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정
단언
적정
올바름
언명
결단
단결
d라이브러리
"
단정
"(으)로 총 36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책] 만화로 배우는 멸종과 진화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멸종한다. 게다가 성공적으로 진화해온 생물종일지라도 계속 그렇게 적응, 번성하리라
단정
할 수도 없다. 멸종의 이유는 너무 많다. 환경 자체가 전보다 훨씬 급격하게 변할 수도, 천적이나 포식자가 나타날 수도 있다. 공룡이나 도도새처럼 말이다. ‘퇴화’가 아닌 ‘멸종’과 진화라는 ... ...
[과학사 극장] 뉴턴은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보일의 연금술 연구는 그릇된 믿음으로 시간을 허비한 사례에 불과한 것일까? 그렇게
단정
짓기는 쉽지 않다. 여기서 말하는 ‘연금술’은 18세기 이전까지 화학의 주요 연구분야였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연금술사들이 금을 만들려는 시도를 한 것은 사실이나, 이는 연금술에서 수행된 ... ...
나무로 만든 인공위성이 온다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영상 100℃ 이상까지 수백 도씩 오르내리는 우주에서 목재가 다른 재료보다 잘 버틴다고
단정
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목재를 활용하려는 시도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국립산림과학원의 2023년 연구과제 제안에서도 목재의 고부가가치 활용을 높이는 목적으로 나무 인공위성 아이디어가 ... ...
[메타버스 여행법] 템플릿으로 손쉽게 나만의 아이템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1호
디자인 콘셉트를 ‘심플’로 잡는다면 컬러를 한두 가지로 제한하면서 포인트가 될 만한
단정
한 로고 같은 것을 앞면 우측에 조그맣게 넣는 디자인이 필요하겠죠. 2. 디자인 콘셉트에 맞는 도구 선택하기 어떤 디자인을 할 것인가에 따라 사용할 도구도 조금씩 달라집니다. 만약 직접 그린 ... ...
[이달의 책] "지금 바로 직녀성부터 찾아보세요"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요점 정리 우리는 흔히 오늘날 한국의 밤이 너무 환해져서 별을 보기 어려워졌다고
단정
짓곤 한다. 별이 쏟아질 것 같은 사막이나 극지방을 생각하면 지금 한국의 도시 지역에서 만나는 밤하늘은 더 삭막해보인다. 하지만 이 박사의 생각은 다소 달랐다. “이 책이 처음 나왔던 34년 전과 비교해서 ... ...
[최애 은하] 지루해 보였던 타원은하의 반전 과거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그 흔적이 현재 관측된 것처럼 은하 원반에 대해 위아래로 아주 깔끔한 수직 방향이리라
단정
하기는 어렵다. 물론 블랙홀이 에너지를 분출하는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굉장히 다양하며, 이에 따라 복잡하게 변할 수 있다. 단순히 블랙홀의 회전축뿐만 아니라 주변에서 가스 물질이 유입돼 ... ...
[SF소설] 플로리다와 나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카운터에서 접수를 마치고 잠시 기다리자 차례가 왔다. 흰색 가운을 입고 머리를
단정
하게 틀어 올린 의사가 차트를 들고 다가왔다. 그녀를 따라가자 진료실이 나왔다. 의사가 식물을 잠시 살펴보더니 물었다. “3시 예약자 맞지?” “네.” “학생 이름은?” “예선이요. 성이 예고 이름이 ... ...
[Reth?nking] 함수는 왜 중요한가?
수학동아
l
2023년 08호
나쁜 함수겠지요. 그렇지만 원하는 현상을 함수가 제대로 설명한다고 좋은 함수라고
단정
짓기는 어려워요. 함수 자체가 얼마나 변수들의 관계를 잘 표현하는지를 보여줄 수 있어야 좋은 함수지요. 아주 쉬운 예를 들어볼게요. 독자에게 를 한 권씩 나눠준다고 생각해볼게요. 독자가 ... ...
생명의 블록, 외계에서 왔다?
과학동아
l
2023년 05호
찾았다고 해서,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거대한 RNA 분자가 외계에서도 만들어졌을 것이라
단정
하기는 어렵다는 뜻이다. 이 유기물들은 어떻게 더 커다란 고분자가 됐을까. 고분자들은 어떻게 모여 최초의 생명을 탄생시킬 수 있었을까. 다음 장에서는 최초의 생명을 찾아 원시 지구로 되돌아가 보자 ... ...
[이달의 책] 경쾌하게 반박한 동물에 관한 속설들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지구 최대의 생물이라고 할 때 식물은 생각하지 않거나, 사고로 추락하는 레밍을 자살로
단정
하는 오류를 분석하는 부분 역시 흥미롭다. 그렇다면 개는 정말 흑백으로 세상을 보고 있을까? 그건 책에서 직접 확인하며 감탄해보자. 아름다운 공간은 누구에게나 필요하고 소중하다. 특히 어린이와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