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압"(으)로 총 6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이렇게 빠른 속도는 큰 골칫거리다. 전통적인 디지털처리방식은 0과 1을 나누기 위해 전압, 위상, 극성 등을 기준으로 삼는다. 양자메모리는 연속적인 빛을 시간대 별로 짧게 토막을 낸 ‘펄스’라는 디지털 정보를 만든다. 그런데 너무 빠른 속도가 문제다. 대화를 할 때 상대가 자신보다 수천, 수만 ...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전압이 원래보다 급격히 높아졌다가 뚝 떨어진 뒤, 다시 원래 값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전압뿔은 신경돌기를 따라 연쇄적으로 나타나며, 1초당 18.8m로 이동했다.미국 베네스다국립보건원 리처드 피츠휴 박사팀은 이 방정식을 응용해 신경세포망★ 전체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연구했다. 신경세포 여러 ... ...
- 익숙하지만 낯선 이름들, V와 Hz 그리고 W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여러 층으로 쌓고 이들을 묽은 황산용액에 넣어 만든다. 구리·아연 층이 쌓일수록 전압도 커지며, 화합물의 전기분해 같은 다양한 실험에 성공적으로 쓰였다.주파수의 단위인 Hz(헤르츠)는 독일의 물리학자 하인리히 헤르츠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헤르츠는 처음으로 전자기파의 존재를 눈으로 ... ...
- Part 3 특종 인공번개 쏴라~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로켓 쏴 번개가 번쩍!국내에는 한국전기연구원에 420만V나 되는 번개를 발생시키는 ‘충격전압 발생장치’가 있다. 이 장치는 테슬라 코일 대신 ‘막스발생기’로 인공번개를 만든다. 전류를 축전기 여러 개에 충전시킨 다음,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동시에 방전시켜 번개를 만든다 ... ...
- Part 2 번개 사냥의 수학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관찰해야 하는 것이다. 전위★ 전기장 속에서 ‘높이’와 비슷한 개념. 전위의 차가 전압(V)이다. 번개, 어떤 모양일까?스위스 브라운보버리연구센터의 루츠 니마이어 박사팀은 번개가 갈라지는 모양을 ‘절연파괴’ 현상으로 설명했다. 절연파괴란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물질의 전기저항이 ... ...
- [과학뉴스] 세계 최고 해상도 양자점 LED 개발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크기만 조절하면 스스로 원하는 색을 내 차세대 발광소자로 주목받고 있지만, 낮은 전압에서 성능이 떨어져 아직 상용화에 이르지는 못했다.연구팀은 양자점 초박막필름에 양자점 나노입자를 도장처럼 찍어내는 ‘음각 전사-인쇄 기술’을 개발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이번에 개발된 디스플레이의 ... ...
- [과학뉴스] ‘늘었다 줄었다’ 스타킹 같은 전자소재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뛰어난 전극을 덧붙여 자가발전소재를 완성했다. 개발된 고탄성 나노자가발전기는 4V의 전압을 발생시키며, 100회 이상 잡아당겨도 망가지지 않고 성능을 유지했다 ... ...
- [Knowledge] 3000t급 잠수함 장보고-III 산실,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맞먹는다. LBTS에서는 추진전동기의 출력을 서서히 끌어올리는 실험이 진행 중이었다. 전압을 높였을 때 전동기가 프로펠러를 충분히 빨리 돌릴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육상에서, 그것도 프로펠러도 달지 않은 상태에서 어떻게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을까.“발전기를 이용하면 가능하죠.” ... ...
- 화재 막는 과학 우리 집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쌓이면 물체에 닿았을 때 불꽃이 튀며 전기가 이동하지요. 이렇게 생긴 정전기는 순간전압이 수천에서 수만 볼트로 엄청나지만, 짧은 시간 흐르기 때문에 감전 같은 사고는 일어나지 않아요.그런데 정전기도 주유소에서는 아주 위험한 존재가 될 수 있어요. 주유소에는 공기 중에 작은 기름방울들이 ... ...
- 총알보다 빠른 혜성에 착륙하라! 로제타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발사해 추진력을 얻어. 폭발 위험이 적은 제논(Xe)이온을 이용하지. 일단 제논 가스에 전압을 걸어 전자와 양이온으로 분리시켜. 그 중에 무거운 양이온을 빠른 속도로 가속시켜서 밖으로 내뿜으면, 그 힘으로 탐사선이 움직일 수 있는 거야.최근에는 핵엔진도 각광받고 있어. 핵분열이나 핵융합 과정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