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하
d라이브러리
"
하전
"(으)로 총 143건 검색되었습니다.
놀라운 기능성 페인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주목받고 있다.물질은 기본적으로 원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자는 전자 원자핵이라는
하전
입자로 구성돼 있어서 전기와 자장의 영향을 받기 쉽다. 전기는 에너지 전달에 가장 적합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나 종종 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전기전자적 기능 도료는 바로 물질의 성질에 변화를 주지 ... ...
3. 꿈의 에너지 핵융합, '인공태양'까지 구상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수 없고, 다만 플라스마(Plasma)라 불리는 제4의 물질상태, 즉 고온하에서 이온화된
하전
기체 상태만이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다는 것. 저장방법에 있어서도 현재까지 알려진 최고온 내열재들은 4천도 이상이 되면 모두 타버리므로 관성밀폐방식(inertial confinement)과 자기밀폐방식(magnetic coninement) ... ...
1. 고체 액체 기체에 이은 '제 4의 물질상태'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하전
입자들의 집단을 말하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여기서 플라스마가 많은 수의
하전
입자 집단임을 강조하는 것은 다수의 입자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공존하는 상태에서는 통계적인 이해만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때 플라스마는 파동성 비선형성 불안정성 자기유지성 등 각개개의 ... ...
포항 방사광가속기 지상공개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전자를 깨뜨려 렙톤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충돌입자의 에너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하전
된 입자(양성자나 전자)를 가속시킬 수밖에 없다. 2차대전까지 입자의 속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사이클로트론이라는 가속장치가 가장 인기였다. 사이클로트론이란 점점 반지름을 늘여가면서 나선형으로 ... ...
(1) 생체합성의 사슬 아미노산 세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중 하나는 아미노산의 탄소 카르복실그룹과 아미노그룹이 생리적인 pH에서 이온화하여
하전
을 띄우게 된다는 점이다(그림2). 이같은 아미노산 결합은 아미노산 한 개의 아미노그룹과 다른 아미노산의 카르복실 그룹에서 한 분자의 물이 빠져 나가면서 공유결합인 펩티드결합을 형성하게 된다(그림3 ... ...
집적도 한계 돌파하는 바이오소자 가능성 확인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더이상 회로를 파는 일이 불가능하다. 또한 이처럼 좁은 공간에서는 전자를 고전역학의
하전
입자로 취급할 수 없어진다. 1기가비트는 손톱만한 칩 위에 백과사전 한질이 들어가는 분량. 이와 같은 집적도의 한계를 돌파하는 방법중의 하나가 바이오소자를 실현하는 일이다. 바이오소자란 생물체의 ... ...
톱쿼크 발견 임박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미국의 팅과 리히터는 1976년 노벨상 공동수상) 3년 뒤 다시 스탠퍼드가속기연구소에서
하전
된 가장 무거운 경입자인 타우입자가 발견되었다.1977년에는 미국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에서의 b쿼크의 발견으로(이 실험의 대표인 미국의 레더만은 중성미자의 발견으로 1988년 노벨상 수상) 모두 5종의 ... ...
터빈없는 발전기 MHD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하는 MHD 직접발전은 매개물이 없이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핵융합 생성물이
하전
입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앞으로 연구될 D(중수소)-${ }^{3}$He 핵융합발전은 핵융합의 생성물을 직접 작용가스로 사용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MHD와 궁합이 잘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D-${ }^{3}$He 핵융합은 ... ...
'공기 비타민' 음이온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것으로, 보통 1개나 여러개의 소전하(素電荷, 1.6X${10}^{-19}$C)를 갖고 양(+) 또는 음(-)으로
하전
된다.이때 상호 중화되거나 확산에 의해 소실되는 것을 제외하면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공기는 공기 1cm²당 약 8백-2천개 정도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리에 의해 생성된 공기중의 이온은 그 크기가 ... ...
별 진화론 대폭 수정 돼야 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밀도가 높고 무거운 중성자별을 남기며, 주위에는 강력한 자기장을 방출시킨다. 동시에
하전
입자를 안으로 밀어넣으면서 별 내부의 비밀을 폭로하는 대폭발을 수반한다. 7년이 지난 지금까지 이 폭발의 여진이 관측된다. 이 현상이 바로 천문학자들을 당황시키는 것이다.우리은하에서만 1백50여곳의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