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뉴스
"
오른쪽
"(으)로 총 2,734건 검색되었습니다.
27일까지 무더위 주춤…28일 한반도 서쪽 다시 폭염
동아사이언스
l
2024.08.26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태풍 산산은 일본 가고시마 남동쪽 약 580km 해상에 있다.
오른쪽
위로 북태평양고기압이 강해지고 상층 건조공기가 일부 침투하면서 일시적으로 약화된 상태다. 일본 큐슈 남단까지 느리게 서북서진 한 다음에 29일을 기점으로 북동진해 한반도를 빠져나갈 것으로 보인다 ... ...
[의학바이오게시판] 카카오헬스케어, 혈당관리 효과 극대화 나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21
카카오헬스케어 대표(
오른쪽
)가 김영민 바야다홈헬스케어 대표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카카오헬스케어 제공. ■ 카카오헬스케어는 홈헬스케어 전문기업 바야다홈헬스케어와 함께 인공지능(AI) 및 디지털 기술과 홈헬스케어를 결합한 서비스를 개발·제공하기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운명
2024.08.21
마셨다(가운데). 반면 마셜의 공동연구자 로빈 워런은 차마 배양액을 마시지 못했다(
오른쪽
). 서호주대 제공 페텐코퍼가 병에 안 걸릴 거라고 확신하고 세균을 마셨다면 반대로 병이 나기를 바라며 세균을 마신 과학자도 있다. 호주의 의사이자 미생물학자인 배리 마셜로 위염 환자의 위에서 찾아낸 ... ...
"공기 중 수분 모아 물 만든다"…휴대용 물 수확기 국내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20
왼쪽)와 새로 개발한 휴대용 수분 포집 시스템으로 만든 가방형(휴대용) 물 수확기(
오른쪽
)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동물과 식물의 메커니즘에 착안해 공기 중 수분을 모아 살균하고 물을 생산하는 ‘휴대용 수분 포집 시스템’을 개발했다. 군용, 캠핑용, 도서 ... ...
신월성 1호기, 정기검사 중 임계 허용
동아사이언스
l
2024.08.14
경주에 위치한 신월성 1호기 원전(
오른쪽
). 월성원자력본부 제공 경북 경주에 있는 신월성 1호기 원전의 임계가 허용됐다. 임계는 핵분열 연쇄반응에서 중성자 수가 평형을 이루는 상태로 원자로 가동이 시작된다는 뜻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6월 7일부터 정기검사를 실시한 신월성 1호기 원전의 ... ...
화성 바다 행방 찾았다…행성 덮을 만큼 '지하수' 존재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화성 착륙선 인사이트(
오른쪽
위)가 수집한 데이터를 통해 재구성한 화성 내부의 층 구조를 나타낸 그림. 연구팀의 예측에 따르면 지하 11.5~20km 깊이에 물을 다량 함유한 암석이 존재한다(왼쪽 아래). James Tuttle Keane and Aaron Rodriquez 제공 미국 연구팀이 화성 지하에 액체 상태의 물이 대량 있다는 ... ...
"로봇·AI가 일할 때 사람은 쉬어야 할까"…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 20일 개관
동아사이언스
l
2024.08.12
등장한 사람을 보고 핸들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틀어야 한다. 가령 왼쪽에 노인 1명,
오른쪽
에 어린이 2명이 있을 때 어느 쪽으로 핸들을 틀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 이 같은 윤리적 딜레마는 로봇과 AI의 기술이 고도화될수록 더욱 중대한 윤리적 이슈가 될 수밖에 없다. AI 알고리즘이 특정한 ... ...
엄지손가락이 하나 더 있다면…없던 신체로 뇌 연구도 한다
과학동아
l
2024.08.10
신체 추적기를 착용하면 상반신의 움직임에 따라 꼬리가 꿈틀거립니다. 상반신을
오른쪽
으로 기울이면 꼬리가 왼쪽으로 이동하고 허리를 숙이면 꼬리가 위로 뻗칩니다. (doi:10.1145/3306214.3338573) 2019년 일본 게이오대 연구팀이 선보인 1m 길이의 꼬리 아크(Arque)는상반신의 움직임을 감지해 신체 균형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더위에 입맛이 떨어지는 이유
2024.08.07
식욕촉진뉴런(NPY/AgRP)와 식욕억제뉴런(POMC/CART)와 닿아있다. 왼쪽은 현미경 이미지이고
오른쪽
은 이를 도식화한 그림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고온에 노출되면 띠뇌실막세포가 식욕촉진뉴런을 비활성화해 덜 먹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생리학 & 행동 제공 시상하부는 체온과 식욕, 갈증, 수면 등 ... ...
성인 키 1m 불과 역사상 가장 작은 호미닌 화석
동아사이언스
l
2024.08.07
마타 맨게에서 발견된 호미닌 화석석과
오른쪽
은 리앙 부아에서 발견된 다른 호모 플로레시엔시스 표본. 요스케 카이푸 제공 역사상 가장 작은 호미닌 화석이 발견됐다.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가 호미닌에서 탄생한 것으로 알려져 았다. 호주 울런공대와 일본 도쿄대, 인도네시아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