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까락
손꾸락
둘째손가락
둘째
수지
뉴스
"
손가락
"(으)로 총 74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현대 인류의 기원과 특성을 고유전체학으로 밝히다
2022.10.04
DNA를 바탕으로 해당 고대인의 유전자 지도를 해독한 것이다. 당시 데니소바인의
손가락
부분 뼈에서 채취한 손상된 DNA를 재조합했다. 노벨상위원회 제공 고인류 유전체는 인류 진화의 이해 외에도 우리의 건강과 복지에 대한 유전학 연구에도 큰 함의를 갖는다. 사람들 사이의 유전적 차이가 질병 ... ...
[노벨상 2022]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까"...해답 찾은 생리의학상 수상자
2022.10.03
단서를 제공하기도 했다. 2008년 페보 소장은 러시아 데니소바 동물에서 4만년된 고대인의
손가락
뼈에서 DNA를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 '데니소바'라고 명명된 이 인류 조상은 과거 유라시아 동부에 살던 데니소바인들이 네안데르탈인과 이종교배했다는 고인류학 역사의 단서가 됐다. 페보 소장은 또 ... ...
[노벨상 2022] 미라·고대인류 뼈 ‘덕후’ 첫 생리의학상 안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3
DNA를 바탕으로 해당 고대인의 유전자 지도를 해독한 것이다. 당시 데니소바인의
손가락
부분 뼈에서 채취한 손상된 DNA를 재조합했다. 노벨상위원회 제공 의대 출신의 면역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박사과정 시절 "미라에서 DNA를 추출해 분석한다면 지금까지 누구도 답하지 못한 질문에 대한 ... ...
[노벨상 2022] "내 몸속에 네안데르탈인 유전자가"...생리의학상에 고유전체학 창시 스반테 페보
동아사이언스
l
2022.10.03
DNA를 재조합했다. 러시아 알타이산맥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굴한 인류(여자아이)의
손가락
뼈. 이 작은 뼈에서 얻은 불과 30밀리그램의 시료에서 추출한 DNA로 게놈을 해독했다. 막스플랑크연구소 제공 DNA의 나선 가닥가닥을 분리해 분석할 수 있는 자료의 양을 2배로 늘렸고, 게놈의 모든 부위에 ... ...
테슬라, 자동차보다 저렴한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10.03
들어올리거나 화분에 물을 주는 동작을 소개했다. 옵티머스는 사람처럼 다섯 개의
손가락
을 가지고 있어 인간의 작업 환경을 돕기 적합하게 설계돼 있다. 옵티머스는 대량생산도 염두에 두고 설계돼 자동차보다도 저렴하게 판매될 예정이다. 머스크 CEO는 "현재 휴머노이드 로봇은 스스로 세계를 ... ...
[잠깐과학] 약물 부작용으로 시작된 기형아 출산의 비극
어린이과학동아
l
2022.10.01
제공 1961년 6월 1일 독일 함부르크대 소아과 의사였던 비두킨트 렌츠는 짧은 팔에
손가락
이 세 개만 자란 어린이 환자를 만났습니다. 처음에 그는 유전자 돌연변이가 원인이라 생각했지만 얼마 후부터 팔다리가 짧거나 없는 아기 환자가 급증하기 시작했습니다. 사지의 모양이 마치 바다표범의 다리 ... ...
아이 장난감을 빼앗은 반려견
팝뉴스
l
2022.09.25
빼앗았다. 화제의 사진을 보면 어린 아이가 할머니를 데려오고 있다. 아이는
손가락
이 향하는 곳을 보면 반려견이 있다. 굉장히 행복하고 신나는 표정이다. 반면 아이는 슬프고 원통한 표정이다. 사진만 보면 반려견이 아이의 장난감을 차지해서 놀고 있는 것이 된다. 놀라운 ... ...
[잠깐과학] 127년 전 9월 15일 첫 인공감미료 '사카린' 특허 등록
어린이과학동아
l
2022.09.17
우연히 발견되었다는 겁니다. 아스파탐은 1965년 궤양 치료제를 만들던 화학자가 우연히
손가락
을 핥았다가, 수크랄로스는 1976년 한 연구원이 상사의 말을 잘못 듣고 염소 화합물을 맛본 덕에 발견되었습니다. 수많은 달콤한 발견 뒤에 부주의와 우연이 끼어들었던 셈이지요.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
문 손잡이 작을수록 돌리기 쉽다?...2022 이그노벨상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2.09.16
수여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손잡이를 돌리는 데 손잡이의 크기가 클수록 더 많은
손가락
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했다. 손잡이의 크기가 작을수록 손잡이를 돌리는 효율이 높아진다는 결론이다. 연구팀은 “회전으로 제어하는 장치는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손잡이 부분의 디자인이 중요하다”며 ... ...
"추석 벌초 중 벌에 쏘이면 긁어서 제거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9.09
침이 보인다면 신용카드 등을 이용해 피부와 평행하게 긁어 제거해야 한다. 이때
손가락
이나 핀셋 등으로 침의 끝부분을 잡아서 제거하는 경우 오히려 벌침 안에 남은 독이 몸으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침을 제거한 후에는 흐르는 물을 이용해 깨끗하게 씻고 붓기 완화를 위해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