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로봇"(으)로 총 2,376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융복합파트너] 민들레와 얼룩말을 본딴 미래전자소자연구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아이디어로 꾸준한 성과를 올리고 있는 주인공은 김봉훈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 및 기계전자공학과 교수다. 4월 3일 DGIST에서 그를 만났다. 김 교수는 세계 최초로 무동력 3차원 마이크로 비행체를 개발했다. 수십~수백 μm(마이크로미터μm는 100만 분의 1m)의 비행체는 바람을 타고 날아갔다가 ... ...
- [이달의 책] 45억 년 지구가 보여주는 가장 놀라운 지형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둘러싼 연인의 사랑스러운 미스터리(‘미래과거시제’), 판소리로 펼쳐지는 재기발랄 로봇 전투담(‘임시 조종사’)까지 배명훈은 언어와 시간과 공간을 자유롭게 조작한다. 그는 ‘꿈’과 ‘만약’의 세계를 극한까지 밀어붙여 상상과 성찰이 맞물린 읽기의 즐거움을 일깨운다.반면 유희, 은경, ... ...
- [Space Math] 지구 밖으로 나간 AI, 우주 정착 앞당긴다!수학동아 l2023년 05호
- 것이 여러모로 효율적이다. 입체적으로 사물을 보는 스테레오 비전을 갖춘 자율 주행 로봇과 드론이 화성 표면의 지형 정보를 더 정밀하게 만들어내면 인간의 장기 거주를 더 잘 준비할 수 있다. ▲ 2022년 12월 지구를 떠난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무인 탐사차량 ‘라시드’가 4월 말에 달에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로봇의 시초, 움직이는 인형 고래 오토마타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해양기술 회사 랜마린은 한 해양 쓰레기 청소 로봇을 선보여 혁신상을 받았어요. 이 로봇의 이름은 ‘웨이스트 샤크’로 약 72kg 무게에 작은 1인용 카약 정도의 크기예요. 웨이스트 샤크는 유럽 최대의 무역항인 네덜란드 로테르담 항구에서 하루 500㎏에 달하는 쓰레기와 녹조류를 제거해요. ... ...
- [SF] 끝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잠자코 다음 메시지를 기다린다. 여전히 연결된 밴드로 이이연이 묻는다.—달리기 안내로봇을 지정해서 장기대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해? 내 전방카메라가 이이연의 물기가 가득한 눈과 올라간 입꼬리를 본다. 지난 15년 동안 21번의 마라톤에 참가해 20회 완주한 끝에 나는 깨닫는다. 그렇게 나는 또 ... ...
- 지구 궤도에서 바로 재활용?! 우주쓰레기 청소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가 필요하죠. 그리고 물체의 상태에 따라 붙잡을 수 있는 로봇 팔이나 그물 등의 장치도 잘 작동해야 합니다. 목표물을 붙잡은 이후에 다시 대기권으로 재진입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죠. 이번 프로젝트는 우리나라의 우주기술을 검증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 ...
- [과학영상 읽어줌] ChatGPT에게 수능과 토익을 풀게 해 봤다. 결과는 충격적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CG)이 아닌 실제 로봇으로 촬영한 장면입니다. 로봇공학자이자 감독인 존 놀란은 촬영용 로봇인 ‘애니메트로닉스’를 활용해 CG보다 훨씬 실감 나는 장면을 연출할 수 있었죠. 이제는 작은 동물뿐만 아니라 거대한 공룡까지 직접 제작한다는데요. 과연 커다란 공룡의 움직임까지 자연스럽게 표현할 ... ...
- [Space Math] 우주시대 앞당기는 기술 적층제조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앞서 달 환경에 대해 이해하고 탐사에 대비한 사전 시험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지능형 로봇학을 전공한 조남석 UEL 대표는 우주 개발에 쓰이는 적층제조 기술에 관해 다음과 같이 전해왔다. "사람이 장기 거주하는 우주 개발에는 ‘현지 자원 활용(ISRU)’ 기술이 필요합니다. 정착지 건설을 위한 모든 ... ...
- [특집] AI와 일하는 만화작가 만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1월 15일 자 의 에피소드 ‘단서를 찾아라(42화)’ 속 쓰레기통 로봇의 캐릭터 디자인도 미드저니의 도움을 받았답니다. 저는 네이버웹툰 의 작가 하지입니다. 웹툰 는 AI와 인간의 미술 대결을 다룹니다. 의 모든 그림은 구글의 ‘딥 드림 제너레이터’로 ... ...
- ‘한국형 NASA’ 그 이상의 꿈, 우주항공청의 길을 묻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설명했다. CSA의 간판기술은 로봇팔 ‘캐나다암’이다. 자유자재로 작동할 수 있는 대형 로봇팔은 우주정거장의 조립과 화물 보급, 부품수리 및 교체, 그리고 우주왕복선의 도킹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대체불가능한 역할을 맡는다. 1989년, 비교적 늦은 시기에 설립된 CSA가 NASA, 유럽 우주국(ESA) 등과의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