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뉴스
"
그림
"(으)로 총 2,03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 '결점' 생기는 보편 과정, 실험으로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7.30
확인한 것이다. 초유체 상전이 과정을 빠르게 지날수록 생성되는 양자 소용돌이(
그림
의 검은 점)의 개수가 많아진다. 왼쪽이 가장 느리게 지났을 때, 오른쪽이 가장 빠르게 지났을 때다. 서울대 제공 그 결과 양자 소용돌이 개수는 실험 변수와 관계없이 상전이 속도의 멱법칙을 따랐다. 초유체 ... ...
고온 초전도체 비밀에 더 가까이…고체에서 '암흑 전자' 세계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있는 상태가 된다. 하지만 두 쌍이 서로 다른 모양으로 있는 나머지 3개 상황에서는(아래
그림
의 암흑 상태) 항상 두 파동이 겹쳤을 때 '상쇄간섭'이 일어나 빛 에너지, 편광 등 어떤 측정 조건으로도 관측할 수 없는 암흑 상태의 전자가 형성된다. 고체 물질의 단위 구조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같은 ... ...
그 많던 맹꽁이는 어디로 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7.13
생물)입니다. 멸종위기 1위 양서류 - 척추동물의 종내 멸종위기종 비율을 나타낸
그림
. 양서류 8011종 중 2873종이 멸종했거나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종의 37%, 27%가 멸종위기에 처한 연골어류와 포유류 등 다른 척추동물보다 비율이 높다. State of the World’s Amphibians 2023/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살 ... ...
기후위기가 가져온 나비효과…홍수·가뭄이 지진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24.07.13
활용해 강한 지진이 발생한 마을의 전경을 상상한
그림
. DALL·E 제공 2024년 1월 1일 일본 노토 반도에는 규모 약 7.6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이 지진으로 200여 개의 건물이 무너지고 약 15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유례없던 강력한 지진에 과학자들은 여러 가설을 제시해왔는데요. 폭우와 폭설 ... ...
"올빼미형 인간이 아침형 인간보다 인지능력 뛰어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책임자는 가디언과 인터뷰를 통해 "뇌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한 자세한
그림
이 없다면 '아침형' 또는 '올빼미형' 사람이 되는 게 기억력과 사고력에 영향을 미치는 건지, 반대로 인지력의 저하가 수면 패턴에 변화를 일으키는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 ...
차세대디스플레이 소재 '페로브스카이트 LED' 불안정성 해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발광다이오드(LED)는 빈 공간으로 이온이 이동하며 녹색을 발광하는 문제가 있었다(왼쪽
그림
). KAIST 연구팀이 페로브스카이트 내 빈 공간을 막아 이온 이동을 억제해 고질적인 색 변화 문제를 해결했다. KAIST 제공 페로브스카이트는 태양전지, 광검출기, 발광다이오드(LED) 등 차세대 광전소자 재료로 ... ...
새 중력파 찾으러 중성자별·우주배경복사 이용하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개의 블랙홀이 중력파를 발생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
. 미국항공우주국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개념이미지연구소 제공 2015년 9월 0.15초 동안 지속되는 미미한 진동이 ‘고급레이저간섭계중력파관측소(LIGO·라이고)'로 불리는 장치에 포착됐다. 천재 과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예측했던 ... ...
가장 오래된 '동굴 벽화' 기록 깨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의 '사냥 장면 벽화'를 새로운 방법으로 다시 측정한 결과 4000년 더 오래된 4만8000년 전
그림
으로 분석됐다. 또 같은 마로스-팡켑의 랑 카람퐝(Leang Karampuan) 지역에 있는 아직 연대를 밝히지 않은 벽화의 연대를 분석한 결과 최소 5만1200년 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됐다. 가장 오래된 동굴 벽화 기록이 ... ...
생물의 행동 진화, 세포의 유전자 발현만으로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빈도 분포(왼쪽)와 특정 유전자의 프로모터 발현에 따른 닉테이션 행동 변화를 설명한
그림
(오른쪽). 서울대 제공 지구 곳곳에서 널리 발견되는 동물인 예쁜꼬마선충들의 히치하이킹 행동은 품종에 따라 서로 다른 빈도로 일어난다. 연구팀은 전체 유전체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전장유전체 ... ...
에디슨은 전구를 발명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24.06.29
전구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도록 홍보했다. 에디슨 전등회사는 1920년대 제작한 홍보
그림
에서 집 밖으로 뻗어 나가는 밝은 불빛이 환대를 상징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전구가 창의적 발상을 상징하기 시작한 것도 이 무렵이었다. 이전까지 만화나 애니메이션에서 등장인물이 새로운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