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사] 우리나라 첫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1호 발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21세기 진입을 열흘 앞둔 1999년 12월 21일, 우리나라에도 다목적 실용위성이 생겼어요.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발사체 미노타우르-C를 타고 우주에 도착한 아리랑 1호였죠.다목적 실용위성은 한반도 지형과 해양 관측, 지구 궤도에서의 과학 실험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진 위성이에요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다누리 미니블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한 해를 마무리하는 마음으로 섭섭박사님은 달을 보며 소원을 빌었어요. 그러다 문득 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 탐사선 다누리가 떠올랐지요. 섭섭박사님은 다누리를 직접 만들어 보겠다고 나섰습니다. 만들어 보자! 다누리 미니블록 이번 시간에는 다누리 미니블록을 조립해 볼 거예요. 다누리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땀샘 / 슈퍼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땀샘(sweat gland)덥거나 긴장해서 땀을 흘린 적 있나요? 우리 몸에서 땀이 나는 건 피부에 있는 땀샘 때문이에요. 땀샘은 사람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표피 아래, 진피와 피하지방 사이에 걸쳐 있죠. 우리 몸에는 200만~400만 개 정도의 땀샘이 있답니다.땀샘은 에크린샘과 아포크린샘으로 나뉘어요. 더 ... ...
- [양궁상] 청동기 화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활과 화살은 원시인들이 사냥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무기였어요. 그런데 옛사람들이 화살을 만들 때 운석도 사용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화살촉은 화살 끝에 박은 뾰족한 쇠예요. 옛사람들은 보통 돌이나 금속을 갈아 화살촉을 만들었지요. 그런데 최근 청동기 시대 사람들이 만든 화살촉에서 ... ...
- 별난 생물 이름 어떻게 지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그리핀도르의 모자 거미, 왔노라 보았노라 정복했노라 앵무새, 블랙핑크 리사 꽃. 이게 정말 생물 이름 맞냐고요? 네! 모두 종을 처음 발견한 사람이 심사숙고해 지은 ‘학명’이랍니다. 지구상에 어떤 별난 학명이 있는지 소개할게요! 학명, 이렇게 짓는다! 생물은 국가와 언어에 따라 각기 다른 ... ...
- [통합과학교과서] 달 도둑을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저기 보세요! 개가 달을 훔쳐 가려고 해요!”깜깜한 밤, 겁에 질린 목소리가 동화마을에 울려 퍼졌습니다. 집 밖으로 나온 동화마을 사람들은 하나같이 하늘을 쳐다보고 있었지요. 시선을 따라가 보니 커다란 개 한 마리가 달을 있는 힘껏 물고 있었어요.“어쩐지 요즘 해와 달이 사라졌다 나타났 ... ...
- Day2. 깎아지른 수직 협곡과 옥빛 하천이 눈앞에! (타이루거 협곡-칠성담 해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지금부터 안전모를 쓰고 트래킹할게요. 낙석을 조심하세요!” 안전모까지 착용하고 나니 진짜 지질학자가 된 것처럼 가슴이 설레었습니다. 차에서 내리자 높이 솟은 산맥과 깎아지르는 거대한 대리석 절벽이 눈앞에 펼쳐져 탄성이 절로 나왔지요. 타이루거 국립공원은 해발고도 3000m가 넘는 산 ... ...
- [탐험후기] “놀라운 풍경에 지질학자의 설명까지 더해진 귀한 경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자연의 힘에 놀랐어요!” _이승준기다리던 탐험 당일! 공항은 혼잡했지만 멀리서 반갑게 인사하며 걸어오시는 우경식 교수님은 한눈에 알아볼 수 있었어요. 교수님과의 탐험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곳은 예류 지질공원이에요. 버섯바위가 사진보다 훨씬 크고, 모양이 다양하게 깎여 있어 정말 아름다 ... ...
- Day1. 수천 년 파도와 바람이 만든 버섯바위를 만나다! (예류 지질공원-타이베이101타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대만 타오위안 공항 근처에서 간단한 식사를 마친 대원들은 다시 차로 1시간 반 이동해 해안가에 위치한 ‘예류 지질공원’에 도착했습니다. 시원한 바닷바람까지 맞으니, 섬나라 대만에 왔다는 걸 더욱 실감할 수 있었죠. 공원 안으로 몇 걸음 들어서자, 낙타의 등처럼 봉긋 솟아 있는 버섯 바위 ... ...
- [가상인터뷰] 공룡, 미세먼지 때문에 멸종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Q. 자기소개 부탁해.안녕! 난 약 6600만 년 전 멸종한 공룡이야. 당시 지름 10km가 넘는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했는데, 얼마나 무서웠는지 아니? 소행성 충돌로 공룡이 멸종했다는 건 널리 알려진 사실이지만, 소행성 충돌 후 공룡이 정확히 어떻게 멸종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아. 그런데 지난 10월 30일, 벨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