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유
원인
근거
연유
동기
사유
형편
뉴스
"
까닭
"(으)로 총 304건 검색되었습니다.
창조과학이 과학이 아닌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7.09.04
비과학의 영역과 과학의 영역을 혼동하는 이를 결코 온전한 과학자라 부르기 어려운
까닭
이다. 창조과학과 같이 과학의 탈을 쓴 ‘유사 과학’이 지금껏 사회에 일으킨 피해는 결코 작지 않다. 최근 미국에서는 일부 사이비 과학 추종자들이 백신 접종을 거부하여, 박멸되었던 홍역이 다시 ... ...
“한국 우주개발 기술 수준 높아… 러시아와 협력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7.08.11
국내 연구진이 한국형우주발사체(KSLV-Ⅱ) 개발을 위해 무엇보다 독자 엔진 개발에 힘쓰는
까닭
이다. 이 분야 세계 1위를 달리는 기업으로 러시아의 ‘NPO 에네르고마시’가 꼽힌다. 세계 각국에서 이 회사의 엔진을 앞다퉈 구입해 간다. 한국의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 1단에도 이 회사가 개발한 ... ...
[카드뉴스]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8.09
행동이나 태도를 이끌어 내지 못합니다. 그렇다면 체벌이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
까닭
은 무엇일까요? 체벌은 공포와 불안감을 일으켜 아이의 행동을 즉시 바꿉니다. 또한 본보기 체벌은 체벌을 당한 학생이 아닌 체벌을 본 학생들에게 강화 효과를 줍니다. 떠들면 맞는다는 건 떠들지 않으면 체벌을 ... ...
스마트폰 배터리 사용시간 5배까지 늘리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7.21
사용시간은 5∼6시간을 넘기 어렵다. 많은 기업이 배터리 기술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는
까닭
이다. 국내 연구진이 노트북이나 스마트폰, 전기자동차 등에 흔히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최대 5배까지 늘릴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최장욱 KAIST EEWS대학원 교수팀은 같은 학교 ... ...
HUS가 햄버거병이 아닌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7.07.11
동아일보 제공 비과학적인 주장이 대중에게 설득력을 가질 때 사회가 얼마나 큰 손실을 입는지 우리는 경험으로 알고 있다. ‘한국인의 유전자는 광우병에 취약할 수 있다’는 검증되지 않은 이론 하나 때문에 전 국민이 거리로 나선 사실을 우리 국민 대다수가 기억할 것이다. 그러나 지금 와서 ... ...
[ESC의 목소리 (14)] 나는 왜 교양과학을 읽게 되었나
2017.06.17
수 있는 최선의 것이기 때문에 믿음직한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현존하는 최선의 것인
까닭
은 우리가 그것을 최종적인 것이라고 간주하기 때문이 아니라 개선될 여지가 있다고 간주하기 때문이다. 과학에게 자체의 신뢰 가능성을 부여하는 것은 우리의 무지에 대한 자각이다.” 이것이야말로 ... ...
유인자동차보다 자율주행차가 안전할 수 있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7.06.16
같다. ● 레이더 시스템으로 드론 비행 관제 드론 배송이 실생활에 도입되지 못하는
까닭
은 복잡한 도심에서 운영하기 어려워서다. 전문가들은 수백, 수천대의 드론이 안전하게 도심 하늘을 다니도록 드론을 일괄 통제하는 관제 시스템을 도입하자고 주장한다. 이때 필요한 것이 도시 구석구석을 ... ...
과학기자 4명이 인도로 떠난
까닭
은?
2017.05.19
다리 밑 학교 학생인 푸남 잔두(사진 오른쪽)은 수업이 시작하기 1시간 전에 학교에 1등으로 도착했다. 카페트 위에 쌓인 흙먼지를 쓸어내는 건 누가 시키지 안아도 1등 등교생인 잔두의 역할이다. - 델리=신수빈 기자 sbshin@donga.com “꿈이 뭐니?” 기자의 질문에 열한 살쯤 돼 보이는 ‘다리 밑 학교’ ... ...
KAIST 교수가 ‘서양화 수업하겠다’며 나선
까닭
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5.08
김양한 KAIST 명예교수 - KAIST 제공 “과학과 예술은 창의적 활동이라는 점에서 그 지향점도 같습니다.” 과학과 공학기술만을 전문적으로 가르치는 KAIST에 서양화 수업을 개설하겠다고 나선 교수가 있어 화제다. 주인공은 김양한 KAIST 명예교수. 그는 7일 ‘서양화를 통해 배우는 새로운 기계공학’ ... ...
‘한강의 기적’ 이끈 KIST 성공신화, 베트남에서 다시 쓴다
2017.04.21
성공사례는 개발도상국 사이에서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그중에 베트남이 먼저 부각된
까닭
은…. “베트남은 한국의 중요한 경제 파트너다. ‘넥스트 차이나’로 불릴 만큼 넓은 국토와 충분한 인구를 갖춰 성장가능성이 높다. 한국의 경제성장 사례를 문서 등으로 외국에 공유한 적은 많지만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