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이시아
에이시아
아세아
동양
동방
오리엔트
아시아개발은행
d라이브러리
"
아시아
"(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은 인류의 미스터리, 쌓여가는 인류의 다양성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아직 분명하지 않다. 종의 분류보다 더 흥미로운 질문은 이들의 생김새와 행위다. 동남
아시아
곳곳의 섬에서 살고 있던 작은 머리와 몸집의 고인류들은 석기를 만들고 벽화를 그려냈을까.이 질문에 대한 20세기의 답은 결단코 ‘아니다’였다. 벽화를 그리는 것과 같이 고도의 인지 능력이 있어야 ... ...
거대 갑옷공룡의 독특한 생존법 ‘땅파기’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박진영 서울대 고생물학연구실 연구원은 “이번에 분석한 갑옷공룡 표본은 건조한
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됐다”며 “건조한 지역에 적응해 살아가는 대형 초식동물들처럼 땅을 파서 식물의 뿌리를 섭취하고 지하수를 마셨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doi: 10.1038/s41598-021-83568- ... ...
낯선 생물이 내 터전에 들어왔다...생태계 악당 침입종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아시아
대륙을 점령했다. 북아메리카 토착종인 황소개구리는 아메리카 대륙과 서유럽, 동
아시아
를 장악했다. 한국에서는 생태계 한 축을 이루지만, 외국에서 침입자 신세가 된 종도 있다. 미국으로 건너가 토종 생물을 먹어 치우는 가물치, 최대 1000개의 알을 낳고 수질과 상관없이 어느 곳에나 잘 ... ...
인류는 늘 이동하고 섞였다...동
아시아
인의 복잡한 형성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키로 계통과 구석기 유럽인 계통의 혼합임을 나타냈다. 바초 키로 집단을 포함한 초기 동
아시아
인 계통 사이 관계의 재분석이 기대된다.집단 혹은 민족의 기원과 뿌리에 대한 연구를 바라보는 대중의 관점은 흔히 조상과 자손 집단 사이에 일대일 대응 관계를 가정한다. 하지만 유전체학을 통해 ... ...
가깝고도 먼 친척 인류...수수께끼 속 인류 데니소바인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화석 찾기 프로젝트인 ‘파인더(FINDER)’를 진행하고 있다. 첨단 연구방법을 동원해
아시아
에서 데니소바인을 찾는 프로젝트로 2017년 시작돼 2022년까지 이어진다. 프로젝트를 이끄는 카테리나 도우카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은 e메일 인터뷰에서 “데니소바인은 현대 고인류학에서 가장 흥미로운 ... ...
[그래프뉴스] ‘코로나19에도 살기 좋은 곳’ 우리나라 순위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국민의 수가 늘어나면서 순위도 올라갔어요. 하지만 대만과 일본 등 백신 접종이 더딘
아시아
국가들은 순위가 떨어지고 있지요. 특히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한 인도는 50위를 기록했고, 아르헨티나는 53위로 순위가 가장 낮았어요.블룸버그 통신은 “코로나19 회복력 순위에서 부자 나라와 가난한 ... ...
[에디터노트] 눈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있습니다. 우리의 직계 조상인 호모 속 최초의 인류 역시 아직 정체가 모호합니다.
아시아
에서 거푸 발견되고 있는 작은 인류 등 최근까지도 해결되지 않은 다른 난제도 여럿입니다. 이들을 이번 특집에서 다뤘습니다. 기획에서는 박물관과 미술관 한켠에서 활약한 두 장인을 심층 인터뷰했습니다. ... ...
선사시대 딱정벌레의 마지막 식사메뉴는 꽃가루?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박진영 서울대 고생물학연구실 연구원은 “이번에 분석한 갑옷공룡 표본은 건조한
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됐다”며 “건조한 지역에 적응해 살아가는 대형 초식동물들처럼 땅을 파서 식물의 뿌리를 섭취하고 지하수를 마셨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doi: 10.1038/s41598-021-83568- ... ...
[특집] 인류 진화의 잃어버린 퍼즐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수백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한 무리의 새로운 영장류가 나타났다. 이들은 이후 다양한 종을 등장시키며 아프리카 곳곳에 살았고, 때론 아프리카 밖 유라시아로 확산했다. ... 번째 퍼즐│호모 속의 기원네 번째 퍼즐│수수께끼 속 인류 데니소바인다섯 번째 퍼즐│동
아시아
인의 복잡한 ... ...
2021 달라진 밥상 위의 물고기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덧붙였다. 양식도 밥상 위 물고기의 판도를 바꾸는 요인 중 하나다. 2024년에는 강원도에
아시아
최대 규모의 연어 양식 단지를 지어 대서양 연어를 양식할 예정이다. 지난해 5월 국립수산과학원은 대문어 알을 부화시킨 뒤 99일까지 길러내는 데 성공했다. 또 높은 수온에서도 잘 자라는 김 품종을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