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맹꽁, 맹꽁! 물총새가 첨벙!...우리 동네 도시숲에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도시숲은 사람이 사는 곳과 아주 가까운 거리에 있는 숲을 말해요. 공원, 저수지 등이 우리가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도시숲이죠. 10월 28일, 지구사랑탐사대 4개 팀이 세종시에 모여 도시숲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봄과 여름에 물총새를 관찰했어요!” 물총새는 머리의 청록색이 ... ...
- [마이보 의 과학 영상 읽어줌] 로봇은 어떻게 안넘어지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두 발 달린 로봇을 발로 뻥 차면 어떻게 될까? 넘어지지 않고 균형을 잡는 로봇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꽤 정교한 기술이 필요해. 우리가 겪는 다양한 실패를 연구하는 카이스트 실패연구소와 태양계의 방패 역할을 하는 목성에 대한 영상도 함께 준비했으니 같이 보자고~! 로봇은 어떻게 안 넘어지 ... ...
- Day3. 화산 분출로 만들어졌다! 대만의 하와이 ‘펑후’ (펑후 섬 다궈예 주상절리-고래동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차를 타고 펑후의 첫 탐험지인 ‘다궈예 주상절리’에 가는 길. 대원들의 눈길을 가장 먼저 사로잡은 건 야트막하게 쌓아 올려진 돌담이었습니다. 아스팔트 도로 너머로 에메랄드빛 바다까지 보이니 제주도에 온 듯한 착각이 들기도 했지요. 펑후는 크고 작은 섬으로 이뤄진 군도예요. 제주도처 ... ...
- [만화 뉴스] 달 만든 원시행성, 지구 안에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11월 2일,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첸위안 박사팀은 지구의 맨틀에 45억 년 전 지구와 충돌해 달을 만든 원시행성 테이아의 잔해가 남아 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지구와 테이아의 충돌이 지구 내부에 흔적을 남겼을 거라 가정하고 컴퓨터 모의실험을 진행했어요. 모의실험 결과 테이아의 잔 ... ...
- 잎꾼개미 후투티와 함꼐 한 탐사줄다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10월 8일, 지구사랑탐사대 대원과 가족 62명이 충남 서천의 국립생태원에 모였습니다. 지구사랑탐사대장인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 연구원들과 함께 생태원을 탐사하기 위해서였죠. 1박 2일 동안 동식물은 물론, 곤충과 조류까지 관찰하고 온 대원들의 생생한 생태 탐사기, 지금 시 ... ...
- [현장취재] 어과동 생일 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10월 14일 어린이과학동아 독자 30명이 동아사이언스 본사로 모였습니다. 어과동의 19번째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서였죠. 만화로만 만날 수 있었던 김문식 작가와 문인호 작가, 이혜림 작가, 홍승우 작가, 그리고 어과동 편집부가 함께했습니다. 어과동 팬파티의 전통인 독자들의 다채로운 코스프레 ... ...
- 반짝반짝 다이아몬드, 환경 파괴의 범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보석의 왕이라 불리는 다이아몬드는 프로포즈의 상징이 될 정도로 오랜 사랑을 받아 왔어요. 그런데 화려한 다이아몬드 뒤에는 많은 희생이 숨어 있습니다. 천연 다이아몬드 팔지 않겠다 선언한 이유는? 2021년, 덴마크 보석 업체 판도라는 더 이상 천연 다이아몬드를 팔지 않겠다고 발표했어요. 판 ... ...
- [출동! 기자단] 시상식 취재와 MIT 과학자 인터뷰를 한 번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지난 10월 11일, 제37회 인촌상 시상식이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렸어요. 어린이과학동아 독자 기자단이 과학기술 분야 수상자인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물리학과 최순원 교수를 만나고 왔습니다. 시상식부터 인터뷰 현장까지, 독자 기자단이 치열하게 취재한 현장으로 함께해 볼까요? ... ...
- [4컷 만화] 달에 포장도로를 짓는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달 탐사의 가장 큰 걸림돌은 달 표면의 흙에서 발생하는 먼지입니다. 달의 중력은 지구의 6분의 1에 불과해, 조그만 충격에도 먼지가 공중으로 떠올라요. 달 먼지는 바람에 의해 깎이는 풍화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끝이 뾰족합니다. 게다가 정전기를 띠고 있어 탐사 장비나 우주복 등에 쉽게 달라붙 ... ...
- 실험실, 채굴장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지난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8번째 랩그로운 다이아몬드 생산 국가가 되었어요. 2021년 12월,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송오성 교수와 KDT 다이아몬드가 협력하여 랩그로운 다이아몬드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죠. 다이아몬드 씨앗의 4주간 성장기 천연 다이아몬드는 지구 맨틀 속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