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유
원인
근거
연유
동기
사유
형편
뉴스
"
까닭
"(으)로 총 309건 검색되었습니다.
[배터리 이야기①] 리튬이 만든 세상을 보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1.18
내기 시작했다. 흔히 우리가 충전식 리튬계열 배터리를 ‘리튬이온 방식’라고 부르는
까닭
이다. 이런 ‘리튬이온 배터리’를 처음으로 실용화 한 것은 1991년 일본 소니사다. 이후 현재까지 다양한 제품에 쓰이고 있다. 물론 이후에도 지속적인 성능개량이 이뤄졌다. 각국 연구진들은 리튬이온을 ... ...
[동화작가, 남극에 가다 ①] 체험과 탐험 사이
2018.01.17
탑승자들이 대기하고 있다. - 이소영 제공 비행 상황은 기상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까닭
에 일정은 기약 없는 기다림의 연속이다. 오전에 남극으로 가는 비행기가 취소되는 바람에 우리 일행은 짐을 싼 채 대기에 들어갔다. 그날 오후 식당에 들러 오랜만에 한국 음식을 먹을 생각에 들떠 있는데, ... ...
[짬짜면 과학 교실] 과학 공부의 첫걸음
2018.01.13
걸 알려면 오리의 발 모양을 잘 알고 있어야겠지요. 추리가 과거의 일에 대한
까닭
을 밝히는 활동이라면 ‘예상’은 미래의 일에 대해 자기 경험과 지식으로 짐작하는 활동입니다. 그러려면 어떤 상황에 있었던 원리나 규칙을 찾아내어 그것을 근거로 삼아야겠지요. 달무리는 공기 중에 수증기가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①] 로봇과 사는 삶을 고민하다… 바이센테니얼맨
동아사이언스
l
2018.01.11
고등동물의 몸도 잘 만들어진 생체시스템으로 해석할 수 있으니 인공적으로 만들지 못할
까닭
은 없기 때문이다. 어떻게 그런 지능을 만들었는지 영화 속에서 명백한 설명은 없다. 다만 별도의 ‘양전자 두뇌’를 가지고 있다는 설정이 있는 것으로 보아, 현대에 인기를 끌고 있는 ‘딥러닝’이나 ... ...
[미래산업④]혁신의 시대를 맞이하는 방법, “이노밸리에 주목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7.12.29
증가한 규모라고 NYT는 보도했다. 4차산업혁명 촉발과 함께 이노밸리가 더욱 주목받는
까닭
은 새 시대의 산업개발 형태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아이디어의 타당성을 즉시 검증하고 빠른 속도로 연구성과를 얻을 수 있어, 이를 사업화하는 속도 역시 앞당길 수 있게 됐다. ... ...
“인간과 어깨 맞대고 일한다”… 산업현장서 ‘협동로봇’ 주목
동아사이언스
l
2017.12.27
멋모르는 사람이 손을 대면 오작동을 일으켜 공정에 차질을 빚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까닭
은 로봇이 사람이 일하고 살아가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인터렉션(상호작용)’ 기능이 충분하지 못했기 때문. 그러나 아마로 등의 협동로봇은 주변환경에 대응할 줄 안다. 여기에 사람이 주변에 ... ...
수도권 큰 눈 어디서 왔을까? 서해 수증기가 근원
동아사이언스
l
2017.12.18
막혀 강원도 영동지역에만 쏟아내리기 때문이다. 강원도가 국내에서 눈이 많기로 유명한
까닭
이다. 특히 울릉도는 일본 못지 않게 큰 눈이 내려 국내에서 유일하게 자연설 스키를 탈 수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반대로 영서 지역은 어렵사리 태백산맥을 넘어온 눈, 혹은 서해에서 넘어온 작은 ... ...
이통 3사가 '드론 산업'에 뛰어드는
까닭
은?
뉴시스
l
2017.11.22
이동통신 업계가 2019년 상용화가 예정된 5G를 대비할 새로운 플랫폼으로 드론을 점찍고 관련 시장 선점에 나섰다. 이동통신사와 드론, 언뜻 생각하면 잘 연결이 안되는 조합이지만 내막을 들여다보면 그렇지 않다. 비행체인 드론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이동기지국같은 '단말' 역할을 하면서 물류 및 ... ...
[과학&기술의 최전선] 게놈 해독도 오픈소스 바람 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7
‘공유’가 게놈 연구의 트렌드로 자리 잡은 것 같다”고 말했다. 공유가 중요한
까닭
은 데이터를 모아서 규모가 커져야 ‘더 중요한 질문’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놈은 사람마다 모두 조금씩 다르다. 아프리카인은 개인별로 평균 400만~500만 개의 염기서열에 차이를 보이고(이를 변이라고 ... ...
[표지로 읽는 과학]일본산 굴이 하와이에서 발견된
까닭
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0.01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엔 알코올이 채워진 비이커가 등장했다. 해양생물인 굴, 이끼벌레, 히드로충이 이 안에 살고 있다. 이들은 하와이의 앞바다에서 채취됐다. 하지만 고향은 이곳이 아니란다. 일본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6년에 걸쳐 이곳까지 이동해왔다. 미국 오리건주립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