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까락
손꾸락
둘째손가락
둘째
수지
뉴스
"
손가락
"(으)로 총 749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사태 초기 신규 암 환자 감소...췌장암‧담낭암은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2.12.29
성별에 따른 암 발생순위도 바뀌었다. 남성은 전립선암이 발생순위가 높은 암 세
손가락
에 꼽혔으며 여성은 발생순위가 높은 5개 암에 췌장암이 새롭게 포함됐다. 폐암도 환자 비중이 늘었다. 29일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의 '2020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0년 신규 발생한 암환자 ... ...
김대수 KAIST 교수, 근긴장이상증 음악가들에게 희망 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7
갑자기 찾아온
손가락
근긴장이상증으로 음악을 접어야 했다. 2020년부터 그는 다시
손가락
움직임을 도와주는 바이오닉 글러브를 끼고 피아노를 연주하기 시작했다. 매일 2~4시간씩 노력한 결과 마틴은 60년 만에 82세의 나이로 카네기홀에 다시 서게 됐다. 당일 공연에 그는 노부스 뉴욕(NOVUS NY) ... ...
세포의 대화를 가로채 약으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22.12.24
오랜 신뢰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창업이다. 앞으로 엑소좀 분야에서 세
손가락
에 드는 회사를 만들고 싶다는 남기훈 CSO 는 “수백만 명에게 두 번째 기회를 주는 것이 신약개발의 의미”라 밝혔다. 현장에서 직접 환자를 진찰하는 임상 의사도 의미 있지만, 신약개발을 통해 의료 현장에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도 유발하는 '바이러스' 유래는 '독성물질'
2022.12.20
최선을 다했다. 1900년에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에 입학한 라우스는 해부학 실습중에
손가락
에 상처가 생겼다. 이로 인해 결핵에 걸려 1년간 휴학을 하게 되었다. 라우스는 농업을 하는 텍사스의 삼촌집에서 시간을 보냈고, 농촌생활에 친밀감을 가졌다. 여유로운 생활은 활동력이 커지게 하는 ... ...
스스로 물체 조립하는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1
조작할 수 있도록 개발한 물체 조립기술이다. 생기연의 독자적인 조립 알고리즘 기술 ‘
손가락
을 이용한 팩인홀(Peg-in-hole)' 기술이 적용돼 로봇이 스스로 구멍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조립한다. AI 기반 인지기술은 로봇의 손에 탑재된 ’핸드아이 카메라‘를 활용한다. 이 카메라는 무작위로 ... ...
20년 결혼반지를 잘라버린 이유
팝뉴스
l
2022.11.15
너무 조여져서 빼려고 했으나 불가능하자 결국 반지를 자르게 되었다고 한다.
손가락
눌린 자국에 사랑과 인내심과 미련함이 모두 함축되어 있는 듯하다 ... ...
[기후위기와 산림] 문제는 기후변화 속도...구상나무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
2022.10.27
산림에 식재가 가능하다고 한다. 그러나 구상나무는 생장이 매우 더뎌서 2년 정도면
손가락
정도의 크기밖에는 자라지 않는다. 나무 나이에 따른 환경 적응성을 평가해 본 결과 구상나무의 경우 최소 5년 이상이 되어야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적응력과 광합성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
바닥에 떨어진 바늘도 집어올리는 ‘코끼리 코’ 로봇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2.10.20
바닥에 밀착시킨 후 진공을 만들어주면서 오므리는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면 마치
손가락
으로 바닥을 강하게 꼬집는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매우 가는 물체도 잡을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찬훈 AI로봇연구본부장은 “이번에 개발한 로봇은 일상생활은 물론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 ...
피부에 붙여 원격으로 촉감 느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13
경험할 수 있는 기술이다. ETRI는 지난해 4월 첫 텔레햅틱 기술을 공개한 데 이어
손가락
에 스티커처럼 붙일 수 있는 형태로 기술을 고도화했다. 부피가 크고 성능이 낮았던 기존 촉감 재현장치를 개선한 것이다.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압전 소자와 초박막 유연 기판을 활용해 1mm 미만의 초소형 ... ...
강원 정선 지하 1000m에서 우주 비밀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5
것들을 걸러낼 수 있다”고 말했다. 지구상에서 중성미자는 매초 700억개 가량이 엄지
손가락
을 뚫고 지나가지만 사람은 전혀 느낄 수 없다. 관측이 쉽지 않아 유령입자로도 불린다. ‘IBS 터널’ 표지판 앞. 고도 989m의 예미산 정상을 기준으로 약 1000m 아래 지점이란 의미이다. 정선=고재원 기자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