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광
개똥불
반딧불
반디불
형작
형광도료
도료
d라이브러리
"
형광
"(으)로 총 437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DGIST 에너지공학전공 - 수소연료전지차의 마지막 퍼즐 최고의 촉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한 번에 최대 220종의 촉매를 만들 수 있다. 220종의 촉매에 활성도를 측정할 수 있는
형광
물질을 첨가해 빛의 밝기를 비교하고 최적의 비율을 찾아 나간다. 시료를 자동으로 분류하고 섞는 ‘로보틱 프린터’를 이용해도 꼬박 일주일이 걸린다. 연구진은 일주일 뒤 또 다른 금속을 또 다른 비율로 ... ...
Part 3. 과학으로 되살린 화려한 조선 옷감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31건을 분석했다. 심 교수팀은 X선
형광
분석기를 이용해서 금사의 성분을 알아냈다. X선
형광
분석기는 시료에 X선을 쪼였을 때 시료를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에 따라 방출되는 X선의 파장이 다르다는 점을 이용해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를 분석하는 장치다.분석 결과 고려와 조선의 금사는 얇은 ... ...
[과학뉴스] 바닷속 DNA로 바다소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존재하는 고유한 염기서열을 찾아낸 다음, 바닷물에서 바다소의 DNA가 발견되면
형광
을 내는 탐지기를 만들었어요. 연구자들은 “이 방법은 멸종 위기에 처한 바다소의 서식지를 찾고 그들을 보호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밝혔어요 ... ...
[Interview] "박쥐 같은 학문 바이오피직스로 면역항암제 개발 길 열 것"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똑같이 논문을 내면 박사학위를 못 받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두 개의 분자에
형광
물질을 붙여 동시에 보는 아이디어를 냈습니다.” 그는 가장 기억에 남는 연구로 2005년 ‘네이처’에 실린 모터 단백질 움직임에 대한 연구를 꼽았다. UC버클리에서 만난 아내 명수아 존스홉킨스대 교수와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LED를 디스플레이용 기판으로 옮길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백열전구와
형광
등을 대신해 에너지와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LED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또 한번 획기적인 ‘빛의 시대’를 열지 기대해볼 만합니다. 김종명서울대 화합물반도체 에피성장 연구실에서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있다. ... ...
[Issue] 미백 화장품으로 하얀 피부 만들 수 있나요?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창문을 통해 자외선B, 자외선C가 대부분 걸러지고,
형광
등에서 나오는 자외선도
형광
등 안쪽에 코팅된 이산화티탄 성분이 산란시키기 때문입니다. 제품의 물성도 자외선 차단 효과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네 종의 유기 자외선차단제 성분으로 에멀젼을 만든 뒤, 점도를 다르게 했더니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보여주기도 합니다. 목표로 삼은 유전자들의 RNA에 맞게 탐침을 여러 개 만들고 서로 다른
형광
물질을 붙이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을 초파리 배아에 적용하면 신체 각 부위를 만들어내는 유전자가 어디에서 얼마나 발현되는지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아래 그림). 보이지 않는 RNA를 반짝반짝 빛나게 ... ...
[Origin] 피 한방울 이즈 베리 임폴턴트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세포 내에 침투시킨 뒤
형광
을 추적해 세포 내에서 물질의 기작 연구도 가능하다. 또
형광
이 밝은 만큼 매우 적은 양의 바이오마커를 검출하는 데도 유용하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의 경우 고감도 진단을 위해서는 유전자증폭기술(PCR)로 사전처리를 해야 하는데, 양자점을 이용하면 바이러스를 바로 ... ...
[과학뉴스] 모래 한 알에 미생물 10만 개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국제미생물생태학저널(ISME Journal)’ 2017년 12월 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모래알을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지름이 202~63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인 모래 입자에서 1만~10만 개에 이르는 미생물을 발견했다. 모래 한 알이 미생물에게는 수만 명이 사는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에 ‘빛 광(光)’이 합쳐진 한자어로, 풀이하면 ‘반딧불이에서 나오는 빛’이 돼요.
형광
물질의 밝은 색이 어둠속에서 은은하게 빛나는 반딧불이의 모습과 비슷해서 붙여진 이름이랍니다. ‘반딧불이 형(螢)’은 ‘등불 형(熒)’에 ‘벌레 충(虫)’이 더해진 모양이에요. 빛을 내며 날아다니는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