 있습니다. 류 씨가 말한 약품의 정체는 강한 산성 액체입니다. 고탄소강과 일반강은 산에 의해 부식되는 속도가 다릅니다. 탄소가 ... ...
- [매스미디어] 겨울왕국II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강한 눈보라부터 낙엽이 흩날리는 산뜻한 바람, 그리고 모두 태울 듯한 불까지! 겉으로는 무작위해 보이는 움직임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등위집합’을 알아야 해. 등위집합은 유체의 움직임을 수학적으로 기술하는 방법의 하나야. 바람이나 불의 모양을 한번 생각해봐. 수많은 곡선으로 이뤄져 ...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표면 ┃ ‘압력설’ 틀리고 준액체층 맞아얼음에서 액체층은 얼음의 속뿐만 아니라 겉에도 있다. 여기서 추운 겨울날 즐길 수 있는 스케이트 얘기를 잠깐 해보자. 스케이트가 얼음판 위에서 스르륵 미끄러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를 놓고 1800년대부터 학계에서는 여러 주장을 내놨다. 당시 ... ...
- [SF에 묻는다] 200살을 맞은 사나이 vs. 블레이드 러너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중국어 질문과 답변은 각각 외부의 자극과 그에 대한 반응입니다. 같은 논리로 보면, 겉모습이나 행동이 아무리 인간과 똑같다고 해도 인공지능 로봇이 인간처럼 의식을 가졌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설은 인공지능이 인간과 구분할 수 없는 수준으로 대화할 수 있다면 인간처럼 생각할 수 있다고 ... ...
-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작성한 복원 도면을 기초로 완전히 새롭게 만들었다. 유사한 공룡 두개골 구조를 참고해 겉으로는 보이지 않는 내부구조까지 복원했다(뒤에 나오겠지만 이것은 데이노케이루스의 독특한 식사 방식을 설명할 수 있어 의미가 크다). 디지털 복원과정에서 초기 연구에서는 알 수 없었던 새로운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