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산
혼란
이산
유포
산
해산
파산
뉴스
"
산란
"(으)로 총 372건 검색되었습니다.
100배 빠른 우주 광통신 기술 국내서도 개발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5
산란
되는 정도를 먼저 파악한 뒤, 실제 지상국과 인공위성이 교신할 때 알고리즘을 통해
산란
되는 만큼의 값을 보정하는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내달 4일 발사하는 우주광통신 시험 모듈에서 이 기술을 적용해볼 계획이다. 김 대표는 “NASA에서 전 세계 ... ...
전자기기 고장 원인 '열' 전달 효율 높인 공정 개발
연합뉴스
l
2021.11.11
연구팀은 소재를 구성하는 원자들의 진동에 의해 열에너지가 전달되는 '포논'
산란
을 선택적으로 제어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을 적용한 결과 열전달 효율이 기존보다 10∼15%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재의 기계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번 연구 성과는 재료 및 ... ...
실리콘칩서 빛이 생성한 음파로 광신호 제어하는 기술 세계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9.22
현상인 ‘브릴루앙 현상’을 주로 활용한다. 하지만 단순히 음파를 만들고 빛이
산란
하는 것을 측정하는 데 그쳐 광신호처리를 다른 분야에 응용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팀은 여러 개의 광로를 파서 만든 음파가 간섭하는 현상을 이용한 광신호처리법을 개발했다. 나노 공정작업을 통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푸딩 같기도, 태양계 같기도…원자모형의 진화
2021.09.18
알파입자와 원자핵 사이의 전자기력 때문에 이처럼 단순하지는 않다. 유효
산란
단면이라는 개념은 러더퍼드 이후 현대물리학에서 대단히 유용하고도 중요한 수단으로 역할을 해 왔다. 러더퍼드의 원자모형에서는 무거운 원자핵이 원자의 한가운데에 있고 전자가 원자핵과의 전자기력에 의존해 ... ...
30년새 개화·매미 울음 들리는 시기 빨라지고 얼음·서리 구경 어려워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4
활용가치가 있다”며 ““향후 생태·산림 관련 연구기관과 연계할 경우, 먹이 그물,
산란
시기 등 여러 생태계 요소들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광석 기상청장은 ““기상기후 데이터가 다양한 분야에서 더욱 활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방사능의 발견
2021.08.19
있다고 추론했다. 러더퍼드는 영국으로 다시 돌아온 뒤 역사적으로 유명한 알파입자
산란
실험을 통해 1911년 원자핵을 발견했다. 이 업적으로 노벨물리학상을 다시 줘도 되지 않을까 싶은데 그런 일이 일어나지는 않았다. 지금 우리는 원자 안에 전자와 원자핵이 있고, 원자핵은 다시 양성자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낮 폭염 식히는 수동주간복사냉각
2021.08.10
이산화티탄 나노입자가 곳곳에 박혀있다. 햇빛이 섬유를 지나갈 때 나노입자에 막혀
산란
한다. 앞서 빈 공간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 연구자들은 섬유 지름을 30㎛로 하고 섬유가 굴곡이 있게 직조해 천을 만들면 중적외선을 더 많이 내보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처럼 원자 수준보다 큰 규모의 ... ...
노벨상 수상자 예측 ‘액체 금속 전자 구조’ 한국 물리학자들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5
의해 ‘공명
산란
’돼 액체 금속의 전자 구조와 같은 특징을 갖게 된 것이다. 공명
산란
이란 물질 속 전자 파동이 특정 주파수를 가질 때 서로 다른 종류(이종)의 원자들과 충돌할 확률이 비약적으로 높아지는 현상이다. 김근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고온 초전도 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 ...
미생물이 플라스틱 만드는 과정 처음 관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7
대장균을 분석했다. 3차원 홀로그래픽 현미경 기술은 여러 각도로 레이저를 쏘아
산란
된 빛을 관찰해 굴절률을 관측하고 이를 토대로 세포 내부 구조 등을 밝혀내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이를 이용해 박테리아가 PHA를 만드는 과정을 실시간 관찰했다. KAIST 제공 연구팀은 수백 개 박테리아를 ... ...
또 멈춘 연구용원자로 '하나로'
동아사이언스
l
2021.07.03
파악되고 있고 자세한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냉중성자원 설비는 중성자
산란
등 연구를 위해 원자로에서 생산된 중성자를 액체수소를 이용해 감속하는 설비다. 재료과학 연구나 거대분자 등 생물학 연구 분석도구로 쓰인다. 1995년 첫 가동이 시작된 하나로를 연구목적으로 이용하기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