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공"(으)로 총 4,79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글루텐, 핵융햡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이보다 약 450배나 더 커요. 과학자들은 1950년대부터 태양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을 인공적으로 일으키는 방법을 찾아 이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려는 연구를 해왔어요. 핵융합 발전은 탄소나 방사성 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깨끗하고, 에너지 효율도 원자력 발전보다 7배 이상 높아서 ‘꿈의 ... ...
- [2023 이그노벨상] 공중보건상 - 스마트변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박사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 봤어! 스마트 변기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스마트 변기는 인공지능(AI)과 과학 센서로 똥오줌의 형태와 양, 색깔, 낙하 속도, 변기에 앉아있는 시간 등을 분석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관찰해요. 예를 들어 똥은 뱃속에 얼마나 오래 머무르냐에 따라 모양이 달라져요. ... ...
- [꿀꺽! 수학 한 입] 오리너구리는 오리?너구리? ..,인공지능 분류를 도와줘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0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꿀꺽! 수학 한 입] 오리너구리는 오리?너구리? ..,인공지능 분류를 도와줘Part1. [꿀꺽! 수학 한 입] 의사결정나무 ① Part2. [꿀꺽! 수학 한 입] 의사결정나무 ... ...
- [꿀꺽! 수학 한 입] 의사결정나무 ②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0호
- 의사결정나무로 동물을 분류하는 법을 배우셨나요? 그렇다면, 저와 함께 자연에 나가 동물들을 분류해 보시지요. 자연에는 분류하기 어려운 척추동물이 참 많습니다. 마침 동물들이 저기 있군요! 분류를 완료했나요? 완벽합니다! 단, 척추동물을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 다섯 가지로 ... ...
- [꿀꺽! 수학 한 입] 의사결정나무 ①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0호
- 의사결정나무란 인공지능이 하나씩 질문하면서 문제의 답을 찾아 나가는 과정을 말합니다. 기준에 따라 ‘예’, ‘아니오’로 답하며 하나씩 분류하면 되지요. 마치 스무고개처럼요! 가장 기본적인 동물 분류법은 척추*가 있는지 없는지를 기준으로 나누는 겁니다. 척추가 있는 동물을 척추동물,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알아두면 이 구역 검색왕! 정보 검색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주의해야 해요. 이러한 정보들을 공유하거나 그대로 믿어서도 안 됩니다. 무엇보다 인공지능(AI) 알고리즘에 의존하기보다는 원하는 정보를 직접 찾아보세요. AI 알고리즘은 미디어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전해주지만 다른 관점에서 볼 수 있는 정보를 접하기는 어려워요. 그러니 폭넓은 정보를 ... ...
- [만화뉴스] 스파이AI등장? 키보드 소리로 내용까지 맞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8월, 영국 더럼대학교 외 공동연구팀은 키보드를 누르는 소리만으로 내용을 알아채는 인공지능(AI)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노트북에서 문자, 숫자를 포함한 36개의 키보드 누르는 소리를 스마트폰으로 녹음한 뒤, AI에 학습시켰어요. AI는 녹음된 통화 내용을 분석했을 때 95%, 화상전화 ... ...
- ‘신의 한 수’는 어디에? 바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경기를 보며 공부했다면, 2016년 구글이 바둑 인공지능 ‘알파고’를 개발한 뒤로는 인공지능으로 바둑 경기를 분석해 공부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고 설명했지요. 김경은 프로는 “바둑을 두다 보면 상대 선수의 성격이 드러나고, 그걸 이용해 상대를 속이기도 한다”며 “한 경기 안에서도 ... ...
- AI가 마비환자 생각읽고, 아바타로 대신 말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캘리포니아대학교 의과대학 에드워드 장 교수팀은 중증 마비 환자의 뇌파를 인공지능(AI)으로 해독하고, 환자 대신 아바타나 음성, 글자로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18년 전부터 뇌 질환으로 말을 못하게 된 47세 여성 앤의 뇌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생명과학자에 도전! 디스커버리 현미경 세트와 3D 야광 인체 모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미생물의 이동 경로를 현미경으로 추적하는 과정은 매우 까다롭지요. 스마트 현미경은 인공지능이 낮은 배율의 현미경 사진에서 관찰 대상을 빠르게 파악한 뒤, 이후 세포나 미생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계산해 자동으로 현미경이 초점을 잡고 확대합니다. 연구팀은 “스마트 현미경으로 연구자의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