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내비게이션, GPS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좌표를 알아내요. GPS로 알아낸 나의 위치 정보를 내비게이션에 보내면, 내비게이션은 내 위치와 전자 지도를 바탕으로 가장 최적의 길을 찾아 운전자에게 목적지까지 알맞은 경로를 알려준답니다. 우리 몸에서 혈관은 혈액이 지나다니는 통로 역할을 해요. 우리가 사는 데 필요한 산소와 각종 ... ...
- [빅잼] '더 마블스' 히어로 파워의 원천 ‘광자' 현실에 쓴다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위치가 바뀐다? 양자면 가능이번 영화에서는 세 주인공이 능력을 사용할 때마다 위치가 순식간에 바뀌는 모습이 나옵니다. 마치 순간이동을 하듯이 말이죠. 순간이동을 하려면 빛만큼 빠른 속도로 움직여야 하는데, 이건 지금까지 많은 과학자들이 증명했듯 불가능합니다. 이런 순간이동이 가능한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한국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기관과 협력해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지속적인 공동연구의 기회 제공 10월 30일, 부산에 위치한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본관.1층 로비에는 피아노와 재즈 기타로 연주하는 ‘어텀 리브스’의 선율이 잔잔하게 울려 퍼지고 있었다. 학교의 인문예술학부가 진행하는 점심 콘서트였다. 둥글게 모여 ... ...
- [SF] 속도의 맛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온도 양호. 차체 상태 양호. 올 그린(All Green).” “좋았어. 간다!” 삼삼칠이 엔진 조작 스위치를 모두 올리고 엑셀을 풀로 밟았다. 제트엔진 2기의 노즐이 활짝 벌어지면서 최대출력으로 불을 뿜었다. 어마어마한 가속도가 삼삼칠을 뒤로 밀어붙였다. 그대로 운전석 의자에 파묻혀 들어갈 것 같았다. ... ...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이유는 오르막이라서 속도와 시간 조절을 세심하게 해야 하기 때문인데요. 처음엔 위치가 살짝 달랐고, 그다음엔 속도가 너무 느려서 물고기를 잡지 못했습니다. 그는 조금씩 속도나 시간의 차이를 줄여나가더니 결국 자그마한 모형 산 안에 있는 물고기 떼를 모두 잡았어요. 윤 학생은 전시장에 ... ...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추적기(star tracker)’다. 별의 위치를 감지하는 카메라와 같은 장치인데, 알려진 별들의 위치를 통해 우주선의 자세를 알 수 있다. 기기가 더 정밀해지고 소형화되다 보면 때때로 예상하지 못한 기능을 발휘하기도 한다. 별 추적기는 원래는 위성의 자세를 파악하기 위해 개발됐으나, 영상 센서와 ...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⑧ 인도 무인 달 착륙선, 인류 최초 ‘달 남극’ 착륙8월 23일, 달 남극 부근 남위 70도에 위치한 보구슬라우스키 분화구 서쪽에 달 탐사선이 무사히 착륙했다. 인도우주연구기구(ISRO)가 개발한 찬드라얀 3호다. 인도는 미국, 옛소련, 중국에 이어 달 착륙에 성공한 4번째 국가가 됐다. 인도의 달 착륙 ... ...
- [커리어]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제약공학자란 꿈을 이뤄보는 하루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고등학교 학생들이 쉽게 접하기는 어렵다. 이날 학생들은 바이오세상에듀 본사에 위치한 클린룸에 직접 들어가보는 경험도 했다. 생명과학 연구현장에서 사용되는 제품들과 배지를 생산하는 시설을 견학한 것. 학생들은 다양한 설비와 제품 생산 과정을 피부로 느꼈다. 수업에 참여한 양선민 ... ...
- [커리어]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과학동아 랩투어가 10월 27일 개최됐다. 전국 각지에서 모인 독자 7명이 광주 북구에 위치한 기초과학연구원(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에서 세계에서 가장 센 레이저를 눈으로 확인했다.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은 2016년 4페타와트(PW1PW는 1000조 W) 출력의 레이저를 개발하면서 세계 최고 출력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부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의료용 마이크로 로봇에 암 치료 약물을 탑재하고, 암세포가 위치한 부위에 자기장을 집중시키면 약물이 암세포에만 집중될 수 있다. MBR Lab에서 개발한 의료용 로봇을 움직이게 하는 원천은 로봇에 실린 산화철 가루인 자성나노입자(MNP)다. 덕분에 외부 자기장으로 움직일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