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
핵인
뉴스
"
세포인
"(으)로 총 151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받았던 ‘소포체’ 형성원리, 국내 연구진이 밝혔다
2015.08.26
국제학술지 ‘세포생물학저널’ 3일자에 발표했다. 소포체는 인간 같은 고등생명체의
세포인
진핵세포의 주요 소기관 중 하나다. 단백질과 지질을 합성하고 칼슘을 저장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학계에서는 ‘아틀라스틴’이라는 단백질이 여러 개의 막을 연결하면서 소포체의 그물망 ... ...
줄기세포 잘 보면 백혈병 치료 결과 보인다
2015.03.31
골수에 나타난 줄기세포 주위 세포의 변화를 살폈다. 그 결과 골수에서 증식하는 암
세포인
‘백혈병 세포’가 정상 줄기세포를 지탱하고 있는 줄기세포 주위의 지지세포의 유전자 발현이나 지지기능 등을 바꾼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줄기세포 주변 환경도 정상 줄기세포는 억제하는 반면 ... ...
왜 나쁜 기억은 잘 잊혀지지 않을까
2014.12.09
헵은 이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헤비안 가소성’이라는 학설을 내 놓았다. 신경
세포인
뉴런 사이가 얼마나 단단하게 연결됐느냐에 따라 기억이 남는 정도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 가설은 그동안 동물실험을 통해 사실임이 증명됐다. iStockphoto 제공 최근 뉴런 사이의 연결을 강화시키는 ... ...
인간과 인간의 교집합은 생쥐?
2014.11.23
정리했다. 피부에서 세포생물학 연구가 본격화된 것은 1970년대다. 1975년 사람의 피부
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를 배양해 세포층을 만들었다. 1990년대에는 모낭에서 줄기세포를 찾았고, 1993년에는 피부줄기세포의 마커도 찾아 피부세포가 피부줄기세포에서 분화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199 ... ...
[표지로 읽는 과학] 탄소나노튜브, 식물처럼 기른다
2014.08.10
칩 위에 노란 물질이 붙어 있는데, 모양이 매우 익숙하다. 이는 사람 뇌를 구성하는
세포인
‘뉴런’을 나타낸 것. 사이언스 이번호 표지 그림은 사람의 뇌를 흉내 낸 컴퓨터 칩을 의미한 것이다. 사람의 뇌는 상황에 맞게 올바른 판단을 내리고, 복잡한 수식을 계산하는 등 여러 가지 업무를 ... ...
하반신 마비 환자가 ‘브라주카’를 뻥~
과학동아
l
2014.06.14
감지하는 전극이 달린 헬멧(EEG)을 썼다. ‘공을 걷어차라’는 장애인의 생각은 뇌의 신경
세포인
뉴런에서 미세한 전기신호를 일으켰다. 컴퓨터가 이 신호를 해석해 로봇 다리를 움직인 것이다. 생각만으로 로봇을 움직인 건 이번이 처음이다. 장재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구원은 “뇌파만 ... ...
암세포 몇 개 있어야 암 될까?
과학동아
l
2014.04.06
큰 효과가 없다는 사실 역시 확인됐다. 신호를 차단할 경우, 또 다른 종류의 암
세포인
기저 암세포에서 유전자 돌연변이가 일어나 차단된 윈트 신호 전달 체계를 새롭게 활성화했다. 두 종류의 암 복제세포가 돌연변이를 통해 서로의 역할을 분담하며 상호보완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 ... ...
예상보다 작고 강한 '놈'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3.23
연구팀은 망막에서 V1에 이르는 구체적인 경로를 밝히기 위해 바이러스를 이용해 신경
세포인
‘뉴런’의 작용을 관찰한 결과, 시각정보는 망막의 DSGC를 통해 시상의 ‘배외측슬상핵’(dLGN)을 거친 후 V1의 여러 층 중 가장 위의 층으로 전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 ...
“제3의 만능세포 논문 화상데이터 조작 의혹”
동아일보
l
2014.02.17
하루코(小保方晴子) 연구주임이 미국 하버드대 등 국제 연구팀을 이끌며 개발한 만능
세포인
‘STAP(Stimulus-Triggered Acquisition of Pluripotency) 세포’를 다룬 논문을 검증하고 있다고 최근 밝혔다. 논문은 동물 몸에서 떼어 낸 기존 세포를 약산성 용액에 잠깐 담그는 자극만으로 간단하게 STAP 세포를 만들 수 ... ...
튼살 생기는 이유?… 피부 위 튼살, 도대체 왜 생기나
동아닷컴
l
2013.09.30
현상이 발생한다. 급작스런 체중변화로 인한 피부 팽창이 피부 중간층의 콜라겐 생성
세포인
섬유아세포의 기능을 멈추게 만들고 결국 엘라스틴 조직층이 찢어져 피부에 흉터를 남기는 것이다. 발생 초기에는 붉은색의 선이 나타나며 점차 색이 흐려져 백색의 튼살이 된다. 튼살은 의학적으로는 큰 ... ...
이전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