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정
단언
적정
올바름
언명
결단
단결
d라이브러리
"
단정
"(으)로 총 366건 검색되었습니다.
게임, 뇌에 도움 안 된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것. 그러나 부트 교수는 비디오 게임이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단정
하지는 않았다. 가능성은 있지만 증거가 더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학술지 ‘심리학의 최전선’ 9월 13일자에 실렸다 ... ...
주먹도끼를 찾아 떠나는 구석기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세계학자들은 아시아인은 아프리카나 유럽의 고대인만큼 발달한 문명을 갖지 못했다고
단정
지었지요. 그런데 전곡에서 발견된 주먹도끼가 그 생각을 뒤엎은 거예요. 전곡선사박물관은 주먹도끼를 사용했던 구석기 시대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를 보여 주는 곳이랍니다.구석기 시대를 ... ...
시베리아 횡단열차 살인미수 사건 ②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다들 알리바이가 있는데….”“아니요. 세 분의 알리바이는 엉성하기 짝이 없어요. 아직
단정
지을 순 없죠.”똑 부러지는 도형의 말에 승무원은 말을 마저 잇지 못한다. 퍼즐을 다 푼 도형은 다시 사건에 집중한다. 바로 그때 세르게이의 응급처치가 끝난다. 도형과 허풍은 응급처치를 한 의사의 ... ...
수학일기는 나만의 포트폴리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학생은‘자신의 생각이 가장 낫다’거나‘다른 사람의 생각이 틀렸다’라고 너무 쉽게
단정
한다. 그러다 보니 다른 사람의 말을 경청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생각을 이해하지 않으려고 한다.그렇게 되면 자신의 생각에만 갇혀 다양하고 깊은 생각을 하지 못하게 된다. 최근 대학수학능력시험이나 ... ...
PART1. 곤충을 아시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꿀을 빨아 먹고 떼죽음할 수도 있다는 가설도 있다. 하지만 아직 어느 한 가지 이유로
단정
하긴 어렵다.꿀벌이 사라진다면?“만일 지구에서 꿀벌이 사라진다면 인류는 4년 이상 생존할 수 없을 것이다.” - 알버트 아인슈타인오래 전 아인슈타인이 한 말은 과언이 아닐 수도 있다. 사람이 먹는 ... ...
문화의 힘, 유전자보다 강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데모에 참여하는 사람의 수가 많았다. 그렇다고 경직도가 높으면 나쁘고 낮으면 좋다고
단정
할 수는 없다. 유연할 사회일수록 범죄율이 높고 술 소비량도 많기 때문이다. 물론 33개국 모두가 일률적으로 같은 패턴을 보이는 건 아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는 경직도가 매우 높지만 술 소비량도 꽤 ... ...
에너지 전쟁 손자병법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있다.그렇다면 원자력은 그저 한때의 과도기를 메우는 에너지원에 그칠 것인가? 그렇게
단정
짓기엔 이르다. 원자력의 형제 격인 핵융합 에너지도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핵융합은 우리 태양을 비롯한 모든 별들이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방법이다. 우리나라는 KSTAR라는 ‘초전도 핵융합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하나 확실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 4년이 지난 지금은 약간 주춤하는 기색이지만, 아직
단정
짓기는 이르다. 이번 파트에서는 환경 요인 등기존에 알려진 요소 외에 새로운 각도에서 꿀벌이 사라진 원인을 살펴본다. 키워드 1 초개체벌은 ‘초개체(Superorganism)’다. 한 마리 한 마리가 벌이라는 곤충 ... ...
[수학클리닉] 부등식 짚고 넘어가기!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나누면 ac > bc 또는 a/c> b/c가 되거든요.따라서 일차부등식 ax > b(a≠0)의 해를 x > b/a로
단정
지어서는 안 됩니다. 일차부등식 ax > b(a≠0)의 해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의 경우로 나뉜다는 사실을 꼭 알고 넘어갑시다.① a > 0일 때, x > b/a② a < 0일 때, x < b/a그리고 학생들은 대개 부등식의 ...
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입자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낸 다음이라 흥분은 더욱 컸다. 인류는 우주의 비밀을 풀 수 있게 된 걸까. 아직 섣불리
단정
하거나 흥분할 상황은 아니다.대부분의 학자들은 두 입자의 발견까지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본다. 하지만 인류가 가장 애타게 찾고 있던 두 입자의 발견이 점차 가시권에 들어오고 있다는 사실만은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