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태"(으)로 총 8,9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슈퍼M] 레시피에 적힌 단위는 왜 제각각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9호
- 좀 더 간편해요. 저울에 그릇만 올려둔 상태로 0점 설정 버튼을 누르면, 그릇을 올린 상태를 0g으로 맞출 수 있어요. 그런 다음 필요한 무게가 될 때까지 그릇 위에 재료를 올리면 되지요. 그릇의 무게를 뺄 필요가 없어서 편리해요. ☞ 2단계 : 들이가 작을 때는 계량스푼으로! 이제 레몬즙 15mL를 ... ...
- [가상 인터뷰] 뇌 조절하면 실컷 먹어도 다이어트 가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뇌가 병에 걸리거나, 염증이 생기면 크기나 기능이 변하기도 해. 이렇게 변화된 별세포의 상태를 ‘반응성 별세포’라고 한단다. 최근 기초과학연구원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은 반응성 별세포가 비만 치료의 핵심이 될 거라는 논문을 발표했어. Q. 반응성 별세포가 어떻게 비만과 ... ...
- 찬드라얀 3호, 무엇을 찾았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초속 1cm로 11일 동안 약100m 이상을 이동하며 계획된 임무를 모두 마치고 9월 3일 절전 상태로 돌입했습니다. 인도우주연구기구는 “달에 다시 태양광이 드는 9월 22일 이후, 태양광으로 발전에 성공한다면 작동을 재개해 물 탐사 등의 임무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
- 몬스터는 진짜 동물보다 항상 무겁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9호
- 몬스터의 심장은 강철로 되어 있어요. 그래서 몬스터가 동물과 똑같은 모습을 하고 있어도, 몸무게는 진짜 동물보다 훨씬 더 무겁지요. 마침, 저기 의심스러운 동물 무리가 ... 올라가요. 양쪽의 무게가 같다면 시소는 수평★이 되지요.*용어정리수평: 기울지 않고 평평한 상태를 말해요 ... ...
- 도전! 온도를 올려라, 초전도체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911년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카메르링 오네스는 끓는점이 영하 269℃인 헬륨을 액체 상태로 만드는 데 성공하며 세계에서 가장 낮은 온도를 구현했습니다. 오네스는 이 액체 헬륨을 이용해 수은을 냉각시키며 저항을 측정했어요. 그런데 수은의 온도가 영하 269℃가 되자, 갑자기 전기 저항이 사라지는 ... ...
- [수학체험실] 쭉~쭉 늘어나! 우리만의 자유로운 길이 재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의미이므로 새로운 기준이 필요했지요. 1983년, 과학자들은 1m를 ‘빛이 진공★ 상태에서 2억 9979만 2458분의 1초 동안 지나는 거리’로 정했어요. 길이의 표준 단위로 1m를 정한 이후, 더 작은 단위와 더 큰 단위도 만들었지요. 1m의 이 1cm, 1m의 이 1mm예요. 1m의 1000배는 1km라고 해요. 용어 설명표준★ .. ...
- 국경부터 차단! 인천공항본부세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정도는 다릅니다. 그래서 X선이 투과된 정도에 따라 물품을 직접 열어보지 않고도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지요. X선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 미세한 구부러짐이 나타나요. 연구팀은 이런 특성을 인공지능에 학습시키고, 물품에 X선을 더 미세하게 쪼개 쏠 수 있도록 장치를 개조했지요. 실험에서 ... ...
- [광고] 레고 드림즈와 함께하는 꿈속 대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렘수면 상태를 오고 갑니다. 주로 몸은 움직이지 못하지만 뇌는 활발히 활동하는 렘수면 상태에서 꿈을 꾸죠. 뇌가 하루 동안 있었던 일들을 정리하고 모으는 과정에서 다양한 신호가 활성화되며 꿈이 재생되는 겁니다.” 섭섭박사는 꿈을 꾸는 이유를 설명하고 나서 책상 앞쪽을 가리켰어요. 손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알맹이도 껍데기도 버릴 게 없다! 달걀 껍데기 분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그대로 유지되는 질량 보존의 법칙 때문입니다. 실험 재료가 고체에서 액체, 혹은 기체로 상태만 변하고 사라지지 않았다는 뜻이지요. 반면, 중화 반응이 일어난 뒤 뚜껑을 열면 반응 후에 기체로 변한 일부 물질들이 공기 중으로 날아가 질량이 감소한 모습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용어 ... ...
- 별과 별 사이 거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그래서 빛의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인 ‘광년(ly)’을 쓰고 있지요. 1광년은 빛이 진공★상태에서 1년 동안 움직이는 거리로, 약 9조 4608억km에 달해요. 지금까지 발견한 별들 중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별은 고래자리에 있는 별 ‘어렌델’이에요. 어렌델은 지구로부터 약 280억 광년만큼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