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류"(으)로 총 5,781건 검색되었습니다.
- 48명이 35만 번 동전 던져 D-H-M 모형 실험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참가자를 모집했다. 동전 종류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는 걸 고려하지 않기 위해 46개 종류의 동전을 사용했다. 참가자를 모집할 때 그는 여러 개의 조건을 내세웠다. 중요한 두 가지를 꼽으면, 동전이 손바닥 위에 떨어지도록 할 것과 동전 던지는 모든 과정을 녹화할 것이었다. 동전이 손바닥 위에 ... ...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등 여러 앱의 형태로 다양한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아주 단순한 나침반도 센서의 한 종류다. 나침반은 주변의 금속이나 자성체의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동서남북을 알아내기 위한 도구로 쓰이기 때문이다. 사람을 기계와 비교한다면 우리에겐 다섯 가지 센서가 있다. 시각, 청각, 촉각, 후각,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네 단계로 이뤄진다. 첫 번째, 분석하려는 생물체의 DNA를 추출한다. 이 DNA는 염색체나 종류별로 구분된 상태가 아닌, 전체 DNA가 뒤섞인 잡탕 상태다. 두 번째, 이 많은 DNA를 한 번에 검사할 수는 없으니 DNA를 물리적 충격이나 자르는 효소를 이용해 적당한 길이로 자른다. 세 번째, 짧게 잘린 DNA 조각을 ... ...
- [4컷 만화] 나비는 어디에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무려 1만 9000여 종에 이를 정도로 그 종류가 많고 다양합니다. 나비는 어디에서 처음으로 나타났을까요? 미국 플로리다대학교를 포함한 공동연구진이 지난 5월 15일 최초의 나비를 밝혀냈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진은 90개국 2244종의 나비에서 생명의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물질인 DNA를 수집해 나비의 ...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에우클레이데스는 이 책에서 귀류법을 120번 넘게 사용해요. 귀류법은 간접 증명의 한 종류인데요. 이렇게 많은 간접 증명을 직접 증명으로 바꾸려는 논의와 시도가 있었어요. 단순히 참임을 증명하는 차원을 넘어서서 이것보다 더 나은 증명은 없을까 하는 의문을 꾸준히 제기했지요. 세 번째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내비게이션, GPS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거쳐 온몸을 돌고 온 혈액이 다시 심장으로 되돌아갈 때 쓰이는 통로입니다. 동맥의 종류는 매우 다양합니다. 심장 부근에는 대동맥과 연결된 심장동맥이 있어요. 심장은 온몸으로 혈액을 내보내기 위해 아주 강한 힘으로 펌프질을 하고 있지요. 이 압력을 견디기 위해 심장동맥은 두껍고 탄력성이 ... ...
- [Space Math] 우주를 향한 인류의 호기심이 현실이 되려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우주의 기원 즉, 빅뱅에 더 근접해서 보기 위해, 다른 생명의 흔적을 찾기 위해 여러 종류의 관측 기기가 지상과 우주에서 가동되고 있다. 지적 호기심이 STEM으로 연결돼야! 물리는 수학의 뒷받침을 요구하고, 여러 첨단 관측 도구를 만들려면 공학과 기술이 필요하다. 공학과 기술은 물리가 ... ...
- [과학뉴스] 유해한 유전자 돌연변이 찾아내는 AI ‘알파미스센스’ 발표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변하는 돌연변이를 미스센스 돌연변이라 부른다. 미스센스 돌연변이는 변한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라 별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수도 있지만, 심각한 질환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대표적인 예가 원반 모양인 적혈구가 낫모양으로 변해 빈혈을 일으키는 ‘낫적혈구빈혈(겸상적혈구빈혈)’이다. 이 ... ...
- [최신 이슈] 세상 가장 무거운 동물? ‘페루세투스’가 말해주는 것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작지만 무거운 이유, 묵직한 뼈 페루세투스는 ‘바실로사우루스’라 불리는 초기 고래 종류에 속한다. 원래 육상 포유류였던 고래의 선조는 신생대 에오세 초기부터 물로 돌아가기 시작했다. 에오세 후기가 되어 나타난 바실로사우루스는 최초로 완전히 수중 생활에 적응해 바다를 누볐다. 작게 ... ...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그리퍼는 어떤 물건을 쥐는 로봇을 의미한다. 로봇은 물건을 쉽게 집지 못한다. 물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강도(조금만 세게 쥐어도 깨지는 계란부터 단단한 바위까지)와 촉감(미끄러운 젤리부터 거친 고무까지)을 가지고 있어, 여러 물건을 제대로 집으려면 힘과 움직임을 섬세하게 조절해야 하기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