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시아"(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과연?! 장영실의 손이 닿았을까? 물시계와 천체시계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거라곤 꿈에도 생각 못 했죠!” Q고천문학은 어떤 연구 분야인가요?조선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들은 1000~1500년 동안 천문 현상을 상세히 기록했어요. 고천문학은 이 기록을 분석하a는 천문학 분야예요. 혜성 관측, 태양 흑점의 변화 등 오래전부터 꾸준히 일어난 천체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지요. ... ...
- [4컷 만화] 기린보다 키 큰 고대 코뿔소 조상 화석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연구팀은 “올리고세 후기의 온난한 기후가 이들을 남에서 북으로 이동시켜 아시아 전역에 넓게 분포하게 된 것”이라며, “이 시기에 파라케라테리움 속에서 카자흐스탄의 P.레피디움과 중국의 P.린샤엔세로 종이 나뉜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어요 ... ...
- [가상 인터뷰] 물방개의 앞발, 피부에 양보(?)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뭘 하고 있던 거냐고? 자기소개를 해 줄래?안녕. 나는 물방개야. 한국, 일본 같은 아시아의 연못이나 늪, 개천에 살지. 몸은 넓적한 타원형이고, 몸길이는 4cm 내외로 크지 않지만, 무시하다간 큰코다쳐! 강한 육식성이어서 물속에 사는 작은 물고기들까지 잡아먹거든. 몸은 약간 짙은 갈색이고, ... ...
- 현실과 가상을 잇는 관문에 서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시설이다. 지난해 4월 개관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볼류메트릭 캡처’ 기술이 적용된 아시아 최초의 MR 스튜디오로 개관 당시부터 화제를 모았다.MR은 가상공간에 현실의 물체를 옮겨놓거나 현실 속에 가상의 물체를 구현해내는 기술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가상공간 속 현실의 물체는 MR뿐만 아니라 ... ...
- 불완전한 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것만이 의심을 거둘 유일할 방법”이라고 말했다.세계적인 리더로, 최초의 여성으로, 아시아 출신으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그는 예술을 통해 오롯이 그만의 시간을 즐긴다고 했다. “어린 시절부터 수학, 과학만큼 노래와 춤을 좋아했습니다. 지금도 외국에 출장을 가면 시간을 내 그곳의 전통 ... ...
- 접종 양극화 고통 장기화 불러온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2배 이상 백신을 확보하는 데에 성공했다.아프리카 대부분의 국가와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제약사와의 개별계약을 통해 물량을 확보하지 못해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서만 백신을 공급받을 수 있었다. 코백스 퍼실리티는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유니세프, 세계보건기구(WHO) 등이 ... ...
- [매스미디어] 세상을 구할 태초의 수호자, 이터널스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이름이에요. 그 이름에 걸맞게, 그의 무용담을 기록한 ‘길가메시 서사시’가 19세기 서남아시아 지방을 탐사하던 고고학자들에 의해 발견됐어요. 이는 인류 최초의 영웅 서사시로 알려져 있어요. 본디 입에서 입으로 수천 년 동안 전해져 오던 길가메시 이야기를 처음으로 기록한 이들은 ... ...
- [기획] 방사성 오염수 뜨거운 국제 분쟁 해결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수 있나요? 전 세계가 회의를 통해 결정해야 하지 않나요? ●인터뷰송기호(법무법인 수륜아시아 소속 국제통상 전문 변호사) “국제해양법협약에 근거해 문제를 제기할 수 있어요.” Q바다가 일본 것도 아닌데, 방류를 막을 길이 없나요? ‘국제해양법협약’에선 해양 오염물질을 이웃 나라에 ... ...
- [수학뉴스] 하늘의 포식자, 맹금류가 사라진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시체의 부패를 방지하고 전염병의 확산을 막는 방식으로 생태계를 보호한다. 그러나 아시아, 특히 인도에서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디클로페낙)에 오염된 시체를 먹고 중독돼 독수리 개체 수가 1990년대 이후 약 95%까지 감소했다. 서아프리카 시골 지역에서는 197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 ...
- [특집] 누가 뭐래도 독도는 우리땅!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금지하는 도해금지령을 내렸습니다. 임자 없는 섬이라고 우기면 정말 곤란해! 일본이 동아시아 정복을 꿈꾸며 러시아와 전쟁을 벌이던 1905년 일본은 동해에서의 해전을 위해 군사적으로 독도를 소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그리고 1906년 독도를 무주지라고 주장하고 시마네현에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