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
핵인
뉴스
"
세포인
"(으)로 총 151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속 뼈 건강 유지하는 핵심 유전자 발견···골다공증 치료 새 길
동아사이언스
l
2019.05.28
골다공증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뼈를 형성하는
세포인
조골세포와 파괴·흡수하는
세포인
파골세포의 분화 과정을 관찰했다. 분화는 세포가 분열증식해 성장하는 동안 구조나 기능이 특수화되는 현상이다. 그 결과 HIF-2α란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할 경우 조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파골세포의 ... ...
코오롱, 2년 전 '인보사' 의약품 성분 뒤바뀐 사실 알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6
허가를 받은 2017년 7월의 4개월 전이다. 코오롱티슈진은 인보사의 성분이 293유래
세포인
걸 알고도 허가 당국인 식약처에 알리지 않은 셈이다. 이번 사실을 공개한 것도 코오롱생명과학의 자의가 아닌 지난해부터 진행 중인 일본 제약사 ‘미쓰비시다나베’와의 소송 때문이다. 코오롱생명과학은 2 ... ...
[애니멀리포트] 상어 가족은 엄마가 힘이 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3.23
태아가 자유롭게 움직일 정도로 조직이 발달한 이유는 자궁 속 수정되지 않은 생식
세포인
‘무정란’을 먹기 때문입니다. 태아가 무정란을 먹는 일은 타우니보모상어처럼 난태생으로 번식하는 상어에서 흔히 발견됩니다. 상어는 종에 따라 새끼를 낳는 태생과 알을 낳는 난생, 태아가 자궁 속 ... ...
근육세포 울퉁불퉁한 표면에서 잘 자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스스로를 지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홈을 갖는 표면에서 키운 근육세포는 신경
세포인
뉴런세포와의 연결성도 좋았다. 연구팀은 뉴런세포와의 결합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근육세포 내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발현 정도를 분석했다. 아세틸콜린은 뉴런에서 나와 근육세포를 흥분시키는 ... ...
“美 25년간 암사망률 27%줄었다” …한국은 아직 증가세
동아사이언스
l
2019.01.09
암 유래
세포인
헬라(HeLa) 세포. -사진 제공 미국국립보건원(NIH) 미국의 암 환자 사망률이 25년 사이에 27% 떨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4대 암으로 꼽히는 유방암, 폐암, 전립선암, 췌장암 사망률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률 감소 원인으로는 흡연률 감소와 조기 진단, 치료법의 증가가 ... ...
지하에서 화성 생명체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제도'가 있는 셈이다. 이들 생명은 대부분 단세포 미생물이다. 박테리아와 핵이 없는 단
세포인
고세균이 주를 이룬다. 지하 생명체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전체 세균과 고세균의 70%가 지하에서 살고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부분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나 유전자 분석에서 얻어진 증거로 이들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혈액줄기세포의 안내자 대식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18.12.09
것이다. 판웨이준 중국과학원(CAS) 상하이생명과학연구소(SIBI) 교수팀은 혈액줄기
세포인
조혈모간세포(HSPCs)가 혈관과 혈액세포를 형성하는 메커니즘을 밝힌 결과를 네이처에 소개했다. 연구진은 'VCAM-1+'로 불리는 대식세포가 이를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대식세포는 ... ...
슈퍼박테리아, 정면대결 대신 힘빼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3
지난달 15일 ‘의약화학저널’에 발표했다. 황색포도상구균 등의 세균은 체내에서 면역
세포인
호중구를 대항하기 위해 독성인자를 생성해 공격한다. 이번에 찾은 잔소안제롤은 황색포도상구균이 독성인자를 만들 때 진행되는 신호체계의 핵심 단백질을 망가뜨린다. 실제로 이 균에 감염된 ... ...
치료후 몸 속에서 '스르륵'…저절로 녹는 전자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21
회복률을 결정하한다. 재생 속도가 느리면 말초신경을 살아 있도록 하는 신경교
세포인
‘슈반세포’가 소멸해 재생이 아예 불가능해지거나 영구적인 근육 장애가 생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신경을 감싼 뒤 전기 자극을 가해 신경세포의 활성도를 높이는 전자약이 널리 연구돼 왔다. 신경세포의 ... ...
머리 큰 인류는 어떻게 태어났을까
2018.06.08
활동하는지를 인류와 비교했다. 그 결과 대뇌피질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 속 작은
세포인
‘방사신경교세포’와 관련된 유전자들의 활성이 침팬지에 비해 인류가 41%나 낮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들 중 상당수는 뇌의 크기를 제한하기 위한 ‘고삐’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특정 기능을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