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전"(으)로 총 143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국내 최초 도입, 암 세포를 정조준할 탄소 탄환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한 원형 가속기, ‘싱크로트론’이다. 싱크로트론이란 일정한 궤도의 원 운동을 하는 하전입자(전하를 띤 입자, 여기서는 탄소 이온)에 전기장 혹은 자기장을 걸어 그 속도를 빛의 속도 가까이 끌어올리는 원형 가속기다. 세계 최대의 가속기인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충돌기(LHC)도 ... ...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특수한 장치를 고안해 이를 측정하고자 했다. 페닝트랩은 전자기장을 이용해 하전입자를 가두는 장치다. 반양성자 감속기가 만들어낸 반양성자를 고진공환경에 가두고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아직까지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기존 천체물리학에서 초신성 등을 통해 반물질을 ... ...
- [과학뉴스] 시민들이 밝혀낸 '스티브'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발생해요. 반면에 연구 결과, 스티브는 지구 상공 60km~1000km 구역인 전리층 안에 있는 하전 입자들끼리 충돌하면서 생기는 것으로 밝혀졌답니다. 이때 마찰로 입자가 가열되면서 분홍빛을 냈지요. 전기가 텅스텐 필라멘트를 뜨겁게 가열시키면 전구에 빛이 나는 것과 비슷한 원리랍니다. 또한, ...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여러 가지 현상을 일으킨다. 오로라가 대표적이다. 오로라는 대기 깊숙이 들어온 하전입자가 대기 중 원자나 분자와 충돌해 발생한다. 고층대기, 어렵지만 중요한 이유남위 62도 13분, 서경 58도 47분. 위치상 ‘서브오로라대(Sub-auroral Region)’에 속하는 남극세종과학기지는 고층대기를 연구하기 위한 ... ...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입자들을 실어 보내면 고에너지 가속 입자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하전 입자를 매우 짧은 거리에서 고에너지로 가속할 수 있다. 이론상으로는 가속기의 크기를 현재의 1000분의 1로 줄이는 게 가능하다. 전자의 경우에 특히 효율적이어서, 전자를 기존의 가속기보다 약 1000배 큰 ... ...
- [Photo] 옐로나이프를 감싼 ‘천상의 커튼’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월까지 볼 수 있는데 특히 맑고 캄캄한 밤하늘에서 잘 보인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날아온 하전입자 일부가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대기로 진입하면서 공기와 반응해 빛을 내는 현상이다. 따라서 지구 자극과 인접한 위도 60°~80° 지역에서 주로 나타난다.오로라는 색과 모양이 다양하다. 보통은 ... ...
- [Knowledge] 방사능벨트가 지구 보호한다고?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부품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내대와 외대 사이에는 하전 입자가 거의 없는 빈 공간인 슬롯 영역이 있습니다.입자들이 지구 주변에 갇혀 움직이지 못하는 건 지구 자기장이 비대칭이기 때문입니다. 지구 자기장의 남북극을 잇는 가상의 직선은 지구의 자전축과 11. ...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뒤에야 목성에서 발생하는 오로라 현상으로 밝혀졌다. 특이하게도 목성은 태양에서 오는 하전 입자가 오로라를 만들지 않는다. 목성은 자전 속도가 10시간 정도로 매우 빠른데, 이 때문에 생기는 전기 에너지가 목성 대기와 충돌해 오로라를 만든다.목성보다 더 유명한 것은 토성 오로라다. 2004년 ... ...
- 차세대 레이저 가속기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생긴다. 이 전기장은 전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속기에 비해 약 1000배 정도 강해서 하전입자들을 아주 짧은 거리에서 고에너지로 가속할 수 있는 것이다.이와 같은 가속 방식은 이론적으로는 간단하지만 초기 연구는 그리 활발하지 못했다. 고출력 레이저를 만들 수 없었던 것이다. 일부 과학자들은 ... ...
- 신기한 세계, 박막 및 미세조직공학과학동아 l2013년 05호
- 기본으로 하여 박막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하전이 미세조직의 변형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재료의 생산 및 공정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저희 연구실의 가장 큰 특징은 ‘think hard’를 강조하는 것입니다.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