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뉴스
"
오른쪽
"(으)로 총 2,734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율운항 선박 자동으로 항구에 정박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8
자동 계류 시스템을 개발한 (
오른쪽
부터) 김용진 한국기계연구원 가상공학플랫폼연구본부 신뢰성연구실 책임연구원과 김영기 기계연 가상공학플랫폼연구본부 신뢰성연구실선임연구원. 기계연 제공 국내 연구진이 자율운항 선박이 스스로 항구에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정박할 수 있도록 돕는 ... ...
심장을 다시 뛰게 하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1.16
전기를 내보내는 장치고 전극 패드는 전기를 심장으로 전달하는 장치입니다. 한 개는
오른쪽
가슴 위, 다른 한 개는 왼쪽 겨드랑이 아래 옆구리에 붙이는 게 전극 패드의 정석 사용법입니다. 그런데 최근 다른 방식으로 패드를 붙이면 심폐소생술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 ...
[동물do감] 로마에 가면 로마법 따르는 박새
동아사이언스
l
2024.11.15
연구팀은 일부 박새를 문을 미는 방향이 반대인 새장으로 이동시킨 후 관찰했다. 문을
오른쪽
으로 밀던 박새가 문을 왼쪽으로 미는 박새들이 있는 새장으로 옮겨진 것이다. 반대로도 이동시켰다. 관찰 결과 원래 있던 무리에서 다른 무리로 이동한 '이민자' 박새 중 80%는 새로운 새장에 도착하자마자 ... ...
마라톤 완주 도전하는 해변 달리던 사족보행 로봇 '라이보'
동아사이언스
l
2024.11.15
9월 2024 금산인삼축제 마라톤을 참여한 KAIST 황보제민 교수(앞줄
오른쪽
두 번째) 연구팀 단체사진. KAIST 제공 KAIST 연구진이 개발한 사족보행 로봇 ‘라이보’가 사족보행 로봇 최초로 마라톤 풀코스 완주에 도전한다. 모래사장 같은 변형하는 지형에서 민첩한 주행능력을 보인 라이보는 이번 마라톤 ... ...
견과류 껍질로 친환경 선박 연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4
연구팀이 캐슈넛 껍질로 생산한 바이오차(왼쪽)와 바이오중유(
오른쪽
). 에너지연 제공. 버려지는 캐슈넛 껍질을 친환경 바이오연료로 전환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제조 공정이 간단해 동남아 현지에서의 상용화가 기대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최영찬 ... ...
천천히 걸음속도 높여도 다 아는 AI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4.11.12
KAIST 박재현 전산학부 석사과정생, 이재길 전산학부 교수, (
오른쪽
위) 신유주 전산학부 연구원.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웨어러블 기기 센서의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완만한 동작도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 KAIST는 이재길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이 다양한 착용 ... ...
달 기지용 원자로 개발 '착착'…"아르테미스에 한국 역할 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11.10
말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우주용 원자력전지(왼쪽)는 누리호 성능검증위성(
오른쪽
)에 탑재됐다. 원자력연 제공 최근 정부가 발표한 우주개발 계획에 따르면 2032년까지 달에 착륙하는 것이 목표다. 김 책임연구원은 "한국 달 착륙선에도 원자력 전지가 들어간다는 계획이 있다"며 ... ...
코끼리도 호스 이용해 물뿌리며 샤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0
몸 위로 휘둘러 물이 꼬리 쪽으로 뿌려지도록 했다. 메리는 코로 물을 뿌릴 때는 몸의
오른쪽
부분을 주로 샤워했고, 호스를 사용할 때는 몸의 왼쪽 부분을 씻기도 했다. 호스를 이용해 사용하는 메리(왼쪽)와 메리의 샤워를 방해하는 안찰리. Michael Brecht 제공 메리의 샤워가 길어지자 또 다른 ... ...
XR 콘텐츠·게임으로 재탄생…국가유산 디지털콘텐츠 페어
과학동아
l
2024.11.09
평가했다. 다니엘 사르프라즈 UNIST 디자인학과 연구원(왼쪽)은 지도교수인 김관명 교수(
오른쪽
)의 제안으로 2024년 국가유산 디지털콘텐츠 경진대회에 참여했다. 과학동아 제공 분야와 부문별 시상식이 완료된 뒤 수상자들이 연단에 올라 수상 소감을 밝혔다. 가장 눈길을 끈 것은 2024년 처음 신설된 ... ...
중국보다 앞선 1만5000년 전 한반도에서 세계 최초로 벼농사를?
2024.11.09
지경을 연결하는 소지경이 잘린 흔적(왼쪽)과 낟알을 떼어낼 때 홈날연모가 사용된 흔적(
오른쪽
)은 청주소로리볍씨가 순화벼임을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다.Plants 제공 반면 농부는 낟알이 익어도 매달려 있어야, 탈립성이 작아야 수고를 덜면서도 온전히 수확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화 과정에서는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