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이터"(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뉴스] 모르는건모른다고말하는 정직한 AI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가장 비슷한 값을 정답으로 잘못 인식한다는 문제가 있었어요. 연구팀은 학습한 적 없는 데이터에 대해 ‘모른다’는 값을 출력하는 중간 블록을 사용해 AI를 학습시킨 결과, 높은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었어요. 이규빈 교수는 “자율주행 차가 장애물을 잘못 인식하는 것과 같은 피해를 막을 수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있다. 컴퓨터공학 전공이 인상적이라 말하니, “31억 개에 달하는 DNA 염기서열 자체가 빅데이터”라며 “생물정보학은 컴퓨터의 도움 없이는 돌아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직접 유전 물질을 만지는 모습을 상상했다면 아쉽지만, 주로 하는 일도 유전체 분석 프로그래밍으로 거의 모니터만 ... ...
- [르포] 달을 향한 열망과 비전이 넘치는 곳 아제르바이잔 국제우주대회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약 1000명이 거주하는 작은 달 마을을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우주 배송, 우주 탐사 관련 데이터 판매, 우주에서의 마케팅 지원 서비스 등을 펼칠 계획이다. 달 탐사를 하려는 민간 기업이 늘어남에 따라 달 탐사 관련 보험 시장이 커지는 만큼, 우주와 관련한 비즈니스에도 관심을 두고 있었다 ... ...
- [최신 이슈] 태우는 게 최선일까? 지구 오염시키는 우주 쓰레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못한다”며 “통신위성이 우주 쓰레기로 파괴되면 국방, 해양, 항공 등에서 통화나 데이터 통신이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크기가 10cm 이상인 우주 쓰레기가 위성에 부딪히면 위성을 완전히 파괴할 수도 있다. 우주법 만들어 ‘공유지의 비극’ 막을까 우주 쓰레기는 서로 부딪혀 또 다른 우주 ... ...
- [최애은하] 제임스 웹 설상가상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밝기와 주기는 흥미롭게도 앞선 허블 관측 결과를 더 단단하게 지지했다. 제임스 웹 데이터가 더 좁은 범위와 적은 오차로 분포하는 차이는 있으나 허블 관측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제임스 웹의 훨씬 선명한 눈으로 봐도, 변광성의 주기-광도 관계, 그리고 그것으로 구해온 은하까지의 거리는 ... ...
- 왜 필요해?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시선이 막혀 차가 오는지 확인하기 어려워요. 2020년 서울디지털재단은 인공지능 학습데이터를 이용해 어린이의 눈높이로 촬영한 등하굣길을 영상을 분석했어요. 초등학교 1~3학년 어린이 24명이 24일 동안 카메라를 머리에 착용하고, 등하굣길을 평소처럼 보행해 영상을 촬영할 수 있었죠. 영상 ... ...
- [과학 뉴스] 해냈다,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등을 연구할 위성입니다. 앞으로 2년 동안 지구를 하루에 15바퀴씩 돌면서 각종 데이터를 보내줄 예정이에요. 위성 4기가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나는, 이른바 편대 비행을 시도한 도요샛도 우주로 갔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한 도요샛은 각각의 중량이 10kg이 되지 않는 4기의 나노 위성으로, ... ...
- 심해는 생물들의 집! 채굴해도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CCZ의 생태계가 크게 교란될 수 있다고 분석했어요. 연구팀은 기존에 알려진 생물 데이터를 사용해 CCZ 해역의 먹이 그물 모델을 만들고, 망간 단괴가 없을 때 결과를 살펴봤어요. 그 결과, 모든 동물 분류 군의 18%가 사라진다는 것을 확인했지요. 연구팀은 망간 단괴 표면에 붙어 사는 육방해면류가 ... ...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수학동아 l2023년 12호
- 필요성을 느끼지 않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위성에서 얻은 우주 쓰레기 정보를 취합해 빅데이터로 관리하고, 이를 통해 내 위성뿐만 아니라 다른 위성 운용자에게도 유용한 정보로 판매할 수 있다면 위성 사업자의 관점은 바뀔 수 있다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자료를 활용해 나온 논문만 6000편에 달한다. 한국은 2024년부터 ‘국가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6000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최종 100만 명의 유전체 등을 분석하는 것이 목표다. 이렇게 정밀의학이 실현되면 미래 고령화 사회가 부담할 의료 비용도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