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산
혼란
이산
유포
산
해산
파산
뉴스
"
산란
"(으)로 총 37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KAIST, 비공진 방식 레이저 제작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1.13
물질로 빛을 가두는 레이저를 개발했다. 공진기 안에서 불투명한
산란
체가 빛을
산란
시키는 동시에 증폭시키는 원리를 이용해 기존 레이저에 쓰이는 투명 크리스탈 없이도 레이저를 만들 수 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인터넷판 1월 4일자에 실렸다. ■ 박한수 ... ...
[표지로 읽는 과학] 머신러닝, 원자의 속살을 드러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9
지난해 독일 연구팀은 베를린에 있는 방사광가속기(BESSY II)에서 X선과 중성자
산란
법을 이용해 비정질 실리콘의 원자 구조를 0.8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해상도로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원자의 상태를 촬영할 수는 있었지만 원자의 구조가 변하는 과정을 관측하기에는 한계가 ... ...
[한 토막 과학상식]잡음 적은 레이저 '브릴루앙 레이저'란 무엇인가
2020.12.24
교수, 최무한 경북대 전자공학부 교수, 최덕용 호주국립대 교수 연구팀은 23일 브릴루앙
산란
현상이 수백배 잘 일어나는 칼코겐화합물 유리를 이용한 브릴루앙 레이저를 개발하고 기존보다 100배 적은 에너지로 레이저를 작동하게 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칼코겐화합물 유리는 화학적으로 ... ...
[프리미엄 리포트]3D프린터로 찍어낸 가짜알로 바다거북 알 밀렵꾼 잡는다
과학동아
l
2020.12.19
알로 불법 거래 추적한다 중앙아메리카의 국가 코스타리카에서는 바다거북이 해안가에
산란
한 알이 음식 재료로 거래된다. 바다거북은 대부분 멸종위기종으로, 알을 채취해 유통하는 것은 엄연한 불법이다. 하지만 정력에 좋다는 속설 때문에 코스타리카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바다거북의 알을 ... ...
두개골 훼손 없이 뇌 신경망 구조 고해상도로 본다
연합뉴스
l
2020.12.03
반사행렬 현미경은 빛의 초점에서만 신호를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초점으로부터
산란
한 모든 빛을 측정하도록 설계됐다. 여기에 직진광만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이용, 기존 공초점 현미경으로는 관찰할 수 없었던 1㎛(마이크로미터·1천분의 1㎜) 굵기의 신경섬유를 관측해 ... ...
[한 토막 과학상식]열을 전기로 바꾸는 '하프호이즐러 합금'
동아사이언스
l
2020.11.11
만들어지는 ‘포논’이라는 입자의
산란
을 높이면 된다. 다른 상의 경계를 만들면
산란
이 일어나기 때문에 기존에는 하프 호이즐러 합금을 제조하고 물리적으로 부순 뒤 다시 가열해 굳히는 방법을 써왔다. 하지만 나노결정 크기를 조절하기 어렵고 복잡한 구조를 갖추기도 힘들어 열전도도를 많이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바이러스, 라마에서 배운 합성나노항체로 막는다
2020.11.05
박사 연구진은 합성나노항체23이 바이러스의 RBD와 어떻게 결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X선
산란
기술로 결합 형태를 분석했다. 이와 함께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의 마틴 할베르그 박사 연구진은 초전온 전자현미경으로 합성나노항체23과 코로나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결합한 전체 구조를 ... ...
혈액 속 극미량 '질병신호 물질' 빠르게 검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3
표면에 반사하면 특정 물질이 변화하는 것을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다. 연구팀은 빛의
산란
으로 생기는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프리즘 방향을 바꿔 두께 변화를 정밀 측정할 수 있도록 했다. 연구팀은 치매 원인 물질인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단백질을 측정하는 치매 조기진단에도 이 기술을 ... ...
[인간 행동의 진화] 시대가 변하면 명당도 바뀐다
2020.11.01
명당은 ‘깨끗한 청정지역’이었다. 기생충에 감염된 달팽이가 서식하는 웅덩이에
산란
한 개구리는 전체의 0.4%에 지나지 않았다. 코로나 시대의 명당 묫자리로 적당한 땅은 죽은 사람을 위한 땅이 아니라 사실 산 사람을 위한 땅이다. 배산임수의 양지바른 땅은 농사를 짓기도 좋고, 집을 짓기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연어가 봄·가을 강으로 가는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20.11.01
연어보다 약 6개월 먼저 민물을 찾아 여름을 보내고, 크기가 작은 대신 체지방량이 높고
산란
시기도 이른 특성이 있다. 하지만 실제 게놈 해독 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이런 특성과 관련이 있는 유전자와는 회귀 시기를 결정하는 데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8번 염색체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