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상단"(으)로 총 365건 검색되었습니다.
- '뉴스페이스' 재앙의 한 주…스타링크 위성 40기 손실에 아스트라 로켓 발사 실패동아사이언스 l2022.02.11
-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009년 8월 25일 발사된 한국의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도 상단 위성 덮개 하나가 분리되지 않아 중심을 잃으면서 텀블링을 했고 발사 실패로 이어졌다. 아스트라는 이날 오전 5시 14분(한국시간) 트위터를 통해 “우주 발사체 비행 중 문제가 발생해 궤도에 위성을 ... ...
- 조리로봇이 튀기고 볶고 끓인다…'확바뀐' 군부대 식당 첫 공개연합뉴스 l2022.02.07
- 조리 삽을 휘저어야 했던 장면도 사라졌다. 이날도 조리병은 솥에 재료만 투입하면 되고, 상단에 설치된 직교 로봇이 재료를 섞는 작업을 대신하고 있었다. 쌀 씻는 과정도 자동화 설비로 대체됐다. 고속으로 씻겨 나오는 쌀과 적정량의 물이 자동으로 계량돼 솥에 담기는 방식이다. 이는 ... ...
- '우주 항해하는 다이아몬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태양열 차단막 전개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2.01.02
- 2개 층에는 실리콘을 추가로 코팅했다. 가로 21.197m, 세로 14.162m 너비이며 두께는 가장 상단 층이 0.05mm, 나머지 층은 0.025mm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지난달 28일부터 태양열 차단막 전개 작업을 시작했다. 31일 차단막을 보호했던 덮개를 벗기는 과정에서 일부 센서가 정상 작동하지 않아 작업이 ... ...
- 한국과학상에 김인강·김윤호 교수 한국공학상에 이태억·이태우 교수동아사이언스 l2021.12.22
- 왼쪽 상단부터 김인강 고등과학원 교수, 김윤호 포스텍 교수, 이태억 KAIST 교수, 이태우 서울대 교수. 왼쪽 하단부터 이현구 숙명여대 교수, 김영진 KAIST 교수, 최민기 KAIST 교수, 류두열 한양대 교수. 과기정통부 제공 지난 40여년 간 수학의 난제이던 ‘써스턴 가설’을 해결한 수학자와 높은 ... ...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24일 발사…수차례 연기 끝에 다시 확정동아사이언스 l2021.12.19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이달 18일 발사 예정이었으나, 우주발사체 ‘아리안5호’ 상단에 싣는데 필요한 어댑터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않은 진동이 발생하며 22일로 연기됐다. 이후 아리안5호 로켓에 탑재된 웹 망원경과 발사체 간 교신에 문제가 생기며 한 차례 더 연기됐다. NASA는 18일 ... ...
- LEO는 지금 민간 우주정거장 건설 붐동아사이언스 l2021.12.13
- ‘민간저궤도개발(CLD)’ 프로젝트의 후보 참여기업 3곳을 발표했다. 왼쪽 스타랩 오른쪽 상단 오비탈리프 오른쪽 하단 노스먼. NASA 제공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이달 2일 민간 우주정거장을 개발하는 ‘민간저궤도개발(CLD)’ 프로젝트의 후보 참여기업 3곳을 발표했다. 아마존 창업자 제프 ... ...
-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발사 준비중 사고로 또 연기동아사이언스 l2021.11.23
- 일어난 사고로 발사일을 연기했다고 밝혔다. 사고는 JWST를 우주발사체 ‘아리안5호’ 상단에 싣는데 필요한 어댑터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일어났다. 어댑터를 JWST에 고정하는 띠 하나가 풀리면서 진동을 겪었다. 어댑터 장착은 아리안 5호를 개발한 프랑스 기업 ‘아리안스페이스’가 맡아 진행 중인 ... ...
- [영상+]누리호 영상 공개…3단 점화 조기종료·위성모사체 궤도 정상투입 실패 원인 분석 착수동아사이언스 l2021.10.27
- 것과 동시에 하단 영상을 통해 2단에 탑재된 카메라들이 작동을 멈추고, 이어 좌측 상단 영상을 위성모사체가 분리되는 것까지 촬영됐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
- [표지로 읽는 과학]단백질 접힘과 질환의 연결고리 동아사이언스 l2021.10.16
- 표지로 실었다. 11개 박스 속 타우 단백질이 모두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그 상단 가운데에 '잘못 접힌 단백질'이라는 문구도 박혀있다. 타우 단백질은 뇌 신경 세포 안에서 물질의 운반을 담당하는 단백질이다. 이를 통해 신경세포를 형성하는 골격을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 SMR 기후위기 구원투수될까동아사이언스 l2021.10.02
- 기술은 크게 세 가지다. 하나는 원자로를 길게 만든 것이다. 원자로 하단의 핵연료와 상단의 증기 발생기의 높이 차이가 클수록 자연적인 열순환이 원활해진다. 두꺼운 콘크리트는 특수한 금속 외벽으로 대체했다. 그리고 원자로 전체를 물에 담궜다. 정상운전 시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지만, 사고가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