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뉴스
"
그림
"(으)로 총 2,09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DGIST, 고용량·고안전성 양극소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태어난 허 화백은 다섯 살 때부터 조부의 화실인 춘설헌(春雪軒)에 드나들며 조부로부터
그림
그리기와 서예를 배웠다. 오는 3월 27일까지 열리는 이번 전시는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누구나 관람할 수 있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최영재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빛을 이용해 ... ...
"양자기술 연구도 中 딥시크처럼 개방형으로 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양자정보를 통합하는 허브 역할을 IBS에 조성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연말쯤에
그림
을 그릴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IBS에서는 양자 물질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물질 계면의 화학 반응을 양자 수준에서 들여다보는 IBS 양자변환 연구단이 광주과학기술원(GIST)에 ... ...
60년 만에 풀린 물리학 이론…1차원 전자계 최초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2.04
1m)에 불과하다. 1차원 이황화몰리브덴 거울 쌍정 경계(MTB)의 격자 구조를 묘사한
그림
(위)과 거울 쌍정 경계 내에서 강한 상호작용을 갖는 전자의 거동을 나타내는 모식도. IBS 제공 결정 경계의 종류 중 하나인 '거울 쌍정 경계(MTB, Mirror Twin Boundary)는 금속의 성질을 나타낸다는 특징이 있다. 한쪽 ... ...
[미리보는 노벨상]① 인류 최대 도전 '기후위기', MOF가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25.02.01
20 상용화에 성공하기도 했습니다. MOF가 실용화된 미래에 대한 질문에 문 교수는 더 큰
그림
을 제시합니다. 그의 연구팀은 투명한 액체 및 유리 MOF 재료를 개발하고 있으며 그는 MOF의 미래를 이렇게 그렸습니다. "우리가 반도체를 발견하고 삶이 바뀐 것처럼, 새로운 재료가 바꿀 미래는 정말 ... ...
우리가 몰랐던 난자와 정자의 창조적 팀플레이
2025.01.25
과학동아 제공 정자는 난자에게 도달하기까지 어떻게 움직일까. 생물 시간에 배운
그림
을 떠올려 보자. 대개는 양옆으로 꼬리를 흔들며 물속을 헤엄치는 흰색 올챙이(?)를 상상할 것이다. 정자의 머리는 길이 약 4~5 마이크로미터다. 이곳에 난자의 바깥 막인 투명대를 녹이는 효소 새 생명을 만들 ... ...
고분자 엮은 '사슬갑옷' 구현…방탄복 혁신 가져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서로의 구멍 부분을 통과해 지나가며 엮인 2차원 물질이 된다(가운데). 오른쪽
그림
은 고분자층이 엮이는 지점의 분자 구조를 확대해서 보여준다. Science/Bardot et al.(2025) 제공 연구팀이 개발한 소재는 고분자가 2차원 형태로 기계적 결합된 최초의 물질일 뿐 아니라 1㎠(제곱센티미터) 면적에 약 100조 ... ...
에어로졸 공정으로 이산화탄소 전환촉매 성능·생산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촉매 내 금속 원자의 시너지 작용으로 이산화탄소 전환 반응이 향상되는 모습을 표현한
그림
. 재료연 제공 국내 연구팀이 재료를 안개처럼 작은 입자인 에어로졸로 분무하는 공정을 개발해 이산화탄소(CO2)를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단원자 촉매 성능과 생산 효율을 개선했다. 한국재료연구원은 ... ...
1200년 된 미라 문신, 오늘날보다 '가는 선' 새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4
당시 페루인들은 기하학적 무늬나 동물 형태의 디자인을 옷감에 자수로 새기거나
그림
을 그려넣는 문화를 구축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피부에 문신을 새기는 능력 또한 뛰어났다는 점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찬카이 문명에서 발견된 100구 이상의 미라를 대상으로 피부를 살폈다. 공룡 화석 연구에 ... ...
단일 원자 기반 양자 LED 광원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hBN-그래핀 반데르발스 터널링 구조를 이용해 만든 양자 LED 광원 기술을 보여주는
그림
. 포스텍 제공 단일 원자로 구성된 발광소재에 전하를 주입해 빛을 만들어내는 ‘양자 LED 광원’ 기술이 개발됐다. 양자 컴퓨팅과 양자 통신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기술이다. 포스텍은 김종환 ... ...
민물가재 안보이는 이유 있었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동물종을 파악한 것은 아니다. 연구팀은 "세계 담수 생물 다양성의 현황과 분포에 대한
그림
을 크게 개선하긴 했지만 범위를 더 확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생물 다양성 분포가 생물학적·비생물학적 요인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수질과 부영양화 등 비생물학적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