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래픽] 천공카드부터 DNA까지, 메모리의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달린 구조다. 총 1KB 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가격은 1000달러, 한국 돈으로 약 130만 원 정도다. 어떻게 DNA에 정보를 저장할까. 정보 저장 기술의 진화부터 살펴보자. ❋저장 장치 종류에 따른 정보 밀도 비교 : 정보 저장 장치에서 ‘밀도’는 단위 부피 당 기록되는 비트를 나타낸다. ... ...
- 형태만큼 다양한 쓸모 , 로봇 트렌드 톺아보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휴머노이드 로봇이나 4족보행 로봇은 일부분에 불과하다. 인간을 돕는 로봇은 다리가 달린 로봇에 국한되지 않는다. 대세 로봇들의 다채로운 형태를 영상과 함께 살펴 ... 협동로봇에 지능을 더하는 원리가 궁금하다면 3파트를 확인하자. QR코드를 스캔하면 RT-2의 활약 영상으로 연결된다 ... ...
-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추진력을 얻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된 연구에는 구글 딥마인드 주도로 전 세계 약 21개의 연구팀, 100명이 넘는 연구원이 참여한 ‘RT-X’ 모델 연구가 있다. doi: 10.48550/arXiv.2310.08864 국제 공동연구팀은 로봇공학에서도 학습 모델 통합이 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22개의 서로 다른 로봇을 ... ...
- 사람에게 지문이 있다면, 반려견에겐 ‘이것’이 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정책 수립을 담당하는 금융위원회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펫보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습니다. 펫보험 활성화를 위해 보험 가입 등의 절차를 간소화하고 새로운 보험 상품 개발을 지원하기 위함입니다. 농식품부는 펫보험 활성화에 필요한 반려동물 개체식별 강화를 위해 생체인식정보를 ... ...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분열된 틈으로 재빠르게 솟다 100km 아래의 지구 내부는 온도가 수 백℃에 이릅니다. 만약 다이아몬드가 지표면 근처로 끌어올려질 때 그 속도가 빠르지 않다면 다이아몬드는 흑연이나 이산화탄소로 변해버리고 말죠. 즉 이번 다이아몬드 여행의 핵심은 속도입니다. 세 번째 여행의 주인공은 ... ...
- [가상 인터뷰] 24시간 둥지 지키는 펭귄의 수면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등, 꼬리까지는 검은색 털로 덮여 있고, 나머지 부위는 흰색 털이 나 있지. 우리는 키가 약 72cm, 몸무게는 6~7kg 정도 되는 중형 펭귄이란다. 턱끈펭귄은 남극해에서 가장 흔하게 찾아 볼 수 있는 펭귄 중 하나야. 수명은 15~20년 정도고, 돌을 쌓아 올려 둥지를 만들고 살아간단다. 남극은 너무 춥지 ... ...
- 식품 찌꺼기의 변신! 업사이클드 푸드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밀기울은 밀을 수확한 뒤 빵의 재료인 밀가루를 뽑아내고 나면 남는 찌꺼기예요. 밀의 약 15%를 차지하지요. 탄수화물과 단백질, 마그네슘 등의 무기질이 풍부해 사람이 먹을 수 있지만 모두 버려집니다. 이외에도 두부를 만들고 남은 콩 비지나 맥주를 만드는 데 사용되고 남은 보리박도 식품 ...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이 문제는 ‘바젤 문제’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 오일러는 1735년 이 문제를 해결하면서 일약 유명 인사가 됐다. 갑자기 등장한 π와 소수 그런데 오일러는 이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놀라운 발견을 했다. 바젤 문제를 소수로 이뤄진 하나의 식으로 유도할 수 있었는데, 여기서 오일러를 ... ...
-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앞서 봤던 것처럼 구 쌓기 문제는 결정학 분야에서 오래 전부터 논의됐습니다. 만약 이 구들이 서로 잡아당기는 인력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면 어떨까요? 이렇게 위치에너지를 반영해 구 쌓기 문제를 일반화한 ‘보편 격자 문제’는 수학과 물리학이 상호작용하는 좋은 예입니다. 이 연구원은 ... ...
- 외계 생명에게 말을 걸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라고 합니다. METI의 대표적 사례는 1974년 11월 16일, 지구로부터 약 2만 5000광년 떨어진 구상성단 M13에 보낸 ‘아레시보 메시지’입니다. 카리브해 미국령 섬 푸에르토리코에 있는 아레시보 천문대의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에서 쏘아 올렸죠. 아레시보 메시지에는 수 체계, DNA,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