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광
개똥불
반딧불
반디불
형작
형광도료
도료
d라이브러리
"
형광
"(으)로 총 437건 검색되었습니다.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기관에 들어가 이런 과정을 직접 해 보고 싶다”고 아쉬움을 털어놨답니다.연구동과 대
형광
학가공동 탐방을 마친 이용현 기자는 “미국이나 유럽에서만 만드는 줄 알았던 반사경을 우리나라에서도 만든다니 정말 자랑스럽고, 그 과정을 직접 보니 정말 뿌듯하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완전히 다릅니다. LED는 질화갈륨 같은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해 만드는 반면, OLED는
형광
성 유기화합물을 이용합니다. 둘 다 ‘자체발광’ 소자이긴 해요. OLED TV는 패널 자체가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별도의 백라이트 광원이 필요 없습니다. 얇고 가볍고 열이 나지 않습니다. 게다가 기존 TV가 ... ...
[과학뉴스] 광합성 하는 달팽이를 소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얻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조류의 특정 유전자를
형광
으로 표지한 뒤 이 유전자가 달팽이의 세포 속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달팽이와 달팽이 먹이 사이의 게놈을 비교하면 먹이의 유전자 일부가 달팽이에게 옮겨온 흔적이 관찰된다는 보고는 이전에도 ... ...
떴다! 청소년 문화재지킴이 기자단 대한제국의 흥망성쇠를 느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미션의 정답을 찾아 사진을 찍은 후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앱에 포스팅하면 미션 성공!
형광
색의 조끼를 입은 기자단은 정동 일대를 누비며 미션을 수행하고 역사 공부도 했답니다.점수보다 중요한 역사 의식기자단은 런닝맨에 이어 바로 O, X 퀴즈를 풀었어요. 여러분도 같이 한 번 풀어볼까요?“189 ... ...
산타도 깜짝 놀란 착한 과학 선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배율에 100분의 1mm까지 볼 수 있답니다. 여기에 자외선을 비춰
형광
을 내는 원리를 이용한
형광
현미경과, 상을 스크린으로 볼 수 있는 투사형 현미경, 광물의 얇은 조각을 관찰할 수 있는 편광현미경 등 다양한 종류의 현미경을 개발했답니다.1000분의 1mm까지 볼 수 있다! 마누 프라카시가 ... ...
문화재 런닝맨 창덕궁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3호
014년 11월 8일 토요일, 고요하던 창덕궁이 갑자기 시끌시끌해졌어요. 선명한
형광
색 조끼를 입은 어린이들이 빨개진 얼굴로 궁 이곳저곳을 탐색하고 다녔지요. 다들 한 손에는 스마트폰을 꼭 쥐고요. 대체 무슨 일이냐고요? 이날 창덕궁에서 ‘떴다! 청소년 문화재지킴이 기자단 현장취재의 날’ ... ...
2014 노벨 과학상 발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형광
현미경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지요. 고해상도
형광
현미경은 관측하려는 물체에
형광
빛을 내는 작은 점을 찍어 줘요. 점은 사진을 찍을 때마다 물체 안에서 위치가 바뀐답니다. 그래서 수많은 사진을 찍어 다 합치면 물체의 모양이 아주 세밀한 부분까지 나타나지요(사진). 과학자들은 이 ... ...
[과학동아 카페] “노벨상 원리, 장풍 알면 쉬워요”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60여명이 고개를 끄덕였다. 참가자들의 질문도 수준 높았다. 윤 교수가 “청색 LED는 노란
형광
체를 발라 백색 LED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이번에 물리학상을 받은 것”이라고 설명하자 한 참가자는 “왜 적색 LED는 같은 원리로 백색 LED를 만들 수 없느냐”고 물었다. 올해 생리의학상 주제였던 ... ...
[life & tech] 화장품 바르다 나노 중독 될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모이나물벼룩과 제브라피시의 내장 안에서 관찰했다. 제브라피시의 배설물에서도
형광
이 보였는데, 이는 수생태계의 다른 생물들도 나노입자에 노출될 수 있다는 뜻이다. 머잖아 나노입자 때문에 참치 섭취를 금지하는 일이 실제로 벌어질지도 모른다.현대의 첨단과학기술은 양날의 검과도 같다.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했다. 뇌과학의 신비를 풀어나가는 것도 이 분야의 중요한 연구 주제다. 초분해능
형광
현미경은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는 말을 가장 잘 대변해주는 최첨단 과학 기술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과학상 2014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PART 2. 물리학상PART 3. 생리의학상INTERVIEW 1.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