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공"(으)로 총 4,7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마존강 머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2012년, 미국 캘리포니아버클리대학교 고고학과 연구팀은 아마존강의 ‘진짜’ 수원을 찾기 위해 모험을 떠났어. GPS를 장착한 카약을 타고 아마존의 숨겨진 작은 지류를 항해한 끝에 산등성이에서 흘러내리는 물줄기를 찾았지. 그가 찾은 수원은 어디일까? 숨겨진 지류의 끝을 향해 아마존강에는 ... ...
- [4컷 만화] 3D 프린터로 만든 심장, 100일 넘게 박동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엥겔 교수는 “아직 심장에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을 만들지 못했다”며 “다음 인공 심장에는 혈관 세포를 만드는 바이오 잉크를 추가해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용어 설명●히알루론산 : 동물의 피부나 관절 등에서 수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탄력성 있는 물질 ... ...
- [이달의 과학사] 1992년 8월 11일, 우리나라 최초 인공위성 우리별 1호 발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교신이 끊어졌지만, 지금도 궤도를 초속 7km로 돌고 있어요. 당시 제작에 참여했던 KAIST 인공위성연구소는 우리별 1호를 발사한지 30주년이 되는 해, 우리별 1호 귀환 임무를 추진한다고 발표했어요. 2027년 우리별 1호를 우주에서 지구로 가지고 온다는 구상입니다. 만약 성공한다면 지구를 돌고 있는 ... ...
- [가상 인터뷰] 앙! 무는 파리, 파란색에 끌리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않았다니! 그럼 이번 연구는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까? 연구팀은 “실험에 쓰인 인공 신경망은 정확히 파리 신경계와 똑같진 않지만, 파리가 자연에서 시각 자극을 식별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추정된다”고 말했어. 이어 “무는 파리의 종류별로 각각 어떤 색깔에 끌리는지 정확히 알 수 ... ...
- 세계에서 제일 긴 강은? 아마존강 vs 나일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크앙! 나는 세계에서 가장 긴 아마존강에 사는 악어야. 그런데 최근 불편한 소문이 들려오더라고?아니, 옆 대륙 아프리카에 사는 악어 친구가 나일강이 세계에서 제일 길다며 으스대지 뭐야.알아보니, 과학자들이 세계에서 제일 긴 강을 찾기 위해 직접 카약을 타고 강의 길이를 잰다더라고!과연, ... ...
- 아마존강 탐험대, 출격!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내년 4월, 브라질의 한 탐험대는 제임스 콘토스 박사가 찾은 수원에서 출발해 아마존강의 길이를 재는 탐험에 나설 계획이야. 과연 탐험대는 세계에서 가장 긴 강을 찾는 논쟁의 종지부를 찍을 수 있을까? 어과동이 탐험대장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 봤어! Q. 내년에 아마존강의 길이를 측정하러 직 ... ...
- 아마존강 도전장을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리우 샤오창 박사팀은 정반대의 연구 결과를 내놓습니다. 이들은 브라질 연구팀과 같은 인공위성이 관측한 이미지를 활용했지만, 다른 조건으로 측정해 나일강이 7088km로 제일 길다고 분석했어요. 연구팀은 연중 내내 흐르는 지류만 인정하며 강물이 대부분 흐르는 늦가을에 동시에 두 강의 길이를 ... ...
- [가상 인터뷰] 뮤온 입자, 지하 길을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GPS와는 어떤 점이 달라? 일반적으로 위치를 확인하는 데는 GPS가 사용돼. GPS는 4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나오는 전파를 분석해 나의 현재 위치를 알아내지. 하지만 GPS가 사용하는 전파는 투과력이 낮아 건물 안, 지하는 물론이고 높은 건물 같은 장애물에 쉽게 막혀 위치를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가 ... ...
- [시사과학] 내 SNS 기록, 가족에게 상속할까? 말까? 디지털 유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오늘도 나는 디지털 공간에 흔적을 남깁니다. 사진을 찍고, 댓글을 달고, 영상을 찍어 올리지요. 그런데 만약 내가 죽은 뒤 가족들이 이를 보게 된다면 어떨 것 같나요? 최근 나의 디지털 유산을 상속하거나 삭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유산법’이 발의됐습니다. 이 법안이 등장한 이유는 무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장애물을 넘어가며 전진! 보행로봇 로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가게가 어디에 있는지도 알 수 있죠. 테피는 단순히 길을 안내하는 데 그치지 않아요. 인공지능을 사용해 사람들과 소리로 소통할 수 있습니다. 음성 명령을 통해 실제 개처럼 그 자리에 앉거나 뒤로 돌고, 고개를 끄덕이는 등의 동작도 할 수 있어요. 포르티야 박사는 “테피가 알츠하이머 병에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