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압력
전력
볼트
볼트수
voltage
d라이브러리
"
전압
"(으)로 총 65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전기를 만들어낸 사람들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에디슨의 회사를 나온 니콜라 테슬라는 무선전력전송이라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습니다.
전압
과 주파수가 높은 전류를 만들어 내는 기계를 발명했는데, 진동 변압기라고 불렀습니다. 이후 다른 과학자들이 사용하며 테슬라 코일로 알려졌습니다. 이 테슬라 코일은 무선 전력 연구의 밑바탕이 ... ...
part 2. 전선 없는 세상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길거리에 깔린 무수히 많은 전선과 거대한 철탑인 송전탑도 사라질 수 있을까요?초고
전압
송전탑에서 전송하는 수만 W가 넘는 전력을 무선으로 보내는 건 지금으로서는 어렵습니다. 현재 가장 멀리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수단인 전자기파를 이용한 무선전력량은 많아야 수백 W 수준이기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집단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4호
생활에서 겪게 되는 정전기의 *방전 현상이에요. 만약 플라스틱 빗으로 머리를 빗을 경우
전압
이 무려 5만V까지 되기도 한답니다.정전기는 겨울철처럼 대기가 건조할 때 잘 생겨요. 습할 때는 공기 중의 전하들이 수증기로 쉽게 흡수돼요. 따라서 습도가 높으면 정전기도 잘 생기지 않아요.평소에 ... ...
[가상인터뷰] 전기로 앞을 보는 물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전기를 이용해 어두운 강물 속에서 쉽게 먹이를 찾을 수 있답니다. 제 꼬리에는 약한
전압
의 전기를 만들 수 있는 기관이 있어요. 꼬리에서 만든 약한 전기를 물 주변에 계속 흘려서 제 주변에 전기장을 만들지요. 이렇게 만든 전기장에 다른 물체가 들어오면 전기 흐름을 방해하면서 순간적으로 전기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10~30μV(마이크로볼트)의 약한 전기 신호가 나오지요. 이건 AAA건전지의 7만 5000분의 1 정도
전압
으로, 아주 약한 세기예요.하지만 상어는 이렇게 약한 전기 신호도 감지해 먹이를 찾아내는 능력이 있어요. 그래서 상어 그림자를 발견한 갑오징어는 촉수로 몸에 있는 구멍을 막아 전기 신호를 6μV까지 ... ...
[가상인터뷰] 찌릿찌릿~, 전기뱀장어가 공격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또한 각각의 전기세포가 직렬로 연결돼 있어서 몸에서 나오는 전기를 모두 합쳐 높은
전압
을 만들 수 있답니다.일리 : 왜 물 밖으로 뛰어오른 거니?전기뱀장어 : 전기뱀장어는 보통 물속에서 전기를 뿜어 먹이를 찾아요. 그런데 최근 미국 반더빌트대학교 케네스 카타냐 박사는 그물로 전기뱀장어를 ... ...
Part 3. 항성탐사를 위한 무한도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만들었어요.전기엔진은 ‘플라즈마’라는 물질을 사용해요. 연료에 강한
전압
을 걸면 전기에 의해 가열되면서 기체상태를 넘어 전자나 이온 등의 더 작은 입자로 쪼개져요. 이를 플라즈마라고 부르며, 여기에 강한 자기력을 걸면 플라즈마가 빛에 가까운 속도로 이끌리지요. 이렇게 빠르게 이끌린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당일 끊어진 케이블도 이렇게 불규칙한 간격을 두고 불연속적으로 불에 타 있었다. “뇌
전압
으로 케이블에 균열이 먼저 난 뒤, 약한 전류가 내부로 침투했을 겁니다. 케이블의 가장 약한 부분들에서 먼저 불이 났을 거예요.”끊어진 부분의 단면도 현장에서 관찰한 것과 같았다. 강선이 뇌 전류에 ... ...
[과학뉴스] 눈에 보이지 않는 초소형 기계장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지금까지 개발된 초소형 장치들은 여러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었어요. 수백 볼트의
전압
이나 수백 도의 온도 등 실제로 사용하기 어려운 조건에서만 장치가 움직였거든요. 또한 움직이는 속도도 느리고 힘도 약한 탓에 일을 하기도 힘들었답니다.하지만 최근 영국 캐임브리지대학교 제레미 바움버그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낙차가 큰 궤도를 그리는 것과 비슷하다. 이때 발생하는 수직 방향의 전류량을 걸어준
전압
으로 나눈 값을 ‘홀 전도도’라고 하는데, 클리칭이 측정한 홀 전도도는 어떤 특별한 값의 정수배로만 존재했다.흔히 전류는 전자의 흐름으로 쉽게 표현하지만, 실제로는 말할 수 없이 많은 전자들이 서로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